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X0 후속작 RX0 II 출시, RX0 시리즈 특징은?
소니는 2019년 3월 26일, 브이로그용 카메라 RX0 II를 발표했다. 지난 17년 처음 선보였던 RX0과는 거의 1년 반만이다. 처음 RX0이 출시되었을 때 이 카메라는 대체 어떤 카메라인가에 대해 논란이 있었다.
RX0은 무인항공기, 수중, 작품 촬영, VR 등 여러 대를 결합한 형태의 다관점 촬영이 가능하게끔 만든 카메라로 일반적인 목적보다는 특수 목적에 알맞도록 설계한 카메라로 영상용에 더 가까운 카메라로 출시되었다. 아마 당시 영화나 CF 등을 촬영할 때 사용하는 무겁고 큰 방송용 카메라의 대체용 카메라를 타깃으로 출시한 게 아닐까 싶다.
그 후속기인 RX0 II를 발표한 소니는 전작인 RX0과는 사뭇 다른 타이틀을 내세웠다. 바로 '브이로그용 카메라' 유튜브와 같은 1인 미디어가 급증하여 브이로그용 카메라를 앞다투어 출시하는 요즘, 가볍고 휴대성이 간편하며 셀피 촬영이 가능한 LCD를 탑재한 RX0 II는 외관상으로 봤을 때는 브이로그용 카메라에 아주 적합한 카메라로 보인다.
그렇다면 전작과 달라진 점은 무엇일까?
브이로그용 카메라 RX0 II 전작과 달라진 점은 무엇일까?
위에서도 언급했듯, 외관상으로 앞모습만 봤을 때는 크게 달라진 것을 느낄 수 없지만 뒷모습을 보면 플립이 가능한 LCD가 탑재된 것과 그 LCD로 인해 부피가 살짝 두꺼워진 것 정도만 느낄 수 있다.
아래 전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달라졌는지 특징을 확인해보도록 하자.
RX0 <정면> RX0 II
<후면>
<상단>
<옆면-LCD>
1. 위로 180도 플립형 LCD 탑재
17년에 출시된 RX0은 움직이지 않는 고정 형식의 LCD가 탑재되어 셀피 촬영이 불가능했던 반면, RX0 II는 RX0의 기본 컨셉을 계승하면서 조작성과 편의성이 향상되어 아래 90도, 위로 180도 플립이 가능한 방식의 LCD가 탑재되어 셀피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브이로그용으로도 사용하기 쉬워졌다.
2. 손떨림 보정 탑재
이번 RX0 II에는 디지털 손떨림 보정 기능이지만, 전작에는 탑재되지 않았던 손떨림 보정 기능이 탑재되어 영상 촬영에서 어느 정도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이 된다. 다만 손떨림 보정 기능을 이용했을 때 화면이 크롭 되는 단점이 있다.
3. Eye AF, 가까워진 초점 범위
스틸 이미지에서는 A6400과 A9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로 지원하는 반셔터를 눌러 눈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초점을 맞추는 Eye AF 기능을 제공하며, 기존 50cm~무한대였던 최소 초점 범위를 20cm~무한대로 제공하여 더욱 가깝게 촬영이 가능, 셀피 촬영에 유리하게 되었다.
4. 4K 영상 촬영 지원 및 동영상 기능 강화
기존 RX0은 기기 자체에서 풀HD 60fps 영상 촬영을 지원했지만 이번 RX0 II는 기기적으로 픽셀 비닝 없는 풀 픽셀 리드 아웃 방식의 4K 30fps 영상 촬영 기능이 지원되며, 그 밖에도 색감 보정을 위한 S-Log 촬영도 지원한다. 또한, 스틸 이미지에서는 자연스러운 피부 컬러톤을 구현하는 프로세서를 탑재하였으며 인터벌 촬영에도 대응한다.
5. 더 저렴해진 출시가
전작인 RX0의 출시가는 999,000원, 2세대인 RX0 II는 749,000원으로 무려 20만 원 가량 저렴해졌다.
아래 스펙표로 간단하게 달라진 점을 확인해보자.
RX0 |
RX0 II |
|
출시일 |
17년 11월 |
19년 4월 |
출시가 |
999,000원 |
749,000원 |
유효화소수 |
1530만화소 |
1530만화소 |
AF |
조리개: F4 (고정조리개) 초점범위: 약 50cm - 무한대 25포인트 Eye AF 미지원 |
조리개: F4 (고정조리개) 초점범위: 약 20cm - 무한대 25포인트 Eye AF 지원 (스틸이미지만) |
셔터 |
전자식셔터 1/32000 |
전자식셔터 1/32000 |
감도 |
ISO125~12800 |
ISO125~12800 |
손떨림보정 |
미지원 |
전자식 (동영상용) |
측광모드 |
멀티 패턴, 중앙 중점, 스팟 |
멀티 세그먼트, 중앙 중점, 스팟(표준/대형), 전체 화면 평균, 하이라이트 |
연속촬영 |
5.5fps |
3.5fps |
디스플레이 |
고정형 LCD |
위 180도 아래 90도 플립형 LCD |
동영상 |
풀HD 60fps |
4K 30fps 인터벌 레코딩 픽셀 비닝 없는 풀 픽셀 리드아웃 4K S-Log 영상편집 애드온 호환 |
스마트기능 |
WiFi, 블루투스 |
WiFi, 블루투스 |
마이크단자 |
유 |
유 |
크기/무게 |
59.0 x 40.5 x 29.8 mm 약 110g (배터리 및 microSD 메모리 카드 포함) |
59.0 x 40.5 x 35.0mm 약 132g (배터리 및 microSD 메모리 카드 포함) |
장점이 많은 RX0 II, 과연 브이로그용 카메라일까?
셀피촬영이 가능한 LCD 탑재 및 전자식 손떨방 탑재, 4K 촬영 지원 및 강화된 동영상 기능, 무려 20만 원이나 저렴해진 가격까지, 장점과 개선된 부분이 많은 RX0 II, 과연 브이로그용 카메라에 적합할까?
1. 동영상 AF-C의 부재
우선 어떤 영상을 찍느냐에 따라 AF-C의 부재와 고정 조리개 탑재에 대해 상관이 없거나, 치명적인 단점으로 다가올 수 있다. 하지만 브이로그 영상 촬영 시에 AF-C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은 치명적인 단점으로 다가올 수 있다.
브이로그 영상이란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들고 움직이며 촬영자 본인의 일상적인 모습을 담은 영상을 의미하는데, 빈번하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 AF-C 없이 고정된 초점으로 영상을 계속 촬영해야 한다는 것은 움직이는 사람의 포커스 자체를 잡지 못한다는 의미와도 같다. 다시 말해 AF-C의 부재는 브이로그 영상 촬영 중 포커스가 바뀔 때마다 포커스를 다시 맞추고 재촬영을 해야 해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2. F4 고정 조리개 탑재
또한 고정 조리개 탑재로 광량이 많거나 광량이 없는 촬영 환경에서 촬영했을 때 기기 자체로 주변 광량 조절이 불가능해 햇빛이 강한 날에는 ND 필터를 따로 구입해 장착 후 빛을 조절해줘야 한다. 그게 아니라면 결과물이 다소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다.
전작 대비하여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으며, 장점이 훨씬 많아졌지만, 브이로그용으로 구입을 생각하신 분들에게는 이러한 두 가지의 단점을 꼭 고려해보고 구입하는 것을 권장한다.
디카CM 이서영 / dica@danawa.com
가격비교를 넘어 가치비교로, 다나와 (www.danawa.com)
세상의 모든 특가정보를 한눈에! [입소문쇼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