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5090 나와! 두 개 나와! MSI MEG AI1600T PCIe 5.0

2025.03.31. 13:13:22
조회 수
577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5814.JPG

 

하드웨어 벤치마크를 처음 시작할 무렵, 아는 분에게서 당시로선 매우 좋은 파워를 한 대 받았습니다. 얼마 전에 창고를 정리하다가 그 파워를 발견했는데, 처음 썼을 때는 매우 좋았을지 몰라도 이제 와서는 아주 평범하기 그지없는 스펙의 파워가 되어 버렸더라고요. 풀 모듈러도 아니고 80+ 골드라는 평범한 스펙에 용량은 600W에 불과했거든요. 요새 600W는 보급형 파워에서나 구경할 만한 용량이고요. 하이엔드 지포스 RTX 50 시리즈 그래픽카드에 무조건 하나씩 들어가는 12V-2x6 커넥터 하나가 600W까지 공급하고요. 현 세대 플래그쉽인 지포스 RTX 5090 한 대가 사용하는 표기 전력이 600W입니다. 그러니 그 파워 하나로는 요새 나오는 그래픽카드 한 대나 굴리는 수준이라는 소리죠. 이제 고성능 그래픽카드와 CPU가 달린 하이엔드 시스템을 쓰려면 파워 용량이 600W가 아니라 그 앞에 1을 더한 1600W라 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에까지 이르렀습니다. 

 

MSI MEG AI1600T PCIe 5.0은 1600W 용량의 하이엔드 파워입니다. 누가 봐도 토를 달 수가 없는 큰 용량에, 12V-2x6 커넥터 2개가 있어 지포스 RTX 5090 두 대를 달아도 거뜬히 감당할 수 있는 우월한 스펙을 자랑합니다. 물론 다른 커넥터의 수량도 풍부합니다. 8핀 PCIe가 9개, SATA 포트가 8개, 몰렉스가 8개니 주변 기기를 주렁주렁 달아두기에 충분한 숫자지요. 용량만 높고 출력 포트만 많은 것도 아니고요. 80+ 티타늄 인증을 받아 최고 94%의 효율을 확보했습니다. 큰 용량, 높은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서버 등급의 소재와 SiC 인터리브 PFC MOSFET 등의 고급 재료를 아낌없이 사용하고, 다양한 파워 보호 장치와 더불어 240%의 순간 전력까지 버텨냅니다. 또 MSI 제품군의 최고봉인 MEG 시리즈답게 묵직한 패키지와 고급스러운 디자인의 측면 LED를 보여주며, MSI 센터 앱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전력 상황을 가장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DSC05809.JPG

 

제품명 MSI MEG AI1600T PCIe 5.0
규격 ATX
출력 용량 1600W
입력 전압 100~240V AC
입력 주파수 50~60Hz
전력 효율 최고 94%, 80+ 티타늄 인증, 사이버네틱스 티타늄 인증, PPLP 티타늄 인증 
전압별 출력 +5V 22A, +3.3V 22A. 120W
-12V 0.3A. 3.6W
+5Vsb 3A. 15W
+12V 싱글 레일 133.3A 1599.96W
케이블 종류 풀 모듈러
소프트 브레이디드 케이블
케이블 정리용 장치
제공 케이블  ATX 24핀 1개, EPS 4+4핀 2개, 듀얼 컬러 600W PCIe 5.1 16핀 2개, PCIe 6+2핀 9개, SATA 8개, MOLEX 8개
주요 기능 

듀얼 컬러 12V2x6 케이블 디자인

서버 등급 부품, SiC 인터리브드 MOSFET 

100% 일제 105도 캐패시터

디지털 컨트롤 MCU

제로 팬 모드 스위치

구리 합금 단자

DC to DC 모듈 설계 

MSI 센터 모니터링/컨트롤

측면 ARGB LED

쿨링팬  135mm 더블 볼 베어링 팬
제품 크기 190x150x86mm
PFC 회로 종류 인터리브 PFC
보호 회로 종류 OCP, OVP, OPP, OTP, SCP, UVP, SIP, NLO
참고 링크 https://www.msi.com/Power-Supply/MEG-Ai1600T-PCIE5
가격 미정 

 

 

귀티가 잘잘 흐르는 MSI MEG 

 

DSC05815.JPG

 

MEG는 가장 좋은 것만 골라 넣은 MSI의 최고급 라인업입니다. 이게 얼마나 고급인지는 제품 박스부터 느껴지는데요. 단단하게 각이 잡힌 두꺼운 검은색 박스 위에, 고급의 상징인 금색으로 제품명과 로고를 넣었습니다. 크기에 딱 맞춰서 안을 파낸 포장재 안에는 부직포로 감싼 파워가 들어 있습니다. 그것까지 벗겨내야 비로소 MSI MEG AI1600T PCIe 5.0를 마주하게 됩니다. 크기는 190x150x86mm입니다. 일반 ATX 파워보다는 조금 긴 편이나, 1600W에 달하는 큰 용량을 감안한다면 특별히 크다고 할 수준은 아닙니다. 풀 모듈러 방식이라 파워 안쪽에는 연결 단자만 있으며, 뒤쪽에는 큰 용량에 맞춘 C19 규격의 사각형 AC 인렛 단자가 있습니다. 파워의 전원 스위치 옆에는 제로 팬 모드 전환 스위치가 있어, 제로 팬 기능을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한쪽 면에는 ARGB LED가 있어 전원을 켜면 부드럽게 빛이 움직입니다. 대부분의 케이스에선 커버에 가려 보기 힘들겠지만요. 

 

자세히 보기

DSC05783.JPG

 

박스 전면

 

DSC05784.JPG

 

박스 뒷면

 

DSC05785.JPG

 

종이 띠지를 제거.

 

DSC05786.JPG

 

박스 내부.

 

DSC05787.JPG

 

안내문.

 

DSC05788.JPG

 

부직포로 감싼 파워.

 

DSC05799.JPG

 

옆에는 제로 팬 모드의 설명을 적어둔 종이가 있습니다.

 

DSC05807.JPG

 

MSI MEG AI1600T PCIe 5.0 파워입니다.

 

DSC05816.JPG

 

크기 190x150x86mm. 어지간한 ATX 케이스가 250mm의 파워 공간을 제공하니, 호환성에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DSC05817.JPG

 

 

무게는 2.5kg.

 

DSC05801.JPG

 

제품 상단. 스펙이 있습니다.

 

DSC05802.JPG

 

반대편엔 135mm 구경 쿨링팬이 있습니다.

 

DSC05803.JPG

 

이쪽은 MEG 로고.

 

DSC05804.JPG

 

반대편은 ARGB LED 패널입니다.

 

DSC05805.JPG

 

모든 케이블이 분리된 풀 모듈러 방식의 파워입니다. 12V-2x6 커넥터가 2개 있고요. 메인보드와 연결하는 USB-C 커넥터도 있습니다. 

 

DSC05806.JPG

 

뒷면에는 큰 용량을 커버하는데 필요한 사각형 AC 인렛과 전원 스위치, 제로 팬 모드 스위치가 있습니다.

 

 

2개의 듀얼 컬러 PCIe 5.1 케이블

 

DSC05812.JPG

 

이 파워는 풀 모듈러 케이블 설계를 도입했습니다. 필요한 케이블만 골라서 파워에 연결하는 방식이며, 이는 가장 기본적인 1개의 24핀 ATX 케이블과 2개의 4+4핀 EPS 케이블도 예외는 아닙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PCIe 5.1 규격을 지원하는 12V-2x6 케이블입니다. 다른 케이블은 처음부터 끝까지 검은색 일색인데 반해 이건 끝 부분을 노란색으로 만들어서 눈에 띄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이렇게 눈에 확 들어오게 만들어 케이블을 끝까지 꽃았는지를 바로 파악할 수 있게 디자인했습니다. 또 최대 600W까지 공급 가능한 이 12V-2x6 케이블을 1개가 아닌 2개를 제공해 2개의 하이엔드 그래픽카드까지 전원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12V-2x6을 쓰지 않는 중급형 그래픽카드나 라데온 하이엔드 카드도 상관 없습니다. PCIe 6+2핀 단자는 총 9개가 있거든요. SATA 포트도 8개, 4핀 몰렉스 포트도 8개까지 제공하니 방대한 양의 스토리지나 주변 기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DSC05829.JPG

 

케이블 주머니.

 

DSC05831.JPG

 

케이블이 한 가득 들어 있습니다. 

 

DSC05832.JPG

 

USB-C 케이블, 선전리용 벨크로 타이, AC 전원 케이블, 조립용 나사입니다.

 

DSC05833.JPG

 

파워의 USB-C 포트를 메인보드의 USB 2.0 핀헤더에 연결하면 MSI 센터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DSC05834.JPG

 

대용량 파워는 높은 전류를 공급받기에, 사각형 AC 인렛을 사용합니다. 

 

DSC05836.JPG

 

그리고 케이블도 두껍습니다. 오른쪽의 평범한 AC 케이블도 특별히 두꺼운 걸로 골라서 산 건데요. MSI MEG AI1600T PCIe 5.0의 제공 케이블과 비교하니 얇네요. 

 

DSC05837.JPG

 

ATX 24핀 케이블입니다.

 

DSC05838.JPG

 

파워에 연결하는 단자는 2개로 나뉘어져 있어 선정리가 편합니다. 

 

DSC05839.JPG

 

케이블 길이는 600mm입니다.

 

DSC05840.JPG

 

2개의 12V-2x6 케이블입니다. PCIe 5.1을 지원합니다.

 

DSC05842.JPG

 

단자 끝 부분만 노란색으로 만들어, 끝까지 제대로 끼웠는지 구분하기가 편합니다. 

 

DSC05841.JPG

 

12개의 전력 공급 핀 위에 4개의 신호 전송 핀이 있습니다. 

 

 

DSC05843.JPG

 

케이블 길이는 600mm입니다.

 

DSC05844.JPG

 

2개의 4+4핀 EPS CPU 보조전원 케이블입니다. 

 

 

DSC05845.JPG

 

4+4핀 단자로 분리됩니다. 이 정도 파워를 쓰는 시스템에서 8+4핀 보조전원 메인보드를 쓸 것 같진 않지만요.

 

DSC05846.JPG

 

단자의 모습. 

 

DSC05847.JPG

 

길이는 750mm입니다.

 

DSC05848.JPG

 

9개의 6+2핀 PCIe 케이블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2개는 케이블 하나에 2개의 단자가 있고, 나머지는 1개의 단자가 있습니다.

 

DSC05849.JPG

 

2개의 6+2핀 단자가 있는 케이블입니다. 

 

DSC05850.JPG

 

6+2핀으로 분리가 됩니다. 이 정도 파워를 쓰는 시스템에서 6+2핀 단자 그래픽카드를 쓸 것 같진 않지만요. 

 

DSC05851.JPG

 

첫 번째 단자까지 길이는 600mm, 두 번째 단자는 거기서 100mm가 더 깁니다. 

 

DSC05852.JPG

 

이쪽은 1개의 6+2핀 단자가 달린 케이블입니다. 하이엔드 그래픽카드 중에는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하나의 케이블에 하나의 단자만 연결하라고 권장하는 제품이 있는데요. 그럴 때는 이 케이블을 쓰면 됩니다.

 

DSC05853.JPG

 

6+2핀으로 분리됩니다.

 

DSC05854.JPG

 

케이블 길이는 600mm입니다.

 

DSC05855.JPG

 

SATA 케이블 2개입니다.

 

DSC05856.JPG

 

하나의 케이블에 4개의 SATA 단자가 있습니다.

 

DSC05857.JPG

 

단자 부분.

 

DSC05858.JPG

 

500mm, 700mm, 800mm, 900mm에 하나씩 SATA 단자가 있습니다. 

 

DSC05862.JPG

 

몰렉스 케이블 2개입니다. 

 

DSC05863.JPG

 

케이블 하나에 4개의 몰렉스 단자가 있습니다. 

 

DSC05864.JPG

 

단자 부분의 사진.

 

DSC05865.JPG

 

500mm, 700mm, 800mm, 900mm에 단자가 하나씩 있습니다. 

 

 

디지털 디자인에 인터리브 PFC MOSFET

 

DSC05811.JPG

 

MSI MEG AI1600T PCIe 5.0는 파워 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CWT의 CTF 플랫폼을 기반으로 삼아 만들었습니다. 앞에서 1600W라는 큰 용량에 비해 크기가 크진 않다고 말했었는데요. 파워의 공간을 줄이기 위해 1개의 대형 변압기가 아닌 2개의 변압기를 병렬로 구성했습니다. 플랫 스프링 방식의 코일을 쓴 것도 높은 효율을 유지하면서 내부 공간을 줄이려는 선택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PFC와 LLC를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해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합니다. MSI는 여기에 서버 등급의 부품을 사용했다고 설명합니다. 세계 최초로 인피니언 SiC MOSFET을 일반 데스크탑 파워의 인터리브 PFC에 사용해, 효율을 높이고 전력 손실을 줄였으며 온도를 낮췄습니다. 파워 안에 장착된 모든 캐패시터는 일본산이며 105도의 온도까지 버텨냅니다. 쿨링팬은 ZETA의 135mm 더블 볼 베어링 팬을 장착했습니다. 조용한 소음과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일등 공신이지요. 

 

자세히 보기

DSC06306.JPG

 

팬 커버를 제거합니다. 

 

DSC06307.JPG

 

파워 상단에 쿨링팬이 있습니다. 

 

DSC06308.JPG

 

135mm 구경의 듀얼 볼 베어링 팬입니다.

 

DSC06309.JPG

 

12V 0.45A로 작동하며 제조사는 ZETA입니다. 왼쪽은 일부러 투명 커버로 가려, 바람이 주요 열원에 집중되도록 했습니다. 

 

DSC06311.JPG

 

이제 파워 내부를 봅시다. 큰 방열판 없이 부품으로 안을 꽉 채웠습니다. 

 

 

DSC06312.JPG

 

2개가 나란히 병렬 연결돤 변압기

 

DSC06313.JPG

 

인터리브 PFC 회로는 2장의 기판으로 구성됩니다.

 

DSC06322.JPG

여기에는 완전한 디지털 컨트롤러 시스템이 탑재됩니다. 

 

DSC06319.JPG

 

루비콘의 420V 790uF 캐피시터 2개가 있습니다.

 

DSC06318.JPG

 

입력 단자의 필터와 스위치. 방열판에는 MEG 로고가 있습니다. 

 

DSC06321.JPG

 

출력 단자 쪽에는 2개의 DC-DC 커버터가 달린 작은 기판이 있습니다. 

 

DSC06320.JPG

 

플랫 스프링 방식의 코일 2개가 있습니다. 

 

 

지포스 RTX 5090 2개 먹여 살리는 파워

 

DSC05808.JPG

 

사실 MSI MEG AI1600T PCIe 5.0는 진작에 테스트를 끝낸 물건입니다. 지포스 RTX 5090이 왔을 때 미리 써 봤거든요. https://gigglehd.com/gg/17027962지포스 RTX 5090의 최대 사용 전력은 600W고, 게임 테스트에서 시스템 전체 사용 전력은 800W였습니다. 그래서 안전하게 1000W의 파워를 권장하는데요. 1600W라면 플래그쉽 그래픽카드를 하나 더 끼워 넣어도 될 것 같아서, 5090 2장까지는 못 구하고 5090과 4090을 동시에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행해 봤습니다. 코어 i9-13900K까지 더해져 최고 1200W의 전력을 사용했지만 전압은 매우 안정적이었습니다. +3.3V 출력이 3.284V에서 3.3V로 편차가 0.016V, +5V는 5.05V에서 5.07V로 0.02V, +12V가 11.976V에서 12.024V로 편차치가 0.048V에 불과했습니다. 또 소음도 매우 낮았습니다. 파워 앞 30cm에서 소음 측정기를 들이대도 36dBA에 그쳤는데, 이 정도면 그래픽카드나 CPU 소음에 묻히는 수준이지요. 

 

MSI의 고급형 파워는 운용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복잡한 장비나 까다로운 프로그램을 쓸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MSI 센터의 파워 모니터링 모듈에선 현재 출력과 파워 효율, 온도, 출력 전압과 전류 등의 기본적인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은 물론, 이들 데이터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며 CSV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도 제공하거든요. 그래서 안정적인 시스템 운용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그걸 두 눈으로 직접 확인하길 원하는 까다로운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켜 줍니다.  

 

자세히 보기

DSC05880.JPG

 

1600W 파워에서 CPU 딸랑 하나 풀로드로 돌리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그래서 코어 i9-13900K, 지포스 RTX 5090 슈프림, 지포스 RTX 4090 슈프림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풀로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코어 i9-13900K + MSI MPG Z790 엣지 TI 맥스 WIFI https://gigglehd.com/gg/15363310 

MSI 지포스 RTX 5090 슈프림 리퀴드 SOC D7 32GB https://gigglehd.com/gg/17027962

MSI 지포스 RTX 4090 슈프림 X D6X 24GB 트라이프로져3S  https://gigglehd.com/gg/13074335 

 

DSC05889.JPG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측면 LED 

 

Cap 2025-02-11 11-37-59-712.png

 

MSI 센터에서 인식하는 파워의 기본 정보

 

Cap 2025-02-11 11-38-04-864.png

 

실시간 대시보드에선 전압과 출력의 변동 폭을 보여주며, CSV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Cap 2025-02-11 11-39-43-046.png

 

DC 출력 단자 소개

 

Cap 2025-02-11 11-39-06-879.png

 

Cap 2025-02-11 11-39-34-711.png

 

풀로드 테스트에서 보여주는 정보들

 

Cap 2025-01-30 21-09-52-596.png

 

동원할 수 있는 최고 부하를 줬을 때의 상태입니다. 전기를 많이 쓰는 코어 i9-13900K, 지포스 RTX 5090, 지포스 RTX 4090까지 장착했지만 이 정도는 MSI MEG AI1600T PCIe 5.0에게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NPWY4255.JPG

 

소음은 매우 조용하고, 파워 표면 온도도 준수합니다. 가장 높은 곳은 라벨이 붙어있는 45도이며, 다른 곳은 20~30도 중반을 유지했습니다. 

 

 

MSI MEG AI1600T PCIe 5.0

 

DSC05813.JPG

 

1600W의 압도적인 용량과 80+ 티타늄 인증의 높은 효율을 자랑하는 고급 파워입니다. PCIe 5.1과 ATX 3.1 같은 최신 규격은 당연하고, 2개의 12V-2x6 커넥터를 제공해 2개의 하이엔드 그래픽카드에 전원을 공급합니다. 이런 높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서버 등급의 부품과 인피니언 SiC MOSFET을 탑재했으며, 135mm 구경의 대형 팬은 사이버네틱스 A++ 등급을 받아 낮은 소음을 보장합니다. 여기에 제로 팬 스위치까지 있어 더더욱 정숙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지요. 큰 용량임에도 불구하고 길이가 190mm에 불과하며, 측면 ARGB LED는 하이엔드 제품다운 품격을 보여줍니다. 여기에 MSI 센터를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까지 제공하니, 하이엔드 파워에 필요한 모든 조건을 갖췄다고 보여집니다. 지포스 RTX 5090처럼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그래픽카드 2장을 안정적으로 운용하며, 이를 편리하게 확인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알맞는 제품입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독창적인 기능과 디자인. 마이크로닉스 2025 신제품 발표회
더 커졌는데 여전히 십만원. MSI MP252L850 IPS 100 시력보호
괴물 사냥은 라데온으로. 몬스터 헌터 와일즈를 위한 그래픽카드
MSI하면 역시 게이밍. MSI 지포스 RTX 5070 Ti 게이밍 트리오 OC 플러스 D7 16GB 트라이프로져4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2/1
RX9070XT는 RTX5070을 넘을 수 있을까? ASUS PRIME 라데온 RX 9070 XT OC D6 16GB 동영상 있음 보드나라
LCD 모듈 추가된 올인원 수랭 쿨러, 잘만 알파 II DS A36 화이트 보드나라
든든한 엔트리급 메인보드, ASUS H810M AYW GAMING WIFI 코잇 케이벤치
출시되자마자 품절대란;; LG 스탠바이미2 극한 사용기 동영상 있음 THE EDIT
국내 최초 AMD Ryzen AI 7 350 크라켄포인트 노트북 입수! 레노버 아이디어패드 슬림5 성능은?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먹는 스프레이, 갓김치 김밥, 급식대가~ 4월 첫째 주 편의점 신제품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31밴드 하드웨어 EQ의 손맛! 주파수를 내맘대로 만져보자! (feat. dbx 231s) 동영상 있음 Producer dk
출시 전 미리 살펴봤습니다! AMD 크라켄포인트 LG 그램 (퍼포먼스, 전성비, 발열, 배터리 췤!) 동영상 있음 라이브렉스
망원 2억 화소요..? 카메라에 스마트폰을 집어 넣어버린 샤오미 15 울트라 언박싱! (사진 진짜 예쁘게 찍힘!)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인체공학 끝판왕? 에르고휴먼 H2 컴포트 I 100만 원짜리 의자, 허리 살릴 수 있을까? 새로운 데스크셋업 동영상 있음 톡써니
5090 나와! 두 개 나와! MSI MEG AI1600T PCIe 5.0 기글하드웨어
DLSS4를 통해 더 높아진 프레임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70 BLACK OC D7 12GB’ 미디어픽
하이엔드PC를 위한 필수품 '마이크로닉스 WIZMAX ML-360 WIDE BTF' 미디어픽
삶의 질을 높여주는 AI앱 | 마인드맵 어플 추천 이드로우마인드 동영상 있음 인프제 INFJ
[리뷰] 고독스 매직 XT1 무선 마이크 리뷰유튜브 촬영 필수템? 실사용 후기 & 음질 테스트 정리!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9070을 살까 9070 XT를 살까? 딱 정해드립니다. (1) 동영상 있음 잘컴TV
[리뷰] 침대 추천! 시몬스 뷰티레스트 매트리스 컬렉션 100주년 신제품 총정리│시몬스 바나듐 포켓스프링 · N32 쪼꼬미 매트리스 (2025 서울리빙디자인페어)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Ryzen 9900X3D & RTX 5080 Gaming PC Build | Corsair Frame 4000D | Nautilus 360 | RM1000e ATX3.1 동영상 있음 PC SNAP
[리뷰] 팔방미인 노트북, 에이수스 젠북 14 OLED(UX3405) (1) IT동아
로보락 Qrevo EdgeC 써본 후기, 고양이 3마리 화장실 3개 감당 가능? (Roborock Qrevo EdgeC) (1) 동영상 있음 고나고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