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톱과 노트북은 오랫동안 대학생들의 선택을 가르는 양축이었다. 강력한 성능과 확장성을 앞세운 PC, 이동성과 편의성을 무기로 삼은 노트북은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듯 보였지만, 최근 몇 년간의 기술 발전은 그 구도를 흔들어 놓았다. 고성능 노트북이 데스크톱의 자리를 위협하는가 하면, 가격 대비 성능에서 여전히 앞서는 데스크톱은 존재감을 유지하며 두 기기 간의 경계를 좁히고 있다.
가격비교서비스 다나와는 시대의 변화의 한가운데에서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선택을 이끌어왔다. 개별 제품의 가격을 제공하는 수준 그 이상의, 어떠한 기기가 누구에게 적합한지 판단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며 사실상 시장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
다나와 아카데미는 이러한 정보 제공을 현장 경험으로 확장한 프로그램이다. 온라인으로만 소비되던 정보가 오프라인 현장에서 제품 체험으로 이어지고, 학생들은 눈앞에서 최신 IT 트렌드를 확인한다. 9월 17일 숭실대학교 중앙광장에서 열린 「2025 인텔®&다나와 아카데미 페스티벌」은 시장의 변화가 어떻게 소비자에게 다가가는지를 보여주는 무대가 됐다.
메인 스폰서인 인텔을 비롯해 굵직한 글로벌 PC·IT 브랜드의 전폭적인 참여에 힘입어 현장에는 다양한 기기가 전시됐다. 이곳을 다녀간 대학생은 직접 제품을 체험하며 강점과 한계를 비교해볼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향후 선택의 기준을 세워볼 기회도 누렸다. 변화하는 시장의 현주소가 숭실대 캠퍼스 한가운데에서 가감 없이 펼쳐진 셈이다.
▲ NZXT 대원씨티에스 김태훈 대리를 아카데미 현장에서 만났다.
숭실대학교 중앙광장에서 열린 다나와 아카데미 페스티벌 현장에는 글로벌 PC 하드웨어 브랜드도 함께했다. 특히 대원CTS는 처음으로 NZXT 브랜드를 소개했다. 현장에서 만난 김태훈 대리는 “대원CTS에서 NZXT 영업과 마케팅을 맡고 있다”며 “학생들에게 NZXT를 직접 보여주고 싶었다”고 참여 이유를 말했다.
# 미국에서 온 하이엔드 브랜드, 한국에 뿌리내리다
NZXT는 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설립된 하드웨어 전문 기업이다. 케이스, 수랭 쿨러, 파워서플라이, 게이밍 기어를 생산하며 디자인과 완성도를 강점으로 내세웠다. 특히 미니멀하고 세련된 디자인, RGB 튜닝 요소, 안정적인 품질로 글로벌 시장에서 지지를 얻어왔다.
한국에서는 올해 4월부터 대원CTS가 유통을 맡았다. 김태훈 대리는 “대원CTS는 AMD CPU,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등 고사양 부품을 이미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NZXT라는 하이엔드 브랜드를 더해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개별 제품을 판매하려는 목적이 것이 아니라, PC 생태계 전체를 아우르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학생 소비층에게는 브랜드의 존재감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PC 하드웨어는 단기간에 소모되는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구매 전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소비에 큰 영향을 준다. 숭실대 행사장은 그 인식을 심을 수 있는 좋은 무대였다”고 덧붙였다.
# 크라켄 플러스와 H9·H6, 현장에서 만난 제품들
강조한 제품은 NZXT 신형 수랭 쿨러 크라켄 플러스(Kraken Plus) 시리즈다. 김 대리는 “크라켄 360 플러스는 기존 크라켄 360과 같은 가격대에 출시됐다. 20만 원 초반대 소비자가로, 동급 경쟁 제품과 비교해도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크라켄 플러스 시리즈는 NZXT가 독자 개발한 펌프를 적용해 냉각 효율을 높였으며, RGB 디스플레이와 소프트웨어 연동으로 커스터마이징 기능도 강화했다. 시장에서 크라켄은 이미 점유율 1위를 기록한 제품군으로, 플러스 시리즈가 그 명성을 이어가길 기대하고 있다.
서비스와 보증 대책도 확실하게 세웠다. 김 대리는 “NZXT 수랭 쿨러는 무상 6년 보증을 제공한다. 특히 만약 누수 사고가 발생하면 피해를 입은 다른 부품까지 보상받을 수 있도록 보험에도 가입했다. 소비자가 안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고 강조했다. 한국 소비자 특유의 ‘AS 신뢰’ 기준을 충족시키는 정책은 역시나 현장에서 큰 관심을 끌었다.
케이스 라인업도 눈길을 끌었다. NZXT는 H9·H6 케이스를 선보였다. 일반적인 사각형 ‘어항 케이스’와 달리 오각형 형태를 적용해 공기 흐름을 개선했고, 전면과 측면 패널의 디자인 차별화를 통해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했다. 김 대리는 “단순히 부품을 담는 박스가 아니라, 공기 흐름과 미적 요소를 모두 고려한 케이스”라며 “튜닝 PC를 선호하는 학생들에게 특히 좋은 선택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장을 다녀간 학생들은 직접 케이스를 만져보며 “쿨링 구조가 신선하다”, “RGB 튜닝과 잘 어울린다”는 반응을 보였다. 제품을 통해 브랜드의 철학과 디자인 감각을 이해하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 브랜드 신뢰, 학생 시장을 향한 메시지
숭실대 현장에서 NZXT가 던진 메시지는 명확했다. 단기 판매보다 장기적 브랜드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다. 김태훈 대리는 “학생들에게 NZXT 제품은 다소 고가일 수 있다. 그러나 직접 체험하면 퀄리티와 서비스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앞으로 PC를 맞추거나 주변에 추천할 때 NZXT를 떠올려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행사장은 단순 전시장이 아니라, 브랜드 철학을 전하는 무대였다. NZXT는 제품의 기술력과 함께, 보증·서비스 정책을 전면에 내세워 한국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했다. 동시에 디자인과 성능을 겸비한 케이스와 쿨러로 학생들의 관심을 끌며, 브랜드를 기억하게 만들었다.
대원CTS와 손잡은 NZXT의 전략은 분명하다. 하이엔드 게이밍 브랜드로서의 위치를 강화하고, 학생 소비층을 통해 미래 시장을 확보한다는 것. 숭실대 현장은 그 전략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는 첫 무대였다.
By 김현동 에디터 Hyundong.kim@weeklypost.kr
〈저작권자ⓒ 위클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 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