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이더넷 케이블의 블랙 매직, V20으로 비상하다 Stealth Audio Cables Black Magic V20

2020.07.31. 15:14:05
조회 수
1,164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케이블계 스텔스


케이블 분야는 대단히 많은 괴짜들이 존재한다. 케이블 도체의 소재가 동이냐 은이냐 또는 금이냐 혹은 그 도체의 단면이 원형이냐 아니면 사각이냐 등의 담론부터 시작된다. 더불어 연선인지 단심선인지에 대해서도 각 메이커마다 의견이 다르다. 때로 유도계수와 저항과 임피던스 등 전자기적 일반론은 당연히 거론된다. 이런 여러 이슈들을 여러 메이커들과 엔지니어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요리한다. 기반이 되는 이론은 비슷할지언정 그로 인한 음향적 특성과 차이는 또 다른 의견을 낳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A라는 메이커의 케이블을 사용하다가 꽤 고가의 B 메이커 제품으로 교체하고 기대감에 부풀어 올랐다가 실망하는 경우도 많다. B 메이커의 도체나 지오메트리가 틀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나의 시스템, 나의 취향엔 저 저렴한 A 메이커 제품이 더 좋은 것뿐이다. 하지만 케이블의 도체와 지오메트리, 절연과 차폐 그리고 측정 결과 등을 집요하게 파고든 사람이 있다. 바로 세르게이(Serguei Timachev)라는 사람이다.

세르게이는 케이블의 물리적 구조와 전기적 특성 등에 따라 어떤 퍼포먼스로 귀결되지는 지에 대해 굉장히 다양한 연구를 해온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그가 만든 케이블 브랜드가 바로 스텔스다. 마치 레이더에 걸리지 않은 스텔스 비행기처럼 그의 잠행은 시작되었지만 낭중지추였다. 동과 은 그리고 금 등의 도체를 가리지 않고 자유자재로 사용하면 자신만의 독보적인 설계 방식을 체계화한 그의 케이블은 까다로운 하이엔드 오디오 마니아들 사이에 화제가 되기 시작했다. 케이블계 스텔스같은 존재, 세르게이의 스텔스의 정체성이다.


검은 마법 ?


그자 주창한 이론들은 상당히 다양하다. 연선이 아닌 단심선을 사용하며 초박형 도체의 장점을 주장해왔다. 때론 아몰퍼스, 극 비정형 도체를 오디오 시그널이 흐르는 하이파이 케이블에 적용해 화제를 뿌리기도 했다. 비정형 도체에 또 다른 비정형 소재인 테플론을 사용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어떤 경우엔 케이블 구조 내부의 일부 공간에 헬륨 가스를 주입하는 등 전통적인 케이블 설계에 파란을 일으킨 장본인이다. 그는 특히 전기적 공진은 물론 물리적 진동 컨트롤에 대해서도 집요한 연구를 진행해 자사 케이블에 적용해오고 있다. 특별한 터미네이션 기술도 스텔스의 특징 중 하나며 특히 케이블의 임피던스를 자유자재로 다양하게 바꾸어 튜닝이 가능하다는 점은 무척 신뢰가 간다.

‘Black Magic’이라는 이름을 달고 갑자기 나타난 V16 이더넷 케이블을 처음 만났을 때 이것은 정말 마법 같은 소리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여러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해보고 리뷰 해보았지만 이 제품은 기존에 사용했던 것들과 기본 베이스가 다른 소리를 냈다. 어떻게 랜 케이블이 그런 음질적 변화를 만들어내는지 나조차도 당황스러웠던 경험이었다.


V20으로 진화한 블랙 매직

그리고 얼마가 지났을까? V16은 진화했다. 기존에 카본 소재 단자 대신 금속 재질의 단자를 사용한 V18이 태어났다. 케이블의 두께도 좀 더 얇아진 모습이었다. 그리고 이번에 만난 V20은 다시 한번 튜닝을 거쳐 새롭게 태어난 버전이다. 하지만 V20에 대한 정보는 현재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본사 홈페이지에서 아직 제품 정보에 대해 업데이트가 되어있지 않은데 일단 기존 버전과 비교해가며 그 성능에 대해서만 테스트해보았다.


셋업

스텔스 블랙 매직 케이블 테스트는 하이파이클럽 메인 시청실에서 진행했다. 일단 소스기기는 에어 QX5 Twenty를 사용했으며 옥타브 V70 A Class 앰프를 사용했다. 스피커는 최근 거의 레퍼런스 모니터로 활용 중인 B&W 802D3다. 사실 기존에 옥타브 V70 A Class를 리뷰했을 당시 사용한 케이블이 바로 블랙 매직 V16이었다. 아마도 기존 V16 리뷰 그리고 V70 앰프에 대한 필자의 리뷰를 읽어보았다면 알겠지만 V16만 해도 상당히 훌륭한 케이블이다.

여타 케이블과 비교해도 이 케이블은 약음 처리 능력이 굉장히 뛰어나고 넓은 대역에 걸쳐 매우 세밀한 다이내미즘을 보여준다. 이런 성능이 음악 감상에 미치는 영향은 다름 아닌 실체감의 증가다. 마치 녹음 현장에서 느낄 수 있을 법한 실체감과 앰비언스의 전달력이 훌륭하다. 물론 미시적인 측면에서의 변화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하이엔드 시스템에서 그 성능 폭은 더욱 크다. 참고로 네트워크 관련 허브나 스트리밍 플레이어가 어느 정도 수준 이상으로 올라갔을 때 더욱 그 성능 체감이 확실하다.

참고로 이번 블랙 매직 V20 테스트는 웨이버사 W 코어/W 라우터 콤비와 에어 어쿠스틱스 QX5 Twenty 사이에 연결해 테스트했음을 밝힌다. 음원은 모두 NAS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면서 음질적 변화를 살폈다.


퍼포먼스


Anne Bisson - Da umtem im tale
TALES FROM THE TREETOPS

V16 또한 뛰어난 케이블이다. 그리고 V18과 V20으로 진화했다고 해서 그 자체 성향 자체가 바뀌진 않은 모습이다. 하지만 미세하게 정보량 등 여러 부분에서 차이가 드러났다. 앤 비송의 ‘Da untem im tale’(16/44.1, Flac) 같은 곡에서 피아노 타건이 더 또렷하게 들린다. 아마두 배경이 더욱 정숙해진 이유가 아닐까 하는데 기음이 두렷하고 배음 구조가 매우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악기의 음색 뉘앙스가 더욱 돋보인다. 케이블의 변화도 있지만 이 외에 단자 등 여러 미세한 튜닝의 변화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보컬은 포함해서 1~3Khz 사이 중, 고역의 윤곽이 정교하면서도 무척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을 보인다.

Alison Balsom - Gymnopedie No.3
Paris

중, 고역을 좀 더 테스트해보기 위해 앨리슨 발솜의 [Paris] 앨범 중 ‘Gymnopedie No.3’(16/44.1, Flac)을 재생해보았다. 여러 악기들 중에서도 배음 특성이 굉장히 복잡한 트럼펫 같은 관악기에서 블랙 매직 V20의 특성은 좀 더 두드러져 드러났다. 24비트 고해상도 음원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역으로 치고 올라가는 동안 어떤 잡티가 삐걱거리는 느낌을 받을 수 없었다. 투명도가 무척 높아지는데 그렇다고 해서 소리의 입자를 지워버려 매끈하게 다듬어내는 소리가 아니며 하얗게 탈색시키지도 않는다.

Julia Fischer
J.S. Bach: Sonatas and Paritas for Solo Violin

확실히 이런 중, 고역 대역에서 변화가 가장 큰데 상당히 좋게 들었던 V16에서도 다시 한번 진화했다는 생각이 더 굳어졌다. 율리아 피셔의 바흐 바이올린 소나타(24/96, Flac)를 들어보면 약음과 약음, 강음과 강음들 사이의 좀 더 미묘한 소리 크기의 변화들이 더욱 세세하게 구분되어 들린다. 아마도 처음 들으면 너무 선명하고 깨끗한 소리에 놀랄지도 모르지만 나는 이것이 아날로그에 더 가까운 소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오히려 기존 버전에서 느꼈던 온도감이 감쇄되고 투명도는 더욱 높아진 모습이다. 쾌감이라는 측면에선 기존보다 더 높아졌다고 볼 수 있으며 대부분의 하이엔드 오디오 마니아들이 더 반길만한 소리다.


Bob Dylan - Man in the long black coat
OH MERCY

밥 딜런의 ‘Man in the long black coat’(16/44.1, Flac)에서는 정보량, 해상력의 상승이 눈에 띈다. 일단 매우 적막한 배경 표현은 기본이며 그 위로 하나하나의 악기가 실오라기도 걸치지 않은 듯 선명하게 모습을 드러낸다. 특히 베이스 기타의 표현이 돋보이는데 중, 저역대 또한 악기들의 구분이 매우 명확하게 이루어져 강건한 느낌이 든다. 또한 각 악기들이 공간 안에서 빼곡히 늘어서며 단조롭게 표현되지 않고 충분한 거리를 두고 위치해 더 널찍하고 입체적인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더불어 어택, 디케이, 서스펜션 등 어떤 부분에서도 너무 이완되거나 너무 팽팽하게 조여지지 않고 적당한 탄력과 리듬감을 피로한다.

Andris Nelsons, Boston Symphony Orchestra
Shostakovich: Symphony No.5

악기의 개수가 많아져도 뭉치거나 너무 억세게 감상자를 향해 공격적으로 다가오는 일은 없다. 전반적으로 기존 버전 대비 토널 밸런스나 사운드 스테이징 측면보단 다이내믹스와 해상력, 디테일 등의 세부적인 표현력이 더 상승했다. 안드리스 넬슨스 지휘,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쇼스타코비치 교향곡 5번 4악장(24/96, Flac)에서 이는 더욱더 큰 폭의 차이로 드러난다. 각 악기들의 위치가 선명하면서도 더 싱싱하고 활달한 동적 표현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치 모든 이물질이 제거된 듯 생생한데 기존 버전보다 더 치밀하고 에지 넘치는 소리로 전이된 인상이 지배적이다.


총평

다른 케이블도 마찬가지지만 이더넷 케이블의 경우 그 변수가 상당히 많다. 오디오 컴포넌트 외에 허브나 공유기 등 각 사용자마다 오디오 이외의 환경에서 매우 다른 제반 환경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같은 케이블도 다른 결과를 얻곤 한다. 하지만 블랙 매직 V20 테스트에서 기존 버전과 비교 등을 통해 얻은 결론은 블랙 매직만의 특성이 상당히 독보적이라는 점이다. 대개 동일한 메이커의 경우 아날로그 케이블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스텔스의 경우는 그 반대로 이더넷 케이블만으로 스텔스 케이블의 전반적 특성을 짐작할 수 있었다. 굉장한 정보량과 고순도, 온도감은 낮지만 더 단단하고 명징해진 음결 등은 네트워크 스트리밍을 통한 음악 감상의 쾌감을 한층 더 높여줄 것이다. 다시 비상한 블랙 매직의 세 번째 이더넷 케이블 V20은 케이블 이름대로 처음 들으면 블랙 매직 같다는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

Written by 오디오 칼럼니스트 코난



<저작권자 ⓒ 하이파이클럽(http://www.hificlu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세계에서 가장 디테일하게 물건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는? 동영상 있음 다나와
초보 영상 크리에이터에게 유용한 프로그램 3종!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AI로 완전히 달라진 가정용 CCTV IP카메라, 아이피타임 C400G·C500G 베타뉴스
진짜 가성비 QHD 고해상도 모니터! [프리미엄 리포터V]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현대차, 고성능 전기 세단 아이오닉 6 N 공개..."무엇도 따라오지 못할 차" (6) 오토헤럴드
[시승기] 볼보 XC90 부분변경, 하이라이트는 빛의 속도로 빨라진 '이 것' 오토헤럴드
미니멀 데스크테리어 완성의 중심, 앱코 UD20M 미니웨일 듀얼 챔버 미니 케이스 케이벤치
힘들게 콘크리트 뚫던 시절은 끝났습니다!! 최종 진화해버린 요즘 건식 코어드릴 클라쓰?! 【Ep.482】 동영상 있음 공구왕황부장
이러다가 변신도 하는거 아니야? 목, 허리 다 잡아주는 제닉스 아레나 아크체어 6D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갤럭시 Z 플립 역대 모델 총정리 (3) 동영상 있음 다나와
작지만 알찬 가성비 메인보드, ASUS PRIME H810M-A 코잇 노트포럼
게임하기 딱 좋은 라이젠5 7500F 컴퓨터 [2025년 7월 이달의 추천 데스크톱PC]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27인치 커브드 모니터가 15만원대? [프리미엄 리포터V]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시승기] '세그먼트를 뛰어넘은 프리미엄 콤팩트' BMW 뉴 1시리즈  오토헤럴드
완전 게임기로 변신! Y700 시리즈 전용 컨트롤러! 리전 게이밍 컨트롤러 G9 (1)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갤럭시 Z 플립 7 시리즈 비교 및 변화점 총정리 (최초 DeX 지원, FE 모델 출시) (2) 동영상 있음 고나고
갤럭시 Z 폴드 7 미리 써본 후기 & 주요 변화점 5가지 동영상 있음 고나고
미들레인지 게이밍 그래픽카드, ASRock 라데온 RX 9070 XT 스틸레전드 D6 16GB (2) 브레인박스
HDMI 다중 모니터 환경을 위한, 갤럭시 GALAZ 지포스 RTX 5050 BLACK OC D6 8GB DUAL HDMI (2) 브레인박스
지포스 RTX 50 시리즈 중에 막내 그래픽카드, PALIT 지포스 RTX 5050 DUAL D6 8GB - 이엠텍 브레인박스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