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애플·삼성·DJI의 신제품 총공세가 이어진다... 이 주의 IT 루머 총정리

다나와
2025.10.16. 23:04:14
조회 수
75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요즘 IT 업계가 정말 뜨겁습니다.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부터 DJI의 신형 액션캠, 삼성의 첫 트라이폴드폰까지… 기기 하나하나가 ‘게임 체인저’급 루머로 시장을 흔들고 있네요. 특히 애플은 M5 맥과 차세대 에어팟 프로, 폴더블 아이폰까지 줄줄이 준비 중이고, DJI와 레드매직, 카시오도 각자의 방식으로 혁신을 예고했습니다. 믿기 힘들 만큼 구체적인 일정과 가격, 공급망 변화까지 흘러나오면서 “진짜 곧 나오는 거 아니야?”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시점이에요. 올가을, IT 팬이라면 단 하루도 지루할 틈이 없을 듯합니다.




아이폰 폴드 힌지 가격, 20~35% 낮아진다



아이폰 폴드 소식, 궁금하셨죠? 오늘은 생산 전략의 핵심으로 꼽히는 ‘힌지(경첩)’에서 큰 변화가 포착됐다는 소식을 정리해서 들려드릴게요. 애널리스트 Ming-Chi Kuo에 따르면,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아이폰 폴드) 힌지 가격과 공급망 구도가 예상보다 크게 바뀌고 있습니다.


먼저 숫자부터 볼까요? Ming-Chi Kuo에 따르면 아이폰 폴드 힌지의 평균판매단가(ASP)는 70~80달러 수준으로 전망되는데요. 초기 시장 예상치였던 100~120달러보다 약 20~35% 낮아졌다고 해요. 이 정도면 애플 입장에선 생산 마진 관리에 숨통이 트이고, 대량생산이 시작되면 완제품 가격을 좀 더 공격적으로 가져갈 여지도 생기는 셈입니다.



▲ Ming-Chi Kuo의 X 게시물(https://x.com/mingchikuo/status/1977421921064255523)


공급망의 주인공도 바뀌었습니다. 폭스콘(홍하이)과 신주싱(Shin Zu Shing, SZS)이 합작사(JV)를 만들어 힌지를 생산하고, 이 합작사가 애플 전체 힌지 물량의 약 65%를 가져간다고 합니다. 나머지 35%는 미국의 커넥터 제조 기업인 암페놀(Amphenol)이 맡고요. 특히 주목할 점은 폭스콘이 이 합작사에서 더 큰 지분을 가지고 전략을 주도한다는 대목입니다. 그동안 “폭스콘은 최종 조립만 한다”는 이미지가 강했는데, 이번엔 핵심 부품인 힌지 자체의 직접 제조에 뛰어들었다는 점이 확인됐다는 거죠. Ming-Chi Kuo의 이번 업데이트가 그 정황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첫 보고로 평가됩니다.


가격이 왜 내려갔는지도 중요하죠. 밍치궈는 원자재를 싼 것으로 바꿔서가 아니라, 설계 최적화와 폭스콘의 대규모 생산 효율 덕분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즉,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공정을 다듬고 규모의 힘을 살려 비용을 깎았다는 해석이에요. 이런 방식의 원가 절감은 보통 완성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초도 물량 품질 관리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공급사들 입장에선 마냥 웃을 상황은 아닙니다. 힌지 평균판매단가가 내려가면 부품사 마진은 자연스레 압박을 받거든요. SZS는 합작사 구조상 폭스콘이 더 큰 몫을 가져가고, 상류 부품 수주도 상대적으로 적어서 이익 개선 폭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암페놀의 몫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도 눈에 띄는데요. 이는 회사가 AI 하드웨어 등 다른 고성장 영역에 더 무게를 두는 선택과 집중의 결과일 수 있다는 분석이 따라붙습니다.


중장기 그림도 나왔습니다. 럭스셰어-ICT가 2027년 이후 추가 힌지 공급사로 합류할 가능성이 거론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애플 공급망 내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애플은 가격·품질·납기 측면에서 더 유리한 협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애플 특유의 ‘멀티 벤더 전략’이 한층 강화되는 셈이죠.




DJI 오즈모 액션 6, 10월 24일 공개?... 가격·센서 루머 총정리



몇 달째 루머만 무성하던 DJI 오즈모 액션 6가 드디어 10월에 나온다는 소식이 있어요. 이미 디자인은 대략 알려진 상태인데, 이번에는 출시 시기뿐 아니라 가격까지 더 구체적인 이야기들이 돌고 있습니다.


한동안 업계에서는 DJI가 11월에 한꺼번에 여러 제품을 공개할 거라는 관측이 있었죠. 오즈모 모바일 8, 오즈모 모바일 8P, 마이크 3 프로, 네오 2 같은 이름들이 오르내렸고, 이 가운데 일부는 몇 달 전 미국 FCC(연방통신위원회) 문서에서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새 보고서에 따르면, 다음 소비자용 신제품의 주인공은 그 라인업이 아니라 오즈모 액션 6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하네요.



▲ 이미지 출처 : The New Camera


오즈모 액션 6는 올해 앞서 공개된 오즈모 360과 오즈모 나노처럼 새로운 폼팩터 실험을 이어가기보다, 전통적인 액션캠 스타일로 회귀할 거라는 관측이 우세합니다. 직사각형 바디에 단일 카메라, 그리고 전면과 후면 디스플레이를 갖춘 구성으로 예상돼요. 실제로 FCC가 수개월 전 여러 각도에서 촬영된 오즈모 액션 6 이미지를 공개해 디자인 윤곽은 어느 정도 드러난 상태예요.


출시 일정에 관해서는 카메라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The New Camera에 따르면 여러 소식통을 종합해 봤을때 DJI가 다음 액션캠을 10월 24일에 공개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다만 이를 뒷받침하는 확실한 증거가 아직 나온 건 아니라는 점도 함께 짚고 있어요. 같은 맥락에서 10월 24일이 맞다면 적어도 10월 17일까지는 티저가 공개될 거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스펙과 가격 루머도 흥미롭습니다. 현재로서는 1인치급 스타일의 이미지 센서, 1,950mAh 배터리를 탑재하고, 미국 기준 시작가는 약 329달러 수준이 될 거라는 이야기가 돌고 있어요. 공식 발표 전까지는 어디까지나 추정이지만, 만약 사실이라면 센서와 배터리에서 체감 업그레이드를 기대해볼 만하겠죠.




레드매직 11 프로, 하드코어 게이밍은 물론 카메라까지 잡았다



중국 출시를 앞둔 레드매직(RedMagic) 11 프로가 카메라 티저를 잇달아 공개했습니다. 게이밍 성능만 강조할 줄 알았는데, “카메라도 잘 찍는다”는 메시지를 확실히 던졌네요. 레드매직은 고성능 게이밍 스마트폰으로 잘 알려진 브랜드죠.


레드매직 11 프로는 2025년 10월 17일 중국에서 공개될 예정입니다. 브랜드 첫 수냉식 게이밍폰이자 최신 스냅드래곤 8 엘리트 Gen 5 칩셋을 탑재한다고 하니 성능은 두말할 필요가 없겠죠. 하지만 이번 티저의 핵심은 카메라였습니다.


레드매직이 공개한 최근 티저에 따르면, 후면에는 5,000만 화소 센서 두 개가 들어가고, 세 번째 카메라도 있지만 정확한 센서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메인 카메라는 1/1.55인치 센서에 f/1.88 조리개, OIS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전작인 10S 프로와 센서 자체는 동일해 보이지만, 조리개가 f/1.88로 설정돼 야간 촬영에서 약간의 이점이 기대됩니다.



▲ 레드매직 11 프로 플러스로 촬영한 샘플 이미지 (출처 : https://m.weibo.cn/detail/5220872279295704)


또한 24mm 화각의 메인 카메라로 촬영한 주간 샘플과 야간 샘플이 공개됐는데요. 낮에는 디테일이 살아 있고, 밤에는 번화한 도심 거리 장면을 비교적 밝게 담아낸 모습이었습니다. 이 샘플은 레드매직 11 프로 플러스(Plus) 모델로 촬영했다고 합니다.



▲ 레드매직 11 프로 플러스로 촬영한 샘플 이미지 (출처 : https://m.weibo.cn/detail/5220872279295704)


정리하자면, 레드매직 11 프로 시리즈는 하드코어 게이밍은 물론, 일상 스냅까지 ‘무난 이상’의 결과물을 기대하게 만드는 티저를 보여줬습니다. 실제로 나오면 게이밍 성능 만큼이나 카메라 성능은 어떨지 기대가 되네요.




카시오 GMW-BZ5000D, 드디어 온다?...일본 2025년 말, 글로벌 2026년 초 출시



카시오의 새 풀메탈 스퀘어 ‘GMW-BZ5000D’가 일본에서는 2025년 말, 해외에는 2026년 초에 출시된다는 소식이 돌고 있습니다. G-SHOCK 관련 최신 소식을 전하는 Great G-Shock World에 따르면, 세 가지 올메탈 모델(실버, 블랙, 골드)이 MIP 디스플레이와 새로운 케이스 구조, 그리고 프리미엄 가격을 들고 나온다고 합니다.


이번 루머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건 출시 구성과 가격대예요. 실버, 골드, 블랙의 세 가지 색상 중에서 실버와 골드는 일반 리테일 채널에 널리 풀릴 가능성이 크고, 블랙 에디션은 일부 파트너 샵 한정으로 판매되며 할인 없이 프리미엄 가격을 유지할 거라고 합니다. 일본 기준 실버 GMW-BZ5000D의 베이스 가격은 ¥93,500, 블랙과 골드 컬러 모델은 ¥102,300으로 거론되고 있어요.



▲ (왼쪽부터) GMW-BZ5000D-1, GMW-BZ5000GD-9, GMW-BZ5000GD-1 / 출처 : Great G-Shock World(https://gshockjp.blog.jp/GMW-BZ5000D-info-20251012)


디자인과 기술적 변화도 분명합니다. 이번 모델은 트리플 레이어 케이스 아키텍처, 더 날카로워진 라인, 수정된 러그 등으로 기존 베스트셀러인 GMW-B5000D-1과는 결이 달라질 전망이에요. 커뮤니티 유출과 고해상도 사진을 통해 MIP LCD 적용도 거의 기정사실처럼 보이는데요, 이는 기존 지샥 디지털보다 가시성이 확실히 개선된다는 점에서 반가운 변화죠.


핵심 기능은 지샥 풀메탈답게 터프 솔라 충전, 멀티밴드 6, 블루투스 앱 연동, 200m 방수 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즉, 일상과 레저를 넘나드는 신뢰성·내구성·편의성의 삼박자를 그대로 이어가면서 디스플레이와 케이스 구조 업그레이드로 사용 경험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가능성이 커요.




애플, 다음 세대 ‘에어팟 프로’ 준비? 차세대 H3 칩 개발 중



지난달 에어팟 프로 3가 출시되었는데 벌써 다음 모델 준비 소식이 솔솔 들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개발 중인 차세대 제품을 비롯해 애플 에어팟에 관련된 다양한 소식을 전해드릴께요.


Bloomberg의 Mark Gurman에 따르면, 애플은 이미 다음 세대 에어팟 프로 작업에 들어간 상태라고 해요. 다만 정확히 ‘에어팟 프로 4’로 부를지, 아니면 에어팟 프로 3의 업데이트 버전으로 분류할지는 아직 판단하지 않은 듯합니다.


애널리스트 Ming-Chi Kuo에 따르면, 내년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는 “더 의미 있는 수준”이 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아주 작은 적외선(IR) 카메라가 최소 한 개 들어갈 수 있다는 이야기예요. 이어서 중국 웨이보발 소식에 따르면, 이 적외선 카메라 모델은 ‘에어팟 프로 4’라기보다 에어팟 프로 3의 더 하이엔드 옵션으로 포지셔닝될 가능성이 거론됩니다. 또한 Ming-Chi Kuo에 따르면, 적외선 카메라가 들어가면 공중 제스처 같은 새로운 입력 방식과 함께, 비전 프로와의 연동이 더 깊어질 수 있다고 해요.


Mark Gurman의 Power On 뉴스레터에 따르면, 애플은 무선 오디오용 차세대 H3 칩을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목표는 음질 향상과 지연(latency) 감소입니다. 합리적으로 보면 다음 세대 에어팟 프로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지만, Gurman은 어느 모델에, 언제 처음 탑재될지는 확답하지 않았어요.


Mark Gurman은 애플이 에어팟 5를 두 개의 티어로 준비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다만 에어팟 프로 3에 들어간 운동 중 심박수 모니터링 기능이 에어팟 5로 확장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어요. 대신 체온 감지 같은 새로운 건강 관련 기능 아이디어를 두루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금 판매 중인 에어팟 프로 3와 에어팟 4는 H2 칩을 쓰고 있고, 오버이어인 에어팟 맥스는 아직 H1이에요. Ming-Chi Kuo에 따르면, 새로운 에어팟 맥스는 2027년에 양산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애플 M5 맥 로드맵 통째로 유출? M5 칩셋 첫 스타트는 ‘맥북프로’



애플의 차세대 맥 라인업이 통째로 드러났다는 소식이에요. AppleInsider 보도에 따르면 macOS Tahoe 26 코드에서 M5 칩 기반 맥들이 줄줄이 포착됐죠. 조금 전 2025년 10월 15일(미국 현지시간)에 M5 칩 기반 맥북 프로를 정식 공개했는데요 2026년 중반까지 맥북 프로, 맥북 에어, 아이맥, 맥 미니, 맥 스튜디오가 순차적으로 나온다고 합니다.


- 2026년 초: M5 맥북 에어(J813·J815)

코드 레퍼런스에는 13인치(J813), 15인치(J815) 등 두 가지 맥북 에어가 포착됐고, macOS 26.2 타이밍에 맞춰 2026년 초 출시가 거론돼요. 디자인은 지금의 슬림 알루미늄 바디, MagSafe 3, 리퀴드 레티나를 유지하되, 개선된 3nm 공정의 M5 SoC 로 교체되면서 CPU 소폭 상승, 전력 효율 개선, 배터리 체감 향상이 기대됩니다. 가격은 M4 에어 대비 소폭 인상 가능성이 거론되고요. 아이폰급 Pro SoC 를 쓰는 별도 하위 모델로 입문 가격대를 유지하려는 움직임도 언급됩니다.


- 2026년 봄: M5 Pro·M5 Max 맥북 프로(J714·J716)

상위 모델인 M5 Pro·M5 Max 맥북 프로는 macOS 26.3 시점인 2026년 봄 출시가 계획된 것으로 나타났어요. 여기서 흥미로운 건 TSMC의 SoIC-MH 패키징 적용 가능성이에요. AppleInsider에 따르면 CPU, GPU 블록을 분리해 더 유연하게 스케일링하고, GPU 코어 수를 확대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고 합니다. 이미 M4가 ‘사이버펑크 2077’ 같은 고사양 게임에서 보여준 성능을 감안하면, M5 Pro/Max의 그래픽 성능 상승은 맥 게임 환경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수 있겠죠. 다만 외형 변화는 이번엔 제한적일 전망이고, OLED와 터치 패널을 갖춘 맥북 프로는 2026년 후반으로 더 뒤에 잡혀 있다는 전언이에요.


- 2026년 중반(WWDC 전후): M5 맥 미니·맥 스튜디오·아이맥(J873s/J775c/J833ct)

데스크톱 라인업은 macOS 26.4와 함께 2026년 중반(WWDC 시기 전후)에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M5 맥 미니(J873s/J873g), M5 맥 스튜디오(J775c/J775d), M5 아이맥(J833ct) 등이 예상되고요. 외형은 기존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M5/M5 Pro/M5 Max 조합으로 효율 및 성능을 상향하고, 발열과지속 성능 면에서 개선이 기대됩니다.




삼성 첫 ‘트라이폴드 폰’ 10월 21일 공개 유력

한국, 중국 넘어 UAE, 미국까지 출시국 확대?



삼성이 처음 선보일 트라이폴드 스마트폰, 생각보다 더 많은 나라에서 만나보실 수 있을 듯합니다. 그동안 ‘한국과 중국 한정 출시’라는 얘기가 돌았지만, 최근 보도에 따르면 출시 지역이 UAE는 물론이고 미국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커졌어요. 삼성 모바일 기기 정보 사이트인 SamMobile에 따르면, 삼성은 초기 계획을 바꿔 더 넓은 시장으로 출시 폭을 넓히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분위기입니다. 그 배경에는 제품 자신감과 화웨이를 비롯한 경쟁사의 압박, 두 가지가 동시에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하네요. 정식 공개 날짜는 10월 21일이 유력하다고 합니다.


사양 역시 꽤 흥미롭습니다. 펼쳤을 때 10인치에 달하는 OLED 디스플레이가 세 부분으로 접히는 진짜 ‘트라이폴드’ 구조를 채택하고, 배터리도 세 파트로 분할된 형태를 쓸 거라는 이야기가 들립니다. 카메라는 후면 트리플 구성에 2억 화소 메인 카메라가 유력하다고 해요. 초광각과 망원(텔레포토)이 조합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현재 시점에서 트라이폴드 폰을 실제로 시장에 내놓은 회사는 화웨이가 유일합니다. 이미 두 종(메이트 XT, 메이트 XTs)을 공개, 판매 중이죠. 이런 상황에서 삼성의 등장은 업계 두 번째 트라이폴드 상용화 사례가 될 전망이라, 폼팩터 경쟁이 한층 달아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 이장만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저작권 안내
크리에이트 커먼즈 저작자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저작권 안내
저작권 표시 필수
상업성 이용 불가
컨텐츠 변경 불가
* 본 내용은 위의 조건을 충족할 시,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최신 DPG 모아보기 전체 둘러보기
2/1
유머게시판 우리나라 쇼트트랙 해설 특징 (1)
유머게시판 대환장파티 경부고속도로 (1)
자유게시판 [10월 래플] RTX 5070 4일차 응모했네요. (1)
유머게시판 어느 한국인의 첫 중국 여행기
유머게시판 동창회 나간 이병헌이 충격먹은 이유
유머게시판 스르륵 길어지는 흡혈귀 이빨 장난감
유머게시판 홍진경 암살하는 주우재
유머게시판 싱글벙글 화목한 가정
자유게시판 10/16(목) 5,106보를 걸었습니다. (2)
댕냥이게시판 매일 자식를 물고 다니는 고양이 (1)
댕냥이게시판 할머니집에서 관측된다는 고먐미 (1)
댕냥이게시판 아댕이들에게 사랑 받는 냥냥이 (1)
댕냥이게시판 밥 달라고 조르는 댕댕이들 (1)
취미 상품포럼 김연경도 반한 배구게임 더 스파이크 크로스 스팀으로 즐겨보자 (1)
기획뉴스 애플·삼성·DJI의 신제품 총공세가 이어진다... 이 주의 IT 루머 총정리
소비자사용기 ASUS TUF Gaming B650EM-E WIFI STCOM 간단 후기 (1)
자유게시판 계단 빨리 내려가기 (2)
자유게시판 대한항공 기내식 먹방 (2)
자유게시판 [10월 다나와래플] RTX 5070 응모 4 (3)
유머게시판 변신 로봇 장난감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