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나와 구매가이드]
"낙엽청소? 야외청소? 한방에 해결해주는 송풍기"
송풍기 구매가이드!
일교차가 커지면서 가로수들이 하나둘 낙엽이 떨어지고 있다. 수많은 길에 떨어진 낙엽을 보면 누군가에게는 낭만적일지 모르겠지만, 주차장 및 공장 부지 등을 관리하는 사람에게는 그리 낭만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계속 쌓이는 낙엽은 치워도 금방 쌓이고, 치우지 않으면 금세 가로수 부근이 지저분해진다.
낙엽뿐만이 아니다. 야외에 쌓이는 먼지 등도 청소를 하지 않으면 하루가 멀다고 쌓여 나간다. 야외 청소는 쓸고 치워도 끝이 안 나는 뫼비우스 띠와 같다. 그중 가장 힘든 일을 뽑자면 낙엽과 먼지 청소일 것이다. 이런 가운데 쌓인 낙엽 또는 불어오는 먼지 등을 손쉽게 청소가 가능한 제품으로 '송풍기(블로워)'가 있다.
모터 또는 엔진의 힘으로 바람(기류)을 만들어 그 힘으로 낙엽이나 먼지 등을 날려버리는 원리의 송풍기는 겨울 제설작업 시에도 상당히 유용하다. 송풍기를 사용하게 되면 바람(송풍)을 통해 빗질을 대신할 수 있어 노동력과 작업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효과적이다.
송풍기 종류
손쉽게 야외 관리를 도와주는 송풍기(블로워)는 크게 2가지로 나뉘어 진다. 2가지는 동력에 따라 구분이 되며 1) 모터식 송풍기와 2) 엔진식 송풍기로 나뉘어 진다. 각각의 송풍기는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자신에게 맞는 송풍기 특징을 아래에서 하나씩 살펴보기로 하자.
1) 모터식 송풍기
모터식 송풍기는 동력원을 전기를 사용해 모터로 바람을 생성해 낸다. 모터식 송풍기는 엔진식에 비해 소음, 진동, 매연이 적거나 없으며, 잔고장이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힘이 부족한 편으로 좁은 공간이나 짧은 시간 사용할 때 효과적이다.
모터식 송풍기는 전기 사용방식에 따라 전기식과 충전식으로 나뉘어 진다. 전기식은 충전식보다 무게가 가볍고 힘이 높아 풍량이 많아 낙엽 및 먼지 청소를 할 때 같은 시간 안에 빠르게 정리 할 수 있다. 단, 전기선으로 인해 사용장소에 제약이 따른다.
충전식 송풍기의 경우 전기식 송풍기보다 전기선 대신에 배터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장소에 대한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배터리 장착으로 전기식보다 무게가 추가되며, 배터리로 인해 사용 시간이 짧고, 힘이 약해 풍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2) 엔진식 송풍기
엔진식 송풍기는 동력원을 기름을 사용해 엔진으로 바람을 발생시킨다. 엔진식 송풍기는 모터식보다 힘이 좋기 때문에 많은 풍속과 풍량을 자랑하며 작동 시간이 길어 넓은 면적을 청소하거나 정리할 때 효과적이다. 다만 힘이 좋은 대신에 그만큼 엔진 무게가 많이 나가며, 사용 시 진동 및 매연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 후 잔여 연료 및 오일을 제거하지 않으면 쉽게 고장 날 수 있어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송풍기 구매 포인트
손쉽게 야외 관리를 도와주는 송풍기 구매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크게 2가지를 들 수 있다. 고려할 사항은 1) 제품 무게는 적정한가 2) 송풍(=블로워) 파워는 적정한가이다. 이 2가지를 꼼꼼하게 비교하고 구매해야 한다. 앞서 설명한 포인트로 엔진 블로워를 구분하자면 형태에 따라 핸드형과 백팩형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2가지 제품을 대상으로 구매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아래에서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1) 제품 무게
송풍기는 크게 핸드형과 백팩형(배부형)으로 나누어진다. 핸드형은 말 그대로 손에 들고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품을 말한다. 손에 들고 작업하기 때문에 무게가 3kg 내외로 가벼운 게 특징이다. 대부분 모터식 송풍기가 여기에 해당한다. 가벼운 무게라고는 하지만 핸드형으로 장시간 작업을 할 경우 손에 무리가 가며, 파워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백팩형은 핸드형의 단점을 보완한 제품으로 10kg 내외의 무게로 등에 가방처럼 착용해 사용한다. 엔진형 송풍기 대부분이 백팩형에 속한다. 핸드형에 비해 장시간 이용해도 무리가 적으며, 엔진 파워가 높아 강력한 바람으로 빠르게 작업을 할 수 있다.
2) 블로워 파워 (=풍량)
송풍기는 모터, 엔진의 힘을 이용해 바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동력에 따라 풍량이 결정된다. 앞서 말한 핸드형 송풍기는 대부분 모터식 송풍기로 엔진식보다 풍량이 시간당 200㎥ 정도로 낮다. 이에 반해 백팩형은 엔진식 송풍기로 상대적으로 7배 정도의 강력한 파워를 자랑한다. 엔진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풍량이 시간당 1,000㎥이상을 발생시킨다. 풍량 정도가 200㎥/h 경우는 실내 및 가벼운 야외 청소(정원 등)에 적당하고, 1,000㎥/h 이상은 실외 청소용(도로, 공장부지 등)이라고 이해하면 쉬울 것이다.
형태 |
핸드형 (모터식) |
백팩형 (엔진식) |
이미지 |
||
무게 |
3kg 내외 |
10kg 내외 |
풍량 |
200㎥/h |
1,000㎥/h |
작업시간 |
단시간 (※ 장시간 이용시 손목에 무리) |
장시간 |
용도 |
실내 및 가벼운 야외청소 (정원 등) |
실외청소 (도로, 공장부지 등) |
위에 열거한 2가지 외에도 엔진 송풍기를 구매할 때 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엔진 방식에 따른 연료 주입 방법이다. 엔진 송풍기에 장착된 대부분 엔진은 2행정(=사이클) 방식으로 연료와 엔진오일을 일정 비율로 섞어서 주입해야 한다.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이 이 부분을 인지하지 못해 제품 고장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4행정 방식의 송풍기도 출시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비싼 비용으로 구매하기가 꺼려지는 것도 사실이다.
※ 2행정 엔진 연료 주입방법은 휘발유 25대 엔진오일 1 비율로 혼합해서 주입해야 한다.
휘발유&엔진오일 혼합비 25:1
송풍기 추천상품
송풍기 제품 중 모터식과 엔직식 대표 상품 3개를 추천하고자 한다. 위 내용을 참고해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선택해 보자. 아래 제품 외에도 송풍기 더 보기를 통해 더 다양한 제품들을 다나와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미지 |
|||
상품명 |
밀워키 M18 FBL (9.0Ah, 배터리 1개) |
스탠리 STPT600 |
센다이 SD900 |
형태 |
모터식(충전식) |
모터식(전기식) |
엔진식 |
출력 |
18V |
600W |
3,700W |
분당회전수 |
14,000rpm |
10,000rpm |
- |
풍량 |
762㎥/h |
210㎥/h |
1,740㎥/h |
무게 |
3.3kg |
2.0kg |
9.9kg |
▲ 전동드릴 기획전 바로가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