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AMD GPU, 플래그쉽 시장 복귀 선언. 라데온 RX 6800 XT/라데온 RX 6800

2020.11.19. 10:12:08
조회 수
3,104
1
댓글 수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JPG

 

요새 AMD를 보고 있으면 탄식이 절로 나오는데, 그 표현은 매번 다르지만 내용은 대체로 비슷합니다. "AMD 주식 좀 사둘걸" 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거든요. 오해하실까봐 미리 말씀드리는건데 기글하드웨어는 특정 주식의 투자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그저 AMD 제품이 엄청나게 성공하면서 AMD 주가 역시 따라 올랐다는 말을 하려는 것일 뿐입니다. 2015년에 2달러에서 놀고 있던게 지금 80달러를 넘겼으니 이만하면 엄청 많이 오른 거 맞잖아요? 어차피 돈이 없어서 못샀을것 같지만요.

 

코로나와 미국 주식 시장 광풍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다고 말해선 안되겠죠. 하지만 5년 전만 해도 파산할거란 소리가 돌던 회사입니다. 듣보잡 애널리스트들이 뭐든 던지고 보는 게 일이라고는 하지만, 그런 말이 나올 정도로 상태가 나빴던 회사가 여기까지 올라온 가장 큰 이유는 역시 AMD 스스로가 일궈낸 성공에 있겠죠. 라이젠이 불도저의 치욕을 씻고 인텔과 대등한 수준을 넘어서 세계 최고의 게이밍 CPU라고 불리는 날이 올거라고 누가 감히 상상이나 할 수 있었을까요? 

 

2.JPG

 

분명히 '세계 최고의 게이밍 CPU'라고 이야기했습니다. 하지만 게임이라면 CPU보다는 그래픽카드의 비중을 더 높게 치지 않을수가 없겠죠. 그럼 여기에선 어떨까요. AMD CPU의 존재감이 미미하던 시절에는 AMD 그래픽이야말로 AMD를 지탱하는 핵심 제품이었습니다. 그냥 CPU는 별 볼일 없지만 GPU빨을 받는 APU만큼은 경쟁력이 있다는 말을 듣기도 했었죠. 그 다음엔 좀 나아졌습니다. 폴라리스 아키텍처의 라데온 RX 480부터는 분명한 성과를 냈으니까요. 나중엔 채굴 광풍 덕을 보기도 했고요.

 

하지만 어디까지나 가성비 좋은 그래픽카드일 뿐, 그 이상은 아니었습니다. 라데온 7, 라데온 베가, 라데온 RX 5700 시리즈로 고급형 시장까지 범위를 넓혔지만 어디까지나 중급형에서 고급형에 해당되는 제품이었고요. 하드코어 게이머를 자극하는 최상급 플래그쉽 시장은 여전히 AMD의 자리가 비어 있었습니다. 물론 언제까지고 거기에 머무르란 법은 없습니다. AMD는 젠3 아키텍처의 라데온 5000 시리즈로 CPU 시장에서 인텔을 압도했습니다. 그 다음 목표는 자연스레 GPU가 되겠지요.

 

3.JPG

AMD는 라이젠 5000 시리즈 CPU의 발표에 이어 라데온 RX 6000 시리즈를 공개하며, NVIDIA의 신형 GPU인 지포스 RTX 30 시리즈와 새로운 경쟁을 시작할 것임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단순히 새로운 그래픽카드를 내놓겠다는 게 아닙니다. 라데온 RX 6800을 시작으로 하여 라데온 RX 6800 XT와 라데온 RX 6900 XT를 출시하며, 그 동안 비어있던 최상급 플래그쉽 그래픽카드 시장을 채우겠다고 선언했거든요. 고성능 라데온 그래픽카드를 기다리던 게이머들에게 이 이상 좋은 소식은 없겠지요.

 

물론 쉬운 상대가 아닙니다. 인텔이야 기존 공정과 구형 아키텍처에 메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몇 번 끓였는지 세어보기도 귀찮은 사골국만 계속해서 내놓고 있습니다. 하지만 NVIDIA는 지포스 RTX 30 시리즈에서 확실한 성능 향상과 꽤나 공격적인 가격 책정으로 지포스 RTX 20 시절의 분위기를 완전히 뒤바꿔 놓았습니다.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 AMD의 시도는 성공할 수 있을까요? 라데온 RX 6800 시리즈의 성능을 보면 가능성이 꽤 높아 보입니다. 몇 가지 조건이 붙긴 하지만요.  

 

 

라데온 RX 6800 시리즈, 이렇게 생겼습니다

 

4.JPG

 

AMD 라데온 RX 6800 XT, 라데온 RX 6800 언박싱 https://gigglehd.com/gg/8704197 에서 대충 어떻게 생겼는지는 소개했습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언박싱이기에 자세한 사진을 올리진 못했고요. 크기와 무게 측정, 분해를 비롯한 더 자세한 사진은 이제야 올려봅니다. 

 

 

라데온 RX 6800

 

4-1.JPG

 

라데온 RX 6800부터 먼저 보시죠. 라데온 RX 6800과 라데온 RX 6800 XT는 쿨러 두께와 일부 부품을 제외하면 내부 구조는 똑같은데, 라데온 RX 6800을 먼저 분해했으니 이쪽부터 보시는 게 설명이 더 편할 듯 합니다. 

 

5.JPG

 

라데온 RX 6800의 박스

 

6.JPG

 

뒷면

 

7.JPG

 

3선일치

 

8.JPG

 

박스 안쪽의 커버

 

9.JPG

 

그 뒤에는 안내문이 있습니다. 

 

10.JPG

 

바로 그래픽카드가 나옵니다. 저런 고급스러운 박스 안에 정전기 보호 비닐을 넣으면 품격이 떨어지겠죠. 이것도 그냥 꺼내면 안되고 하얀 장갑부터 끼어야 할것 같네요.

 

10-1.JPG

 

라데온 RX 6800

 

10-2.JPG

 

뒷면의 은빛 플레이트.

 

10-3.JPG

 

그래픽카드 상단. 방열판과 라데온 로고, 2개의 8핀 보조전원 포트가 있습니다. 

 

10-4.JPG

 

그래픽카드 아래. 방열판과 쿨링팬 연결 케이블이 보입니다. 

 

10-5.JPG

 

뒷면. 이것 참 끄트머리가 귀엽게 생겼구나 하고 살짝 만져봤는데 금속의 싸늘함만 손끝에 전달되라고요. 이게 레퍼런스의 포스인가 싶네요.

 

10-6.JPG

 

출력 포트는 HDMI 2.1, USB-C(DP Alt 모드) 포트가 각각 한개씩 있으며 디스플레이포트는 두개입니다. 그리고 여기에도 라데온 로고가 있군요.

 

10-7.JPG

 

8핀 보조전원 2개. 이정도는 파워에 다들 달려 있잖아요?

 

10-8.JPG

 

쿨링팬 구경은 80mm.

 

10-9.JPG

 

백플레이트의 R 로고.

 

11.JPG

 

무게는 1385g. 대충 1.4kg라고 칩시다. 백플레이트부터 쿨러 커버까지 모두 금속 재질이라 묵직합니다. 

 

12.JPG

 

길이는 267mm.

 

13.JPG

 

높이는 120mm.

 

14.JPG

 

두께는 2슬롯. 어차피 요새 그래픽카드는 2슬롯부터 시작하고, 2슬롯이나 2.75슬롯이나 공기 흐름을 생각하면 결국 3슬롯을 비워야 하는 건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래픽카드가 얇을수록 조립과 시스템 쿨링 환경에 여유가 생긴다는 점은 변하지 않습니다.

 

24.JPG

 

금속제 백플레이트를 분리했습니다. 

 

25.JPG

 

GPU 바로 뒤를 지탱하는 지지대.

 

26.JPG

 

라데온 RX 6800의 기판.

 

27.JPG

 

삼성의 GDDR6 메모리. 이것 8개를 장착해 16GB를 구성했습니다. 칩 하나당 용량이 2GB란 소리군요.

 

28.JPG

 

GPU 주변의 메모리 칩. 메모리 버스는 256비트입니다. 8개의 칩으로 구성됐으니 칩 하나당 32비트가 됩니다.

 

29.JPG

 

나비 21 GPU. 다이 크기는 519제곱mm.

 

30.JPG

 

GPU 왼쪽의 전원부. 6페이즈로 보입니다. 

 

31.JPG

 

GPU 오른쪽의 전원부. 9페이즈로 보입니다. 

 

32.JPG

 

각 전원부를 구성하는 부품.

 

33.JPG

 

8핀 보조전원 2개.

 

34.JPG

 

쿨링팬에 연결되는 2핀과 4핀 포트.

 

35.JPG

 

인피니언 35217 전원 관리 칩과 인피니언 XDPE132G5D 스위칭 레귤레이터.

 

36.JPG

 

8핀 보조전원 포트 뒤쪽 상단의 접점들.

 

37.JPG

 

출력 포트의 실드.

 

38.JPG

 

나비 21 GPU.

 

39.JPG

 

쿨러. 전원부와 메모리에는 회색 써멀 패드를 붙였고, GPU 다이 위에는 얇은 써멀 시트가 있습니다. 

 

40.JPG

 

GPU와 메모리 쪽 방열판은 구리 재질입니다.

 

41.JPG

 

방열판과 기판 사이의 프레임을 제거.

 

42.JPG

 

쿨링팬과 방열판을 분리.

 

43.JPG

 

알루미늄 재질의 방열판입니다. 히트 파이프 몇개 쯤은 있으리라고 생각했는데 그런거 없이 알루미늄 히트싱크 뿐이네요. 그렇다면 히트파이프를 넣어 온도를 더 낮추거나 쿨링팬을 하나 줄이는게 가능할지도 모르겠습니다. 

 

45.JPG

 

쿨링팬 자리에 맞춰 알루미늄 방열판을 가공했습니다. 

 

45-1.JPG

 

델타의 12V 0.45A 쿨링팬 3개를 장착.

 

46.JPG

 

GPU 뒷면의 무수히 많은 부품들.

 

 

라데온 RX 6800 XT

 

46-1.JPG

 

라데온 RX 6800 XT입니다. 라데온 RX 6800에서 더 두꺼워지고, 라데온 로고가 빨간색에서 하얀색으로 바뀌었으며(빨간색 불 들어온다는 점은 같습니다), 부품이 일부 바뀌었습니다. 

 

47.JPG

 

라데온 RX 6800 XT의 박스

 

48.JPG

 

박스 뒷면.

 

49.JPG

 

개봉. Welcome to the red team.

 

50.JPG

 

커버 뒷쪽의 안내문.

 

51.JPG

 

커버 아래에 그래픽카드가 있습니다. 

 

51-1.JPG

 

라데온 RX 6800 XT.

 

51-2.JPG

 

뒷면의 은색 백플레이트

 

51-3.JPG

 

라데온 로고와 8핀 보조전원 2개.

 

51-4.JPG

 

라데온 RX 6800보다는 두껍습니다. 

 

51-5.JPG

 

아랫면.

 

51-6.JPG

 

출력 포트는 같습니다. HDMI x1, DP x2, USB-C x1.

 

51-7.JPG

 

8핀 보조전원 2개.

 

54.JPG

 

크기 267mm

 

55.JPG

 

높이 120mm

 

56.JPG

 

두께 2.5슬롯. 

 

57.JPG

 

무게 1499g. 1.5kg이군요.

 

65.JPG

 

쿨러의 구조는 라데온 RX 6800과 거의 같습니다. 

 

66.JPG

 

라데온 RX 6800 XT의 기판 사진. 

 

67.JPG

 

GPU 오른쪽의 전원부. 9페이즈 구성으로 보입니다.

 

68.JPG

 

GPU 왼쪽의 전원부. 5페이즈 구성으로 보입니다.

 

69.JPG

 

라데온 RX 6800과 인덕터는 똑같은 걸 사용하지만 통합 전원 칩은 다른 걸 씁니다. 인피니언 로고가 보이네요.

 

70.JPG

 

GPU 왼쪽 전원부에 달린 칩.

 

71.JPG

 

라데온 RX 6800은 4핀과 2핀 커넥터를 사용하는데 라데온 RX 6800 XT는 4핀과 4핀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또 쓰지 않는 2핀 커넥터도 기판에 달려 있네요.

 

72.JPG

 

쿨러 가이드, 방열판, 쿨링팬.

 

73.JPG

 

쿨링팬과 케이블의 연결.

 

74.JPG

 

라데온 RX 6800 XT도 얇은 알루미늄 방열핀으로 구성됐습니다. 

 

75.JPG

 

쿨링팬의 모양에 맞춰 나뉘어진 방열판.

 

75-1.JPG

 

라데온 RX 6800과 라데온 RX 6800 XT의 비교.

 

75-2.JPG

 

라데온 로고의 색상과 그래픽카드 두께가 다릅니다. 빨간색과 하얀색, 2슬롯과 2.5슬롯. 

 

76.JPG

비교를 위해 MSI 지포스 RTX 3070 게이밍 X 트리오 8GB 트라이프로져2를 https://gigglehd.com/gg/8557944 가져왔습니다. MSI 지포스 RTX 3090 게이밍 X 트리오 D6X 24GB 트라이프로져2나 https://gigglehd.com/gg/8301264 MSI 지포스 RTX 3080 게이밍 X 트리오 D6X 10GB 트라이프로져2라고 https://gigglehd.com/gg/8242387 해도 될 겁니다. 다들 똑같이 생겼으니까요.

 

77.JPG

 

 

일단 길이가 짧고요. 라데온 RX 6800 XT와 지포스 모두 3슬롯은 아니지만 라데온 쪽이 더 얇아 보이네요. 디자인 때문인듯 합니다. 

 

 

테스트 환경 소개: 세계 최고의 게이밍 데스크탑 프로세서 라이젠 9 5900X

 

200.jpg

 

AMD의 주장에 따르면 '세계 최고의 게이밍 데스크탑 프로세서'인 라이젠 9 5900X를 사용했습니다. 써놓고 보니 'AMD의 주장에 따르면'은 빼도 될것 같네요. 그게 사실이니까요. 솔직히 말해서 예전에는 그래픽카드 테스트에 라이젠을 쓴다고 하면 '어떤 게임이나 항목에서는 인텔이 더 잘나온다고 하더라고요'라고 관계자들이 귀뜸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물론 지금 그렇게 말했다가는 망발이겠죠. 세상 참 많이 변했네요. 그래서 아무런 부담 없이 라이젠 9 5900X를 테스트에 사용했습니다. 

 

메인보드는 MSI MEG X570 갓라이크입니다. 정식 출시 전에 스마트 액세스 메모리 기능을 제공하는 리뷰용 바이오스를 제공하는 메인보드가 아직은 많지 않아서 다른 걸 고를 수가 없더군요. 메모리는 DDR4-3200 16GB 듀얼채널, 비교용 그래픽카드는 기존 리뷰에서 썼던 MSI 게이밍 시리즈를 그대로 썼습니다. 운영체제는 윈도우 10 20H2, 드라이버는 AMD의 경우 리뷰 키트와 함께 배포한 버전을, NVIDIA는 2020년 11월 13일 기준으로 공식 홈페이지에서 배포하는 최신 버전을 사용했습니다.

 

201.png

 

CPU: AMD 라이젠 9 5900X https://gigglehd.com/gg/8612109 

쿨러: BYKSKI B-FRD 360 RBW https://gigglehd.com/gg/5761047 

 

201-1.png

 

메인보드: MSI MEG X570 갓라이크 https://gigglehd.com/gg/5201838 (바이오스 버전 E7C34AMS. AGESA 1.1.0.0)

메모리: DDR4-3200 16GB 듀얼채널

운영체제: 윈도우 10 20H2

 

201-2.jpg

 

AMD 드라이버: 라데온 소프트웨어 아드레날린 2020 에디션 20.45.01.12

NVIDIA 드라이버: 지포스 게임 레디 457.30 WHQL

 

202.png

 

MSI 지포스 RTX 3080 게이밍 X 트리오 D6X 10GB 트라이프로져2 https://gigglehd.com/gg/8242387

 

203.png

 

MSI 지포스 RTX 3070 게이밍 X 트리오 8GB 트라이프로져2 https://gigglehd.com/gg/8557944

204.png

 

라데온 RX 6800 XT

 

205.png

 

라데온 RX 6800

 

GPU-Z에선 아직 라데온 RX 6800 시리즈를 완벽하게 인식하지 못합니다. AMD 공식 데이터를 우선해서 아래 표를 작성했습니다. 

 

205-1.JPG

 

제품명 라데온 RX 6800 XT 라데온 RX 6800
아키텍처 RDNA2
GPU Navi 21
다이 크기 519제곱mm
제조 공정 7nm
트랜지스터 수 268억 개
컴퓨트 유닛 72개 60개
스트림 프로세서 4608개 3840개
게임 클럭 2015MHz 1815MHz
부스트 클럭 2250MHz 2105MHz
ROP 128개 96개
레이 엑셀레이터 72개 60개
단정밀도 최고 성능 20.74TFLOPS 16.17TFLOPS
반정밀도 최고 성능 41.47TFLOPS 32.33TFLOPS
최고 픽셀 필레이트 288GP/s 201.1GP/s
인피니티 캐시 128MB
메모리 용량 16GB GDDR6
메모리 대역폭 512GB/s
메모리 인터페이스 256비트
그래픽카드 인터페이스 PCIe 4.0
출력 포트 HDMI x1, DP x2, USB-C x1
크기 267x120mm
두께 2.5슬롯 2슬롯
그래픽카드 소비 전력 300W 250W
권장 파워 용량 750W 650W
가격 649달러 579달러

 

 

본론은 시작도 안했는데 결론부터. 귀찮은 분들을 위한 성능 요약

 

207.JPG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게임을 다 벤치마크하진 못해도, 되는대로 많은 게임을 테스트해서 올리는 게 이 귀하신 그래픽카드에 대한 예의일 것입니다. 물론 그게 불가능하다는 건 다들 알고 계시죠? 그래서 게임 선택 기준부터 설명을 해드려야겠네요. 일단은 내장 벤치마크가 있는 게임으로 채웠습니다. 그래야 테스트 조건을 맞춰 비교하기가 쉬우니까요. 어새신 크리드: 발할라나 와치독: 리전 같은 게임이 이번에 추가된 것도 제가 하는 게임이라서가 아니라, 내장 벤치마크가 있어서입니다. 

 

반대로 나름대로의 유명세가 있는 최신 게임들을 넣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데스 스트랜딩이나 컨트롤이 여기에 해당되는군요. 벤치마크가 없으니 참 사기 싫던데, 나중에 추가하던가 해야겠네요. 배틀그라운드는 벤치마크도 없고, 테스트 조건(맵이나 장소)를 많이 따지지만 이걸 안 넣을 순 없겠죠. 또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이나 더트 5는 AMD가 게임 코드를 제공해서 테스트에 넣었습니다. 더트 5의 경우 다이렉트 X 레이트레이싱 옵션을 미리 사용하는 베타 코드까지 함께 받았네요.

 

208.JPG

 

사설이 왜 이렇게 기냐고요? 테스트한 게임이 많다는 걸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게임 수도 많거니와, 게임별로 해상도가 3개씩이니 분량이 더욱 늘어나지요. 사실 테스트도 상관 없고, 그 그래프를 넣는 것도 상관 없습니다. 그런데 여러분들이 그 그래프를 하나하나 찬찬히 보실거라고는 생각되지가 않더군요. 그래서 이번에는 성능 비교표를 만들어서 그것부터 소개하기로 했습니다. 지포스 RTX 3070과 라데온 RX 6800, 지포스 RTX 3080과 라데온 RX 6800 XT의 성능 비율로 채운 표입니다. 

 

지금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건 절대적인 프레임도 있지만, 경쟁 상대에 비해 성능이 얼마나 나오는지를 더 먼저 알고 싶어하겠지요. 이 비율을 한데 다 합쳐서 누가 누구보다 몇% 높다고 줄을 세워버릴수도 있겠으나 그건 하지 않았습니다. 어떤 게임에서 5%가 차이나고, 다른 게임에서 10% 차이나는데 그걸 한데 합쳐서 뭉뚱그리가 참 애매하다고 생각됐거든요. 이건 전적으로 어떤 게임을 고르느냐에 따라서 달라지니까요. 그래서 게임별 비율만 따지고 전체 비율은 계산하지 않았습니다. 

 

여기서는 성능뿐만 아니라 가격도 함께 봐야 합니다. 지포스 RTX 3070은 380달러, 지포스 RTX 3080은 699달러입니다. 이건 어디까지나 파운더스 에디션 기준이고, 커스텀 모델에선 가격대가 더욱 다양해집니다. 여기에서 쓴 그래픽카드는 오버클럭된 MSI의 게이밍 X 시리즈이니 공식 가격을 기준으로 잡기 좀 애매한 점도 있죠. 무엇보다 지포스 RTX 30 시리즈는 저 가격에 제품을 구하기가 참 힘들 정도로 물량이 부족합니다. 하지만 일단은 정식 발표 가격을 기준으로 삼아 비교하기로 했습니다.

 

209.JPG

 

라데온 RX 6800 시리즈의 공식 발표가는 라데온 RX 6800이 579달러, 라데온 RX 6800 XT가 649달러입니다. 라데온 RX 6800을 지포스 RTX 3070과 비교하면 16% 비싸고, 라데온 RX 6800 XT를 지포스 RTX 3080과 비교하면 7% 싸군요. 그럼 라데온 RX 6800의 성능은 16% 이상 높아야 하고, 라데온 RX 6800 XT는 7% 정도 낮아도 괜찮다는 견적이 나옵니다. 물론 이걸 딱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그 이상의 숫자가 나온다면 가격 대 성능비가 더욱 좋아진다는 말이니까요.   

 

 

가격 RTX 3070 :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공식 발표가 비교 라데온이 16% 비쌈 라데온이 7% 저렴함
 
성능 비교: +는 라데온 우세, -는 지포스 우세
3D마크 타임스파이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총점 7% -1%
그래픽 7% -2%
 
3D마크 타임스파이 익스트림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총점 3% -6%
그래픽 4% -7%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총점 12% 7%
그래픽 30% 22%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익스트림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총점 24% 13%
그래픽 28% 18%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울트라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총점 19% 10%
그래픽 23% 13%
 
VR마크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시안 룸 21% 12%
 
어새신 크리드 오딧세이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3% -7%
2560x1440 20% 1%
3840x2160 20% 8%
 
데이어스 엑스: 맨카인드 디바이디드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0% -19%
2560x1440 20% -3%
3840x2160 13% -2%
 
더트 5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51% 27%
2560x1440 46% 26%
3840x2160 42% 21%
 
더트 5(DXR)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48% 33%
2560x1440 45% 27%
3840x2160 39% 17%
 
포 아너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23% 9%
2560x1440 20% 4%
3840x2160 8% -11%
 
기어즈 5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2% 12%
2560x1440 -3% 11%
3840x2160 -1% 3%
 
호라이즌 제로 던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4% -2%
2560x1440 11% -2%
3840x2160 11% -9%
 
미들어스: 쉐도우 오브 워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9% 3%
2560x1440 14% 1%
3840x2160 6% -4%
 
배틀그라운드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2% -3%
2560x1440 7% -3%
3840x2160 2% -12%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4% -1%
2560x1440 12% -4%
3840x2160 10% -11%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DXR)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10% -17%
2560x1440 -7% -19%
3840x2160 0% -21%
 
스트레인지 브리게이드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3% -10%
2560x1440 4% -10%
3840x2160 7% -11%
 
토탈 워: 삼국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7% -6%
2560x1440 5% -12%
3840x2160 29% -19%
 
어새신 크리드: 발할라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31% 39%
2560x1440 23% 32%
3840x2160 17% 25%
 
파 크라이 5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7% -7%
2560x1440 2% -7%
3840x2160 18% -1%
 
레인보우 식스: 시즈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15% 15%
2560x1440 7% 5%
3840x2160 -2% -11%
 
디비전 2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2% -12%
2560x1440 9% -5%
3840x2160 2% -11%
 
와치독 리전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5% 11%
2560x1440 1% 1%
3840x2160 -5% -11%
 
와치독 리전(DXR)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0% -3%
2560x1440 5% -4%
3840x2160 4% -10%
 
레드 데드 리뎀션 2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15% -1%
2560x1440 25% 3%
3840x2160 비교불가 12%
 
월드 워 Z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8% -9%
2560x1440 5% -3%
3840x2160 12% -1%
 
좀비 아미 4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13% -20%
2560x1440 -8% -18%
3840x2160 -4% -16%
 
갓폴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3% -14%
2560x1440 4% -14%
3840x2160 -10% -15%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1% -7%
2560x1440 3% -5%
3840x2160 4% -6%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DXR)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17% 33%
2560x1440 2% 20%
3840x2160 -2% -14%
 
콜 오드 듀티: 워존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12% 8%
2560x1440 15% 0%
3840x2160 20% -7%
 
콜 오드 듀티: 워존(DXR) RX 3070 vs RX 6800

RTX 3080 : RX 6800 XT

1920x1080 13% 7%
2560x1440 16% 5%
3840x2160 12% -5%

 

 

 

예습이 끝났으니 이제 진짜 성능 그래프

 

210.JPG

 

이에 표는 다들 보고 오셨죠? 이제 하나하나 따져 봅시다. 라데온 RX 6800 XT가 지포스 RTX 3080 급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어떤 항목에서는 지고, 어떤 항목에서는 이깁니다. 3D마크 하나만 봐도 타임 스파이에서는 약간 뒤쳐지지만 파이어 스트라이크에서는 크게 앞섭니다. 게임에선 더 말할 것도 없네요. 파 크라이 5나 갓폴에서는 일관되게 지포스의 성능이 좋습니다. 반면 더트 5나 어새신 크리드 발할라,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에서는 라데온 RX 6800이 지포스의 상위 모델이라 생각될 정도로 앞서나가네요. 이걸 모두 합쳐서 '라데온 RX 6800 XT는 지포스 RTX 3080 급의 그래픽카드'라고 말한다면 아주 틀린 말은 아닐 것입니다. 라데온 RX 6800 XT가 지포스 RTX 3080보다 조금이나마 싼 그래픽카드임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라데온 RX 6800의 경우 지포스 RTX 3070보다 분명히 높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모든 항목에서 압도했다고 말할 수준은 아닙니다. 게임에 따라서는 지포스가 더 높게 나온 경우도 있거든요. 하지만 테스트에 사용한 대부분의 게임에서 라데온 RX 6800은 더 높은 성능을 보여줬습니다. 16%의 가격 차이만큼 성능 차이가 항상 나는 건 아닙니다. 그건 게임마다, 해상도마다 다르거든요. 하지만 라데온 RX 6800와 지포스 RTX 3070의 성능 차이를 보고 있노라면 NVIDIA가 지포스 RTX 3070 Ti를 준비한다는 소문의 신빙성이 매우 높아 보이네요. 라데온 RX 6800은 지포스 RTX 3070과 RTX 3080 사이의 꽤 넓은 공간을 아주 잘 파고들었습니다.

 

211.jpg

 

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에 대해서도 짚고 넘어가야겠네요. 아직은 이를 지원하는 게임이 많지 않지만, 다이렉트 X라는 표준으로 정해진 만큼 앞으로 레이 트레이싱의 대세라고 정해진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일부 게임에서 먼저 구현했던 자체적인 레이 트레이싱 표현은 이제 큰 의미가 없을거란 소립니다. 또 게임마다 사용하는 수준이 다릅니다. 대부분의 게임은 그림자 효과에 레이 트레이싱을 쓰는데 그마저도 성능 차이가 제각각입니다. 하지만 RT 코어라는 전용 유닛을 내장한 지포스 RTX 30 시리즈와 비교해도 라데온 RX 6000 시리즈는 크게 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3D마크나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에서는 라데온이 뒤쳐지지만 더트 5나 와우 어둠땅, 콜 오브 듀티 워존에서는 오히려 앞서는 모습을 보여주기까지 합니다.

 

또 피델리티 FX가 있습니다. 앰비언트 오쿨루전, 가변 쉐이딩, 스크린 공간 방사, 노이즈 제거, HDR 맵퍼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특수 기능 모음이죠. 물론 게임에서 지원해야만 쓸 수 있습니다. 또 화질과 성능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기에 이걸 켠 상태로 다른 그래픽카드와 성능을 비교하는 건 공정하지 못합니다. NVIDIA의 DLSS와 비슷하죠. 그래서 성능 비교에서는 피델리티 FX를 사용하지 않으나, 벤치마크가 아닌 게임 플레이가 목적인 게이머들이라면 피델리티 FX를 켜서 더 나은 그래픽 표현으로 게임을 즐겨볼 이유가 충분합니다. 피델리티 FX를 켰을 때 게임에서 그래픽이 어떻게 변하는지는 AMD가 공개한 영상을 통해 알 수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은 확인해 보세요. https://twitter.com/Radeon/status/1328462124037910528

 

222.jpg

 

라데온 RX 6800 시리즈는 스마트 액세스 메모리를 지원합니다. 전통적인 PCIe 표준에선 CPU가 그래픽카드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는 용량이 256MB로 제한되지만, 스마트 액세스 메모리를 켜면 모든 용량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보다 유연한 활용이 가능해집니다. 준비물은 라이젠 5000 시리즈 프로세서, 라데온 RX 6000 시리즈 그래픽카드, AMD 500 시리즈 칩셋을 탑재한 메인보드에 AGESA 1.1.0.0 이상의 마이크로코드와 라데온 소프트웨어 20.11.2 이상의 드라이버, 그리고 바이오스 설정입니다. 

 

또 라데온 RX 6800 XT는 거기에 추가로 레이지 모드라는 오버클럭 프로파일까지 제공합니다. 한글화된 드라이버에선 '성능-튜닝-사전 설정-격렬히'를 선택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게 모든 상황에서 항상 효과를 내는 건 아닙니다. AMD의 공식 설명에 따르면 스마트 액세스 메모리는 최대 10%의 성능 향상을 보여주는 분야도 있으나, 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항목도 있습니다. 아래 표는 전통적인 저전압 설정과 오버클럭, 스마트 액세스의 비교인데 여기에선 1~5% 정도의 성능 향상이 있었습니다. 

 

223.jpg

 

3D마크 타임 스파이 RX 6800 XT 저전압: 1125mV GPU 오버클럭: 2529MHz 메모리 오버클럭: 2150MHz 레이지 모드 스마트 액세스 메모리 레이지 모드 + 스마트 액세스 메모리
총점 16504 16553 16496 16420 16624 16540 16576
그래픽 17639 17795 17824 17703 17865 17673 17802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RX 6800 XT 저전압: 1125mV GPU 오버클럭: 2529MHz 메모리 오버클럭: 2150MHz 레이지 모드 스마트 액세스 메모리 레이지 모드 + 스마트 액세스 메모리
총점 36049 36364 36749 36391 36865 36828 36689
그래픽 51079 51558 51849 51418 51846 51140 51655

 

Cap 2020-11-18 13-52-28-134.png

 

3D마크 타임 스파이

 

Cap 2020-11-18 13-52-42-252.png

 

3D마크 타임 스파이: 그래픽 스코어

 

Cap 2020-11-18 13-52-58-841.png

 

3D마크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

 

Cap 2020-11-18 13-53-11-352.png

 

3D마크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 그래픽 스코어

 

Cap 2020-11-18 13-53-32-507.png

 

3D마크 포트 로얄

 

Cap 2020-11-18 13-53-50-740.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Cap 2020-11-18 13-54-03-614.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그래픽 스코어

 

Cap 2020-11-18 13-54-16-592.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익스트림

 

Cap 2020-11-18 13-54-29-035.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익스트림: 그래픽 스코어

 

Cap 2020-11-18 13-54-49-017.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울트라

 

Cap 2020-11-18 13-54-59-244.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울트라: 그래픽 스코어

 

Cap 2020-11-18 13-55-32-599.png

 

 

3D마크 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피처 테스트

 

Cap 2020-11-18 13-56-37-855.png

 

3D마크 VRS 피처 테스트 티어2 4K: VRS 끔

 

Cap 2020-11-18 13-56-56-252.png

 

3D마크 VRS 피처 테스트 티어2 4K: VRS 켬

 

Cap 2020-11-18 13-57-11-229.png

 

3D마크 VRS 피처 테스트 티어2 4K: VRS 향상폭

 

Cap 2020-11-18 13-57-27-043.png

 

VR마크 시안 룸

 

Cap 2020-11-18 13-58-08-814.png

 

어새신 크리드 오딧세이: 1920x1080

 

Cap 2020-11-18 13-58-21-486.png

 

어새신 크리드 오딧세이: 2560x1440

 

Cap 2020-11-18 13-58-32-680.png

 

어새신 크리드 오딧세이: 3840x2160

 

Cap 2020-11-18 13-58-54-063.png

 

데이어스 엑스: 맨카인드 디바이디드: 1920x1080

 

Cap 2020-11-18 13-59-06-238.png

 

데이어스 엑스: 맨카인드 디바이디드: 2560x1440

 

Cap 2020-11-18 13-59-17-047.png

 

데이어스 엑스: 맨카인드 디바이디드: 3840x2160

 

Cap 2020-11-18 14-00-21-499.png

 

더트 5: 1920x1080

 

Cap 2020-11-18 14-00-33-058.png

 

더트 5: 2560x1440

 

Cap 2020-11-18 14-00-43-882.png

 

더트 5: 3840x2160

 

Cap 2020-11-18 14-01-21-628.png

 

더트 5(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1920x1080

 

Cap 2020-11-18 14-01-59-807.png

 

더트 5(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2560x1440

 

Cap 2020-11-18 14-02-10-115.png

 

더트 5(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3840x2160

 

Cap 2020-11-18 14-02-35-368.png

 

포 아너: 1920x1080

 

Cap 2020-11-18 14-02-48-819.png

 

포 아너: 2560x1440

 

Cap 2020-11-18 14-03-00-792.png

 

포 아너: 3840x2160

 

Cap 2020-11-18 14-03-41-422.png

 

기어즈 5: 1920x1080

 

Cap 2020-11-18 14-03-51-500.png

 

기어즈 5: 2560x1440

 

Cap 2020-11-18 14-04-09-092.png

 

기어즈 5: 3840x2160

 

Cap 2020-11-18 14-04-29-376.png

 

호라이즌 제로 던: 1920x1080

 

Cap 2020-11-18 14-04-39-135.png

 

호라이즌 제로 던: 2560x1440

 

Cap 2020-11-18 14-04-58-098.png

 

호라이즌 제로 던: 3840x2160

 

Cap 2020-11-18 14-05-22-038.png

 

미들어스: 쉐도우 오브 워: 1920x1080

 

Cap 2020-11-18 14-05-36-416.png

 

미들어스: 쉐도우 오브 워: 2560x1440

 

Cap 2020-11-18 14-05-54-325.png

 

미들어스: 쉐도우 오브 워: 3840x2160

 

Cap 2020-11-18 14-06-12-892.png

 

배틀그라운드: 1920x1080

 

Cap 2020-11-18 14-06-24-483.png

 

배틀그라운드: 2560x1440

 

Cap 2020-11-18 14-06-34-413.png

 

배틀그라운드: 3840x2160

 

Cap 2020-11-18 14-06-59-782.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1920x1080

 

Cap 2020-11-18 14-07-17-261.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2560x1440

 

Cap 2020-11-18 14-07-28-872.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3840x2160

 

Cap 2020-11-18 14-08-09-170.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1920x1080

 

Cap 2020-11-18 14-08-20-580.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2560x1440

 

Cap 2020-11-18 14-08-32-440.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3840x2160

 

Cap 2020-11-18 14-08-50-736.png

 

스트레인지 브리게이드: 1920x1080

 

Cap 2020-11-18 14-09-01-445.png

 

스트레인지 브리게이드: 2560x1440

 

Cap 2020-11-18 14-09-13-625.png

 

스트레인지 브리게이드: 3840x2160

 

Cap 2020-11-18 14-10-26-379.png

 

토탈 워: 삼국: 1920x1080

 

Cap 2020-11-18 14-10-36-454.png

 

토탈 워: 삼국: 2560x1440

 

Cap 2020-11-18 14-10-45-213.png

 

토탈 워: 삼국: 3840x2160

 

Cap 2020-11-18 14-11-11-430.png

 

어새신 크리드: 발할라: 1920x1080

 

Cap 2020-11-18 14-11-22-907.png

 

어새신 크리드: 발할라: 2560x1440

 

Cap 2020-11-18 14-11-34-900.png

 

어새신 크리드: 발할라: 3840x2160

 

Cap 2020-11-18 14-12-03-839.png

 

파 크라이 5: 1920x1080

 

Cap 2020-11-18 14-12-16-266.png

 

파 크라이 5: 2560x1440

 

Cap 2020-11-18 14-12-26-173.png

 

파 크라이 5: 3840x2160

 

Cap 2020-11-18 14-12-50-709.png

 

레인보우 식스 시즈: 1920x1080

 

Cap 2020-11-18 14-13-06-239.png

 

레인보우 식스 시즈: 2560x1440

 

Cap 2020-11-18 14-13-17-196.png

 

레인보우 식스 시즈: 3840x2160

 

Cap 2020-11-18 14-13-44-186.png

 

디비전 2: 1920x1080

 

Cap 2020-11-18 14-13-58-214.png

 

디비전 2: 2560x1440

 

Cap 2020-11-18 14-14-09-774.png

 

디비전 2: 3840x2160

 

Cap 2020-11-18 14-14-29-386.png

 

와치독: 리전: 1920x1080

 

Cap 2020-11-18 14-14-40-231.png

 

와치독: 리전: 2560x1440

 

Cap 2020-11-18 14-14-51-856.png

 

와치독: 리전: 3840x2160

 

Cap 2020-11-18 14-15-22-597.png

 

와치독: 리전(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1920x1080

 

Cap 2020-11-18 14-15-33-288.png

 

와치독: 리전(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2560x1440

 

Cap 2020-11-18 14-15-44-930.png

 

와치독: 리전(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3840x2160

 

Cap 2020-11-18 14-16-29-399.png

 

레드 데드 리뎀션 2: 1920x1080

 

Cap 2020-11-18 14-16-44-897.png

 

레드 데드 리뎀션 2: 2560x1440

 

Cap 2020-11-18 14-16-56-489.png

 

레드 데드 리뎀션 2: 3840x2160(지포스 RTX 3070은 메모리 용량 부족으로 실행 불가)

 

Cap 2020-11-18 14-17-20-858.png

 

월드 워 Z: 1920x1080

 

Cap 2020-11-18 14-17-31-633.png

 

월드 워 Z: 2560x1440

 

Cap 2020-11-18 14-17-44-842.png

 

월드 워 Z: 3840x2160

 

Cap 2020-11-18 14-18-12-415.png

 

좀비 아미 4: 1920x1080

 

Cap 2020-11-18 14-18-21-621.png

 

좀비 아미 4: 2560x1440

 

Cap 2020-11-18 14-18-32-514.png

 

좀비 아미 4: 3840x2160

 

Cap 2020-11-18 14-18-51-544.png

 

갓폴: 1920x1080

 

Cap 2020-11-18 14-19-01-255.png

 

갓폴: 2560x1440

 

Cap 2020-11-18 14-19-14-280.png

 

갓폴: 3840x2160

 

Cap 2020-11-18 14-19-37-702.pn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 1920x1080

 

Cap 2020-11-18 14-19-48-959.pn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 2560x1440

 

Cap 2020-11-18 14-20-02-037.pn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 3840x2160

 

Cap 2020-11-18 14-20-26-689.pn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1920x1080

 

Cap 2020-11-18 14-20-39-332.pn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2560x1440

 

Cap 2020-11-18 14-20-49-840.pn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3840x2160

 

Cap 2020-11-18 14-21-14-811.png

 

콜 오브 듀티: 워존: 1920x1080

 

Cap 2020-11-18 14-21-24-917.png

 

콜 오브 듀티: 워존: 2560x1440

 

Cap 2020-11-18 14-21-36-828.png

 

콜 오브 듀티: 워존: 3840x2160

 

Cap 2020-11-18 14-21-57-314.png

 

콜 오브 듀티: 워존(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1920x1080

 

Cap 2020-11-18 14-22-08-739.png

 

콜 오브 듀티: 워존(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2560x1440

 

Cap 2020-11-18 14-22-20-463.png

 

콜 오브 듀티: 워존(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 옵션): 3840x2160

 

 

250.JPG

 

그래픽카드에서 가장 중요한 건 성능과 가격입니다. 거기에 대해서는 앞에서 말했죠. 하지만 그게 그래픽카드의 전부는 아닙니다. 전력 사용량과 온도, 소음을 빼놓고 성능을 이야기해선 안됩니다. 아무리 절대적인 성능이 좋고 가성비가 우수해도 다른 걸 포기하면 좋은 그래픽카드가 아닙니다. 성능은 기가 막히지만 1000W짜리 고용량 파워도 숨이 넘어갈 만큼 전기를 빨아먹거나, 온 방안을 후끈하게 달궈주는 소형 난로에 후한 평가를 주는 건, 가끔 변태라고 오해받는 하드웨어 매니아 층이겠죠.

 

하지만 오해하진 마세요. 경쟁 상대가 이런 부분에서 극악한 수준이란 말은 아니니까요. 지포스 RTX 30의 파운더스 에디션도 온도 괜찮고 소음 잘 잡습니다. 이걸 토대로 만든 커스텀 그래픽카드 역시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죠. 거기에 대해선 MSI의 트라이프로져2 쿨러를 장착한 게이밍 X 시리즈 지포스 그래픽카드를 통해 소개한 바 있고요. 하지만 소음, 온도, 무엇보다 크기에서는 라데온 RX 6800 시리즈가 참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준다는 사실은 그 누구도 부정하지 못합니다.

 

251.JPG

 

요새 나오는 그래픽카드는 다들 조용하고 온도도 대체로 높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투자하는 쿨러의 수준은 그래픽카드마다 다릅니다. 라데온 RX 6800 시리즈는 3개의 쿨링팬을 달았으나 그 구경이 작고 그래픽카드의 전체 길이도 길지 않은 편입니다. 성능은 지포스 RTX 3070이나 지포스 RTX 3080과 비교할 만 하지만 그 크기는 훨씬 작지요. 가격 대 성능비란 말 대신 '크기 대 성능비'를 쓴다면 라데온 RX 6800 시리즈만큼 인상적인 그래픽카드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겁니다. 라데온 R9 나노 때도 그랬지만 AMD가 작게 만드는데는 일가견이 있네요.

 

252.png

 

시스템 전체 전력 사용량: 3D마크 타임 스파이 스트레스 테스트 20분 실행

 

253.png

 

그래픽카드 쿨링팬 소음: 30cm 거리에서 측정. 3D마크 타임 스파이 스트레스 테스트 20분 실행. 아이들 시엔 팬이 돌지 않아 소음도 0으로 표기했습니다.

 

254.png

 

GPU-Z 측정 온도: 3D마크 타임 스파이 스트레스 테스트 20분 실행

 

255.JPG

 

라데온 RX 6800 XT의 열화상 카메라 이미지: 3D마크 타임 스파이 스트레스 테스트 20분 실행

 

256.JPG

 

라데온 RX 6800의 열화상 카메라 이미지: 3D마크 타임 스파이 스트레스 테스트 20분 실행

 

 

AMD 라데온 RX 6800 XT, 라데온 RX 6800

 

256-1.JPG

 

AMD는 한동안 플래그쉽 그래픽카드 시장에 마땅한 제품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상황이 달라졌죠. 라데온 RX 6800 시리즈가 나왔으니까요. 라데온 RX 6800 XT는 분명 지포스 RTX 3080 '급'이라 부를만한 성능을 갖췄습니다. 더러는 앞서고 더러는 뒤쳐지지만, 출시된지 몇 달이 안된 최신 게임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준다는 건 꽤나 고무적인 결과입니다. 라데온 RX 6800은 지포스 RTX 3070과 비교할 그래픽카드가 아닙니다. 그 이상의 성능을 지녔거든요. 두 제품 사이의 가격을 생각하면 지극히 당연한 결과이기도 합니다. 어떻게 보면 AMD가 딱 성능에 맞춰 가격을 정했다고 말해도 되겠군요.

 

성능 외에도 주목할만한 점은 또 있습니다. 그 동안 라데온 그래픽카드는 제공하는 기능에서 뒤쳐졌던 게 사실입니다. 라데온 부스트나 안티 랙처럼 드라이버 튜닝을 통해 제공하는 기능이야 꾸준히 개선해 왔으나, 최근 그래픽 기술의 트렌드라고 할 수 있는 레이 트레이싱이 없었고 VRS 가변 쉐이딩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다이렉트 X 레이 트레이싱의 공식 지원과 함께 VRS까지 아우르는 피델리티 FX의 지원 확대를 통해 경쟁 상대와 같은 위치에서까지 올라섰습니다. 비록 NVIDIA가 이런 기능들을 먼저 도입하긴 했지만, 이 기능들이 다이렉트 X 얼티밋 같은 표준에 편입된 지금에야 진정한 경쟁이 시작됐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어떻게 보면 AMD는 늦은 게 아니라 표준이 정해지고 보급되길 기다린걸지도요.

 

257.JPG

 

라데온 RX 6800 시리즈의 장점은 또 있습니다. 경쟁 상대보다 더 작고, 더 얇으며, 전력 사용량도 더 낮습니다. 지원 기술과 성능에서 같은 수준에 올라섰는데 크기와 전력 사용량이 낮다면 그게 곧 경쟁력이 되겠죠. 무엇보다 보급형 그래픽카드를 작게 만든 게 아니라 플래그쉽 수준의 성능을 작은 크기로 실현해 냈다는 게 중요합니다. 이제 라데온 RX 6800 시리즈에 남겨진 숙제는 하나밖에 없습니다. 원활한 공급입니다. 지포스 RTX 30 시리즈도 처음 나왔을 땐 찬사를 받았지만 원하는 물량을 제때 대지 못해 원성을 샀지요. 라데온 RX 6800 시리즈의 경쟁력은 충분합니다.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충분히 공급해 낸다면, AMD의 플래그쉽 시장 복귀의 첫 걸음은 아주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겁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인텔 3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아이스레이크-SP 시리즈 공개
AMD 라데온 RX 6800 XT, 라데온 RX 6800 언박싱
주간뉴스 11/15 - 애플 실리콘 M1, 맥북/맥 미니, 젠3 IPC와 다이, 176단 낸드, 아이폰 12 미니 분해, 엑시...
보급형 CPU 3종, 인기 온라인 게임 3종 비교 테스트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BTF 시대, 진짜는 지금부터! ASUS TUF Gaming B850-BTF WIFI W 케이벤치
기발한 아이디어감성랜턴 3가지!!(ft.버티탭) 【Ep.481】 동영상 있음 공구왕황부장
고중량 모니터 암이 디자인까지 마음에 드네? 루나랩 매그넘 싱글 모니터 암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리뷰] 이 가격에 이 기능? 스테이션에 꽂으면 먼지까지 자동 비움! 500W 강력 흡입 틴도우 무선청소기 Teendow V11 STRONG MAX 실사용 리뷰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그래픽카드 살 때 대참사 막아주는 팁 1~4 (2) 동영상 있음 다나와
AI가 3분만에 만든 영상 퀄리티에 소름;;;; (2) 동영상 있음 THE EDIT
흔들림 없는 편안함!! 최대 하중 100kg! 핏쳐 전동식 모션 데스크 E2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성심당 갔다 무조건 들른다는 대전여행 필수코스 칼국수 맛집 동영상 있음 맛상무
F50 새로운 AG의 등장!! (F50 래디언트 블레이즈 팩 언박싱 리뷰) 동영상 있음 Allthatboots TV
앱코 UD20M 미니웨일 BLACK : 큐브 타입의 미니 어항 케이스! 쿨엔조이
강력한 게이밍 시즈모드. MSI 크로스헤어 18 HX AI A2XWGKG-U9 QHD+ 기글하드웨어
마이크론 Crucial X10 Portable SSD 아스크텍 (6TB): IP65 방수방진을 지원하면서 작고 빠른 고용량 스토리지 쿨엔조이
무시공 셀프설치로 14인치 안드로이드 내비 + 후방카메라까지? 갓성비 조합 찾아냄 카슬라 이거면 끝!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28TB 외장하드? NAS 케이스 갈이 했습니다. 동영상 있음 민티저
작정하고 내놓은 가성비 수랭 쿨러 'MSI MAG 코어리퀴드 A13 360' 미디어픽
이번 폴드7이 기대되는 이유? 갤폴드SE VS 오포 FInd N5 직접 써봐야 아는 의외의 결과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김종민 라면, 한도초과 도시락, 돌아온 혜자 바싹불고기, 골뱅이 비빔면~ 7월 둘째 주 편의점 신제품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메인스트림도 이제 3팬 시대 'PALIT 지포스 RTX 5060 INFINITY 3 D7 8GB 이엠텍' 미디어픽
Insta360 X5 완전 정복촬영법, 편집법, 단점까지 올인원 리뷰 동영상 있음 톡써니
8기통에 469마력! 근데 이제 4륜을 곁들인 || AMG GT55 4MATIC+ 동영상 있음 Motorgraph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