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갤럭시 'RTX 5050 vs RTX 5060 Ti' 그래픽카드 DLSS 성능 차이는?

2025.11.19. 18:46:25
조회 수
121
3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옛 한자문화권에서는 귀족의 위계를 다섯 등급으로 나누어 공(公)·후(侯)·백(伯)·자(子)·남(男)이라 불렀다. 공작이 가장 높고, 남작이 가장 낮았으며, 작위의 높낮이에 따라 봉토의 크기와 정치적 영향력이 달랐다고 전해진다.

구체적인 역할이 문헌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대체로 공작은 왕에 버금가는 위상을, 후작은 국경 방위나 지방 통치를, 백작은 중간 규모의 지역 관리, 자·남작은 보다 작은 봉토와 실무를 담당했다고 전해진다.

현대의 그래픽카드 시장을 질서에 빗대어 본다면 RTX 5090은 공작, RTX 5080은 후작, RTX 5070은 백작, RTX 5060은 자작, RTX 5050은 남작쯤으로 볼 수 있겠다. 각각의 이름이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니듯, 이 계급에도 분명한 경계와 역할이 있다. 그렇다면 오늘의 주인공, RTX 5060 Ti(자작)와 RTX 5050(남작)은 얼마나 다른 존재일까.

봉건 질서로 치면 한 단계 차이지만, 게이머 입장에서는 느끼게 되는 간극은? 체급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 조금의 차이를 크게 느끼는 것이 게이머의 심리다. 필자는 그 부분에 주목하게 됐다. 라인업을 보면 한 끗 차이로 보이는데 실질 성능도 다를까? 라는 부분에 근거가 필요했다.


1. 차세대 성능을 가장 싸게 체감하는 법.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60 Ti EX WHITE OC D7 8GB




‘높으신 분’인 RTX 5090은 쉽게 구할 수 있는 가격대가 아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RTX 5060 Ti는 ‘친절한 이웃’이자 균형의 상징이라 볼 수 있다. 현실적인 가격대에서 실속을 챙겨 최대한 게이머에게 좋은 경험을 제시해주려 하는 세대의 기준점이기도 하다.

위에는 퍼포먼스급인 RTX 5070, 아래는 메인스트림의 상징인 RTX 5060. 즉 RTX 5060 Ti는 형, 아우가 모두 엄청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렇기에 더 어깨가 무겁다. 성능·전력·가격의 삼박자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는 지점이 RTX 5060이기에, 조금 올라간 가격대로 그것보다 분명히 체감상 차이가 나는 게이밍 경험을 선사해야 한다는 것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RTX 5060 Ti는 그 어려운 숙제를 해냈다. 4nm 공정의 Blackwell 아키텍처와 함께 5세대 텐서 코어, 4세대 RT 코어, DLSS 4 프레임 생성 기술이 모두 담겼다. 즉, 플래그십의 DNA는 그대로 이어받았고, 그러면서도 소비전력은 180W에 불과하다. 단일 8핀 전원만으로 동작해 기존 시스템 호환성 역시 뛰어나다. 이 모든 요소가 ‘지금 바로 업그레이드 가능한 차세대’라는 현실적 설득력을 만들어낸다.

갤럭시 GALAX RTX 5060 Ti EX WHITE OC D7 8GB는 당장 보기 좋은 화이트 외형을 전면에 내세운 제품으로 단정하긴 아쉽다. WINGS 3.0 팬 구조와 히트파이프 3개, 제로팬 기술을 결합해 저소음·고효율의 냉각을 구현했다.

디자인은 백플레이트까지 통일된 컬러로 마감하면서도 오픈형 통풍 구조를 적용해 발열을 빠르게 배출한다. 조명은 측면과 팬 허브에 배치된 듀얼 ARGB 라이트로 완성도를 높였고, 사용자가 전용 앱으로 색상과 패턴을 제어할 수 있게 했다.

참고로 메모리는 8GB GDDR7을 탑재했다. 게이밍 제품이라면 살짝 여유로워도 될진데 해당 체급에서는 보편적으로 갖춘 용량이다. 수치상으로는 상위 라인업보다 부족한 듯 싶지만, 28Gbps 대역폭이 이를 상쇄한다. 하지만 실제 게임에서는 1440p 해상도까지 충분히 대응하며, DLSS 4를 켜면 프레임 여유가 한층 넓어진다.

즉 ‘현실적인 체감’이라는 측면에서 RTX 5060 Ti는 절묘하게 마지 노선에 위치한다. 높은 부하에서도 일정한 프레임타임을 유지하고, RT 옵션을 켠 상태에서도 급격한 프레임 하락 없이 안정적인 게임 경험도 제공한다.

만약 ‘게이밍 그래픽카드’라는 타이틀을 가장 저렴하게 구매하고자 한다면 RTX 5060 Ti는 플래그십이 보여주는 기술의 영광을 절반의 가격, 절반의 전력으로 체험할 수 있는 카드에 해당한다. 여기에 갤럭시 특유의 디자인 감각과 세밀한 마감이 더해지면서, ‘현실적인 세대 교체’의 완성형이 되었다. 지금 세대에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문장으로 요약된다.

하지만 ‘현실적인 세대 교체’의 반대편에는 또 다른 균형이 있다. 그래도 부담된다 하는 사용자에게 가격의 문턱을 더 낮추고, 접근성을 극대화한 모델. 바로 RTX 5050 되겠다.




◆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60 Ti EX WHITE OC D7 8GB

① 기본 사양
칩셋 : NVIDIA GeForce RTX 5060 Ti (4nm)
인터페이스 : PCIe 5.0 ×16 (at x8)
권장 파워 : 정격파워 600W 이상
전원 포트 : 8핀 ×1

② GPU 성능
베이스 클럭 : 2407 MHz
부스트 클럭 : 2617 MHz
쿠다 프로세서 : 4608개
스트림 프로세서 : 4608개

③ 메모리 및 출력
메모리 : 8GB GDDR7, 28,000 MHz, 128-bit
영상 출력 : DisplayPort ×3, HDMI ×1
지원 기능 : 최대 모니터 4대, 8K 해상도, HDR, HDCP 2.3

④ 전력 및 냉각
소비 전력 : 180W
냉각 구성 : 방열판 + 히트파이프 + 듀얼 팬(2-팬)
제로팬 : ○

⑤ 외형 및 부가기능
카드 길이 × 두께 : 255 mm × 40 mm
백플레이트 : ○
LED 라이트 : ○ (측면 LED, 팬 LED 지원)

⑥ 서비스 및 유통
기간 : 3년
유통 : 갤럭시코리아









2. 좋은 의미에서 만만한 그래픽카드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50 BLACK OC D6 8GB DUAL HDMI




그래픽카드 시장의 막내는 가장 마지막에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세대 교체의 막을 내리는 상징이기도 하다. 하지만 막내 자리는 달콤하지 않다. 늘 “그 가격에 그걸?”이라는 물음표를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엔트리 제품들이 ‘가성비’라는 명분으로 등장하지만, 실제로는 성능과 가격의 간극이 크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RTX 5050은 좀 다르다. 고가 플래그십이 보여주는 화려함 대신, 현실적인 접근성을 무기로 세대 교체의 문턱을 낮췄다. ‘가장 싸지만 가장 최신 세대’라는 역설이 정확히 들어맞는다. 물론 엔트리라는 이름을 달고 있으려면 최소한 전 세대 메인스트림과는 맞붙을 수 있어야 한다. RTX 5050은 바로 그 기준선을 넘어섰다.





그렇다 보니 막상 사용해보면 체감 성능은 기대 이상이다. 전 세대 기준으로 분류하자면 실성능이 RTX 4060에 많이 근접했다. 거기에 4nm 공정의 Blackwell 아키텍처, DLSS 4, AI 가속, 4세대 RT 코어 등 핵심 기술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또한, 이 DLSS4의 멀티 프레임 제네레이션(MFG)을 가동하면 RTX 4060은 물론이고 RTX 4060 Ti도 넘어서기도 한다. 거기에 소비전력은 130W로 줄었고, 단일 8핀 전원만으로 충분히 동작한다.

파워서플라이 교체 걱정도 없고, 케이스 호환성도 좋다. ‘지금 쓰는 PC에 그대로 꽂는 세대 교체’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다. 권장 파워 550W, 길이 225mm의 구성은 딱 필요한 부분만 담은 균형형 스펙이다.

즉, 파워서플라이 교체 걱정도, 케이스 호환성 문제도 없다. ‘지금 쓰는 PC에 그대로 꽂을 수 있는 세대 교체’라는 점에서 이보다 실용적인 조건을 찾기 힘들다. 권장 파워 550W, 길이 225mm라는 스펙은 딱 필요한 만큼만 갖춘 균형형 구성이다.

갤럭시 (GALAX)의 BLACK OC D6 8GB는 그런 RTX 5050의 현실적 가치를 디자인과 품질로 완성했다. 듀얼 92mm WINGS 3.0 팬과 6mm 히트파이프 2개, 알루미늄 방열판으로 구성된 쿨링 시스템은 엔트리 제품에서 보기 드문 정숙함도 보장한다.

부하 상황에서는 빠르게 열을 배출하고, 유휴 상태에서는 팬이 정지하는 제로팬 기능으로 소음도 현실적으로 낮췄다. 전면에는 화이트 LED가 배치되어 있지만, 물리적 스위치로 켜고 끌 수 있어 개인의 취향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사소할 수도 있지만 작은 배려가 갤럭시 제품의 특징이다.

성능은 FHD 환경에서 AAA 타이틀을 ‘무난히 돌릴 수 있다’는 점을 노렸다. 검은신화: 오공 같은 고사양 게임에서도 DLSS 4를 활성화하면 평균 160fps 근처까지 도달하며, e스포츠 타이틀에서는 144Hz 고주사율 환경에서도 충분한 안정됨을 보여준다.

물론 VRAM 8GB, 128-bit 버스라는 제약은 있지만, DLSS 4와 Reflex 2의 조합이 그 한계를 보완한다. 실제 게임 체감은 수치 이상의 부드러움으로 돌아온다. ‘프레임을 늘린다’는 말보다 ‘플레이 경험을 바꾼다’는 표현이 가깝다.

현 시점에서 RTX 5050은 값싼 그래픽카드라는 표현은 어울리지 않다. 상위 모델에서 입증된 차세대 그래픽 기술을 가장 낮은 비용으로 경험할 수 있게 만든 ‘초기 진입용 플랫폼’으로 손색없다. 게임 입문자에게는 첫 GPU로, 오랜만에 업그레이드를 결심한 사용자에게는 부담 없는 선택지로 어울린다. 그래서 ‘좋은 의미로 최고로 만만한 그래픽카드’라는 평가도 따른다. 누구나 손에 쥘 수 있는 최신 세대, 그 친근함 자체가 RTX 5050의 가장 큰 무기다.




◆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50 BLACK OC D6 8GB DUAL HDMI

① 기본 사양
칩셋 : NVIDIA GeForce RTX 5050 (4nm)
인터페이스 : PCIe 5.0 ×16 (at x8)
권장 파워 : 정격파워 550W 이상
전원 포트 : 8핀 ×1

② 메모리 및 출력
메모리 : 8GB GDDR6, 20,000 MHz, 128-bit
영상 출력 : HDMI ×2, DisplayPort ×2
지원 기능 : 최대 모니터 4대, 8K 해상도, HDR, HDCP 2.3

③ 전력 및 냉각
소비 전력 : 130W
냉각 구성 : 방열판 + 히트파이프 + 듀얼 팬(2-팬)
제로팬 : ○

④ 외형 및 부가기능
카드 길이 × 두께 : 225 mm × 40 mm
백플레이트 : ○
LED 라이트 : 팬 LED
LED 온오프 스위치 : ○

⑤ 서비스 및 유통
기간 : 3년
가격 : 약 38만 원(다나와 최저가 기준)
유통 : 갤럭시코리아







3. 최신 기술 덕분에 메인스트림, 엔트리도 절대 만만하게 볼 수 없다




앞서 RTX 5050이 조건에 따라 RTX 4060 Ti를 넘어서는 구간이 있다고 언급했다. 단순히 CUDA 코어 숫자만 보면 납득하기 어렵지만, 그걸 가능하게 한 이유는 5,000 시리즈에서만 지원하는 기술을 구현하기 때문이다. DLSS4가 대표적이다.

DLSS 4는 이전 세대의 업스케일링을 넘어섰다. 이제는 AI가 새로운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생성하는 방식으로 실제 출력 프레임 수를 끌어올린다. 낮은 하드웨어 스펙을 보완하는 무기를 장착한 것이다. 사이버펑크 2077과 같은 고사양 AAA 타이틀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Reflex 2는 입력 지연(latency)을 줄여주는 기술이다. e스포츠 게임 중 FPS에서 체감되는 기능으로, 마우스를 클릭했을 때 화면이 반응하기까지의 간격이 줄어든다. 미세한 지연 시간 단축은 생존력 차이로 이어진다. 왜? 먼저 맞춰버리니까. 사소한 차이에 승패가 갈리는 전장에서는 아주 뛰어난 기능이다.

이어 5세대 텐서 코어는 DLSS를 비롯한 AI 연산 전반까지 뒷받침한다. 엔트리, 메인스트림 그래픽카드에서도 이런 최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RTX 5060 Ti, RTX 5050은 상위 모델과 동일한 세대의 AI 가속 체계를 공유하기 때문에, 전 세대 제품군보다 확연히 가격 경쟁력이 높다.


4. DLSS 적용 시 게임 성능이 얼마나 차이가 날까?




DLSS 적용 시 RTX 5060 Ti, RTX 5050의 성능 향상이 크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맞춰서 DLSS 게임 3종을 사용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둠: 더 다크 에이지스, 몬스터 헌터 와일즈, 사이버펑크 2077를 테스트에 사용했다. 해상도는 FHD(1920x1080)이며 옵션은 게임마다 최상옵으로 설정했다. 즉 가혹한 환경에서 성능 상승의 폭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했다.




◆ 테스트 환경

① CPU: AMD Ryzen 9 9950X3D
② M/B: ASRock X870 스틸레전드 WIFI
③ RAM: 마이크론 Crucial DDR5-6400 CL38 PRO Overclocking 블랙
④ SSD: 마이크론 크루셜 P510 1TB NVMe SSD
⑤ GPU: option
⑥ 쿨러: TRYX PANORAMA 3D SE 360 ARGB 수냉 쿨러
⑦ 파워: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1050W ATX3.1 화이트
⑧ OS: Windows 11 Pro 23H2




** 테스트는 no.1 커뮤니티 '빌런 = https://villain.city/ ' 벤치마킹팀과 공동 진행되었습니다.

4-1. 둠: 더 다크 에이지스

둠: 더 다크 에이지스는 헤베스 구간에서 벤치마크를 진행했다. FHD 해상도에 수직동기화 해제 상태다. 전체 품질 슬라이더는 ‘최악의 악몽’으로 고정했다. 대조군은 업스케일러 옵션을 변경해서 설정. TAA(DLSS 미적용)와 DLSS(품질, 프레임 생성 4x 적용)로 비교했다.








모델 렌더링 옵션 평균 FPS 최소 FPS 최대 FPS 주요 특징
RTX 5050 DLSS 품질 + FG 4× 198.75 161.45 235.68 엔트리 급이지만 AI 프레임 생성 효과 뚜렷
RTX 5050 TAA (DLSS 미적용) 62.98 41.76 120.5 DLSS 미적용 시 FHD 60 근처 유지
RTX 5060 Ti DLSS 품질 + FG 4× 291.19 238.72 342.47 평균 FPS가 300에 근접
RTX 5060 Ti TAA (DLSS 미적용) 85.47 51.72 189.43 프레임 생성 미사용 시 풀옵션에서 상대적으로 평범한 성능






RTX 5050 테스트 결과

▲ RTX 5050 DLSS 미적용(TAA) 결과. 평균 62.98프레임으로 FHD 풀옵션에서 평균 60프레임은 일단 넘긴다.

▲ RTX 5050 DLSS 품질, 프레임 생성 4x 결과. 아예 다른 성능의 그래픽카드가 되어버렸다. 스터터링마저 모두 사라졌다.






RTX 5060 Ti 테스트 결과

▲ RTX 5060 Ti DLSS 미적용(TAA) 결과. RTX 5050보다는 당연히 더 높다. 최소 프레임도 51.72프레임으로 좀 더 안정적이다.

▲ RTX 5060 Ti DLSS 품질, 프레임 생성 4x 결과. 엄청난 대상승이다. 이 정도면 240Hz 모니터에서도 쾌적하게 즐길 수 있다.

4-2. 몬스터 헌터 와일즈

몬스터 헌터 와일즈는 전용 벤치마크 툴을 사용했다. FHD 해상도에 DLSS를 적용한 상태에서 프레임 생성 적용 유무로 프레임이 얼마나 상승하는 지 확인했다. 참고로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경우 총점도 함께 표기되는데, 프레임 생성 기능을 켜면 총점이 떨어지는 구조다. 따라서 해당 결과는 총점보다는 평균 프레임 향상에 중점을 두고 확인했다.

구분 프레임 생성 평균 FPS 향상률
RTX 5050 ON (DLSS+FG) 68.08 +28.2 % ↑
RTX 5050 OFF 53.1
RTX 5060 Ti ON (DLSS+FG) 87.37 +41.7 % ↑
RTX 5060 Ti OFF 61.68






RTX 5050 테스트 결과

▲ RTX 5050 DLSS 프레임 생성 미적용 결과.

▲ RTX 5050 DLSS 프레임 생성 적용 결과. 적용 후 프레임이 28.2% 상승했다.






RTX 5060 Ti 테스트 결과

▲ RTX 5060 Ti DLSS 프레임 생성 미적용 결과.

▲ RTX 5060 Ti DLSS 프레임 생성 적용 결과. 적용 후 프레임이 41.7% 상승했다.

4-3. 사이버펑크 2077

사이버펑크 2077은 레이트레이싱:오버드라이브 옵션을 통해 성능을 확인했다. 물론 실제 게임에서는 프리셋을 낮춰 쾌적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결과는 RTX 5050, RTX 5060 Ti에서 커다란 성능 향상이 확인됐다. 특히 RTX 5050의 경우 72.3%가 향상될 정도였다. 물론 실제 게임 시 RT 오버드라이브 대신 다른 옵션을 선택하게 될 텐데, 그 때 DLSS와 함께 MFG 4x를 적용한다면 쾌적한 게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구분 프레임 생성 평균 FPS 향상률
RTX 5050 ON (DLSS + MFG 4x) 59.18 +72.3 % ↑
RTX 5050 OFF 34.33
RTX 5060 Ti ON (DLSS + MFG 4x) 93.07 +66.9 % ↑
RTX 5060 Ti OFF 55.73

◆ 편집자 주

DLSS 4는 RTX 50 시리즈에서 성능을 이야기할 때 가장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요소다. 실제 수치를 보면 이유가 분명하다. 스펙만 보면 RTX 4060을 따라가기 어려운 RTX 5050이지만, DLSS 4를 활성화한 구간에서는 최소·평균 프레임이 상위 제품과 겹치는 장면이 여러 번 나왔다. RTX 5060 Ti 역시 마찬가지로, 특히 DOOM: Dark Ages처럼 부하가 높은 장면에서 이전 세대와의 간격이 체급만큼 벌어지지 않았다. 이제 RTX 50 시리즈를 비교할 때는 쿠다 코어, 메모리 대역폭뿐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 AI 연산을 쓰고 있는지까지 함께 봐야 한다.

시장 흐름을 봐도 DLSS 4의 위치는 점점 분명해지고 있다. 최근 AAA 타이틀 상당수가 DLSS 4를 전제로 그래픽 옵션을 구성하고 있고, 같은 GPU라도 DLSS 4 적용 여부와 최적화 정도에 따라 체감 품질이 확연히 갈렸다. 앞으로는 GPU 세대 차이보다 “DLSS 4를 전제로 설계된 게임이냐 아니냐”가 프레임과 체감의 차이를 더 크게 만드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결정적으로 갤럭시(GALAX) 제품은 동급 라인업 안에서도 완성도가 눈에 띄었다. 동일한 GPU를 쓰더라도 전력 세팅과 쿨링 설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데, 장시간 부하를 걸어도 성능을 일정하게 뽑아냈다. 자고로 지금은 그래픽카드는 칩 하나만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시대다. 그 점에서 만약 게임을 하고 싶은가?라는 명제를 주목하고 있다면 답은 나왔다.

"RTX 50 시리즈에서 DLSS 4 활성화는 이제 기본 옵션이다."


By 김현동 에디터  Hyundong.kim@weeklypost.kr
〈저작권자ⓒ 위클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 학습 포함 금지〉





     [위클리포스트 주요 기사]
· 쿠거(COUGAR) AIRFACE PURE RGB 케이스 [써보니] 완성도와 고급감의 균형을 갖추다
· 마이크로닉스, 지스타 2025 기간 롯데백화점 센텀시티 ‘PLAY ON & POP UP’에서 이터널 리턴 특별 전시
· 갤럭시 'RTX 5050 vs RTX 5060 Ti' 그래픽카드 DLSS 성능 차이는?
· 마이크로닉스, ‘이터널 리턴 고스트헌터 PC 스페셜 에디션’ 판매
· 에이수스, 인텔 익스피리언스 스토어 팝업서 ‘ASUS & ROG 브랜드위크’ 개최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DPG 모아보기 전체 둘러보기
4/1
자유게시판 뱀피르 던컨섭 키우고있어요 (3)
벤치마크 갤럭시 'RTX 5050 vs RTX 5060 Ti' 그래픽카드 DLSS 성능 차이는? (1)
소비자사용기 이엠텍 5070 팰릿 화이트 사용기 (1)
자유게시판 오늘도 커피의 카페인빨로 하루를 버터 보았습니다. (15)
입소문쇼핑 [스마트스토어] 터틀비치 브랜드스토어 블랙프라이데이 D-1 ~76%
자유게시판 스벅 겨울 e-프리퀀시 이벤트 상품 2026 스벅 플래너 언데이트 수령!!! (18)
취미 상품포럼 윈조이포커 멀티가 편해요 (1)
취미 상품포럼 파판14 카페 예약 담주 화요일부터 시작인데 기대됨 (1)
자유게시판 프로 애국노들 (6)
일반뉴스 자동·수동 갈피 못 잡는 아이온2, 또 '모바일 반자동' 추진 (2)
일반뉴스 [오늘의 스팀] 리스크 오브 레인 2 신규 DLC ‘압긍’
전문가 리뷰 AI와 오리지널 콘텐츠로 차별화 완료, 로아 모바일 체험기
일반뉴스 "약속 위반" 엔씨, 아이온2 P2W 상품 논란 일자 철회
취미 상품포럼 [방방곡곡 #858] 경주 대릉원 인근 경주 스타벅스 대릉원점
일반뉴스 게임 과금에 '배송 실패'가 웬 말? 아이온2의 미숙한 오픈
일반뉴스 롤·오버워치 2 등 세 종목, 부산 아마추어 대회 결선 예고
일반뉴스 총 상금 1억 원, 2025 KeSPA 컵 6일 개막한다 (1)
일반뉴스 발로란트 여성 e스포츠 대회, 20일 서울서 열린다 (1)
일반뉴스 2편 포함, '시티즈: 스카이라인' 시리즈 개발사 바뀐다
입소문쇼핑 [알리] LG 32UN650K(32.3만),24GS60F(14.6만),32GS85Q(43만) 24,32인치 4K,나노IPS,게이밍 모니터 블랙프라이데이 특가(11/20~)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