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월, 티머니에서 애플페이 교통카드 서비스를 런칭하면서 국내 아이폰 이용자의 오랜 숙원이 풀리는가 싶었지만 K-패스 교통카드를 지원하지 않아 사용성이 애매했다. 이번에 애플과 티머니가 협의 끝에 모바일 티머니 K-패스 서비스를 확대해 아이폰 이용자도 실물 카드 없이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아이폰에서 어떻게 모바일 티머니 K-패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자. 단, 모바일 티머니 카드 자체가 없는 상황이라면 이전에 소개한 포스팅을 참고해서 교통카드를 발급받도록 하자.

이전 포스팅 (클릭하면 이동)
아이폰 x 모바일 티머니 x K-패스
K-패스 연동 방법

모바일 티머니에서 k-패스를 연동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먼저, 모바일 티머니 최신 업데이트를 진행하자. 참고로 기존에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던 k-패스 신용 & 체크카드가 있다면, 모바일 티머니 k-패스와 중복 사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등록을 해제해야 한다.

업데이트를 마치고 모바일 티머니 앱에 들어가게 되면 메인 메뉴에서 'k-패스' 탭이 생긴 것을 발견할 수 있다.

K-패스 탭 메뉴 중 카드 관리 항목에서 기존에 발급한 모바일 티머니 카드를 K-패스로 연동할 수 있다.

이제 K-패스 홈페이지에 등록만 하면 모든 과정이 끝난다. K-패스 홈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 뒤 최상단에 위치한 MY 메뉴에서 '내카드'로 들어가면 K-패스 카드 등록이 가능하다.

이에 K-패스 카드를 등록했다면 '카드변경 및 이력' 메뉴가 보일 텐데 가볍게 클릭해보자. 카드번호란에 모바일 티머니에서 등록했던 카드 번호를 입력하고 '카드 유효성 체크' 버튼을 누른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절차가 끝난다.
모바일 티머니 x K-패스 혜택은?

K-패스는 기본적으로 월 15회 이상 대중 교통을 이용한다는 조건만 충족하면 최대 60회까지 환급이 가능하다. 연령과 소득 수준에 따라 적립률이 최소 20%에서 최대 53%까지 다양해 이용만 하면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다.

모바일 티머니를 K-패스로 연동해서 활용하게 되면 기본 환급 혜택 외에 다른 혜택도 제공된다. 모바일 티머니 카드 사용 금액이 당월 10만 원을 넘기면 최소 2천 원부터 최대 7천 원까지 T-마일리지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기 때문. T-마일리지 포인트는 다시 모바일 티머니 선불 충전 금액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기획, 편집, 글 / 다나와 최정표 wjdvvy@cowave.kr
(c) 비교하며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