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에는 '이더마인(ethermine.org)'에서 '이더리움(Ethereum)'과 '이더리움 클래식(Ethereum Classic)'을 채굴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다. 이번에는 '이더마인'과 인터페이스 및 이용방법이 동일한 '플라이풀(zcash.flypool.org)'에서 '제트캐시(Zcash)'를 채굴하는 방법을 살펴보겠다.
플라이풀(Flypool)
'플라이풀'은 '이더마인(Ethermine)' 소유주가 운영하는 '제트캐시(Zcash)' 채굴풀이다. 채굴서버는 유럽, 미국, 아시아에 위치해 있다.
STEP 1. 플라이풀에 접속
▲ 플라이풀 홈페이지
이제 '플라이풀'에 접속한 뒤 최상단에 있는 ‘Pools’를 누른다. 그리고 메뉴에서 '제트캐시(Zcash)'를 선택한다. 참고로 '플라이풀'은 회원가입이 필요 없다.
STEP 2. 채굴 프로그램 다운 및 설정법 숙지
'플라이풀'에서 제공하는 AMD 용 '제트캐시' 채굴 프로그램은 '클레이모어(Claymore)', '옵티마이너(Optiminer)', '비마이너(Bminer)' 이렇게 총 3개다. 이 중에서 채굴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으면 된다. 이번 가이드에서는 ‘클레이모어’를 갖고 설명을 하겠으며 본문 하단에 있는 링크를 통해 '클레이모어'를 다운받을 수 있다.
▲ '플라이풀'의 서버주소와 포트번호
채굴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려면 채굴풀의 서버 주소, 포트 번호 등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채굴자는 '플라이풀'에 나와 있는 서버주소와 포트번호를 숙지해야 한다.
STEP 3. 제트캐시 지갑 주소 확인
▲ 빗썸에서 제공하는 제트캐시 지갑 주소
'플라이풀'에서 '제트캐시'를 채굴하려면 개인 '제트캐시' 지갑 주소가 필요하다. '제트캐시' 지갑 주소는 '제트캐시' 홈페이지에서 만들 수 있으며 암호화폐 거래소에서도 만들 수 있다. 글쓴이는 국내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인 ‘빗썸’에서 '제트캐시' 지갑 주소를 생성했다.
STEP 4. 배치파일 편집
STEP 2에서 다운받은 '클레이모어'를 압축해제 한다. 그 후, 폴더 안에 있는 ‘start.bat’을 찾아 우클릭한 뒤, 편집을 누른다.
▲ 배치파일 수정 전(위)과 후(아래)
‘start.bat’파일이 메모장 형태로 열리면 기존에 있는 내용을 모두 지운 뒤, ‘ZecMiner64.exe -zpool asia1-zcash.flypool.org:13333 -zwal wallet_address.worker -zpsw x’를 입력한다.
그 후 'wallet_address'에 본인의 '제트캐시' 지갑 주소를 덮어쓰고 'worker'에 본인이 원하는 워커 이름을 쓰면 된다. 예를 들어 지갑 주소가 ‘a1b2c3’이고 워커 이름을 ‘danawa’로 하고 싶다면 ‘wallet_address.worker’를 지우고 ‘a1b2c3.danawa’를 입력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수정 내용을 저장하고 메모장을 닫는다.
STEP 5. 그래픽카드 최적화
그래픽카드가 암호화폐를 더 효율적으로 채굴하기 위해서는 '코어 클럭(Core Clock)'과 '메모리 클럭(Memory Clock)'을 조정해야 한다. 그런데 최적화된 '코어 클럭'과 '메모리 클럭' 값은 암호화폐 알고리즘 함수마다 모두 다르다. 따라서 현재 채굴하고 있는 암호화폐가 어떤 알고리즘 함수를 사용하는지 알아야 한다.
▲ 코어 클럭, 메모리 클럭 최적화 전(위), 후(아래)
'제트캐시'는 '이퀴해시(Equihash)'라는 '해시 함수 알고리즘(Hash Function Algorithm)'을 사용한다. 이 함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암호화폐는 '메모리 클럭'보다는 '코어 클럭'에 더 많은 '해시 레이트(Hash Rate)'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제트캐시'를 채굴할 때에는 '메모리 클럭'보다는 '코어 클럭'을 높여야 한다. 하지만 '클럭'을 과하게 올리면 채굴이 정상적으로 진행 안 될 수 있으며 채굴PC가 다운될 수도 있기 때문에 '코어'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클럭'을 올려야 한다. 글쓴이는 그래픽카드가 암호화폐를 채굴중일 때, 코어 온도가 60℃를 넘지 않는 선에서 '클럭'을 조절하다가 1,400MHz라는 값을 찾아 적용했다. 그러나 초보 채굴자들은 똑같은 그래픽카드라 하더라도 채굴 환경마다 '해시 레이트'가 다르게 나올 수 있으므로 본인에게 알맞는 '클럭' 값을 찾아야 한다. 참고로 ‘코어 클럭’과 ‘메모리 클럭’을 조절할 수 있는 '애프터버너(AfterBurner)'는 본문 하단에 있는 링크를 통해 다운받을 수 있다.
해시 함수 알고리즘(Hash Function Algorithm)
해시 함수 알고리즘은 긴 길이의 데이터를 짧은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뜻한다. 암호화폐가 사용하는 해시 함수 알고리즘으로는 SHA-256(비트코인), Scrypt(라이트 코인), Ethash(이더리움, 이더리움 클래식)등이 있다.
채굴 초보자는 암호화폐를 채굴할 때 그래픽카드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메인보드 최적화를 필수로 해야 한다. 아직 최적화를 하지 않았다면 본문 하단에 있는 별도의 링크를 통해 운영체제와 메인보드를 각각 최적화하자.
STEP 6. 클레이모어 실행
이제 ‘start.bat’을 실행한다. '클레이모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플라이풀'에 접속했다는 메세지와 함께 '해시 레이트'가 RX570 기준, 290 H/s 이상으로 나온다면 세팅에 성공한 셈이다.
STEP 7. 플라이풀 모니터링(Monitoring)
채굴자는 '플라이풀'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을 통해 현재 채굴PC가 정상적으로 암호화폐를 채굴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플라이풀' 홈페이지 우측 상단 검색창에 본인의 '제트캐시' 지갑 주소를 입력 후 검색을 누른다.
▲ 모니터링에 성공한 모습
버튼을 누른 뒤 10~15분 정도 지나면 '모니터링'이 정상적으로 된다. 이 '모니터링'을 통해 채굴자는 '제트캐시'의 '해시 레이트(Hash Rate)', 채굴량, 워커 상태 및 채굴현황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플라이풀'에서 '제트캐시'를 채굴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다. '플라이풀'은 다른 채굴풀과 달리 실시간 '해시 레이트' 상황을 그래프로 알려주기 때문에 직관적이며 회원가입이 별도로 필요 없어 채굴자들에게 간편한 채굴풀이라고 할 수 있다.
<클레이모어(v12.6) 다운로드 링크>
MEGA: https://mega.nz/#F!P0ZjFDjC!Cmb-ZRqlbAnNrajRtp4zvA
GOOGLE: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0B69wv2iqszefdmJickl5MF9BOEE
https://www.msi.com/page/afterburner
<채굴PC 최적화 가이드>
그래픽카드 편: https://dpg.danawa.com/news/view?boardSeq=64&listSeq=3602822
메인보드 편: https://dpg.danawa.com/news/view?boardSeq=64&listSeq=3596798
운영체제 편: https://dpg.danawa.com/news/view?boardSeq=64&listSeq=3607386
글, 사진 / 김영성 popeye@danawa.com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www.dana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