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측정 장비를 사용한 캘리브레이션은 이 고유색의 장점을 살리면서 색의 정확성을 확보하는 적절한 방법입니다.
오늘 방문들인 고객님은 처음 실시한 LG HU80KA의 캘리브레이션 서비스 설치기 입니다. 더 정확한 캘리브레이션을 위해 칼라미터의 커스텀 프로파일 프리셋 모드를 활용해서 색 정확성을 보강하였습니다.
캘리브레이션 전후 비교를 위해 기본 공장 셋팅 값을 읽어 들이고 있습니다. 정밀 보정을 위해 사용되어진 장비는 i1PRO와 K10A 칼라미터입니다.
최대로 사용 가능한 명암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블랙 레벨과 콘트라스 레벨은 영상 표현의 디테일과 시청자의 시야 피로감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단계입니다.
위 내용을 확대한 컷입니다. ISF인증 화이트 PLUGE이며 정밀한 화이트 표현을 확인 및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턴입니다.
화이트 박스들을 사용할 수 있는 최대 개수를 결정해서 최적의 값으로 도출함으로써 시청자의 시야 피로감을 줄이고 편안한 감상을 돕습니다.
그레일 스케일, 감마,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3가지는 영상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깨끗한 그레이스케일(흰색->검정) 표현이 가능합니다.
노란색 점선 박스에 표시된 빨간, 파랑의 막대는 에러 값을 뜻하며 파란 막대들의 높이에 따라 영상은 차가운 느낌으로 표현됩니다.
위 에러값들은 환경 및 프로젝터의 프리셋 모드에 따라 변하며 빨강, 파랑, 초록의 비율을 서로 동등하게 맞추어 밸런스 잡힌 그레이스케일로 만들어 냅니다.
색 보정 과정입니다. 제한된 색 공간(그림-삼각형)에 100% 지정된 색 타켓 점에 RGBCMY색을 맞추어 정확도를 높입니다. 표시된 빨강 박스는 에러율을 나타내며 우측 사진은 에러율을 최소화하여 정확도를 높인 결과 컷입니다.
색 보정까지 거친 후 영상, 사진으로 최종 결과물을 확인합니다. 그레이스케일 보정 과정에서 보였던 파랑 막대 에러값을 최적화 했고 파랑색의 분위기가 어떻게 변했는지 자세히 확인해 보겠습니다.
<주의> 다음 보이는 사진은 참고용 사진입니다. 캘리브레이션 전후 비교를 위한 사진이며 실제/인쇄/출력모니터 성능 따라 실제와 다소 다른 결과를 나타냅니다.
[HU80KA – 기본 게임 영상 모드]
[HU80KA – 전문가(밝은 공간)-캘리브레이션 적용 모드]
[보정 후 vs 보정 전 비교]
<보정 후> <보정 전>
오른쪽 게임 모드와 비교한다면 자연스럽고 현실감 있는 색으로 보정이 되었습니다.
<저작권자(c) AV프라임(www.avprim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