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고성능 PC CPU의 새로운 선택지 i7 12700, 소비자들에게 있어 메리트 있을까?

2022.01.12. 16:32:26
조회 수
9,091
3
댓글 수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인텔에서 12세대 CPU인 엘더레이크 K 시리즈를 2021년 11월 공식 발표한 가운데 2022년 1월 약 2달이라는 시간 차이를 둔 후, Non-K CPU 시리즈를 공식 발표했다.

소비자들에게 있어 가장 이슈가 되고 궁금한 제품은 아무래도 메인스트림급 PC에서 많이 사용되는 i5 12400와 고성능 PC에서 많이 구매하고는 하는 i7 12700일텐데, i5 12400의 경우 앞서 케이벤치 "갓성비 6코어 게이밍 프로세서, 12세대 인텔 코어 i5-12400"에서 내놓은 기사를 참고하길 바라며 금번 기사에서는 i7 12700의 리뷰 정보를 준비해 봤다.

하이엔드 PC를 맞추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있어 실질적으로 선택되고는 하는 Core i7 Non-K CPU, 기존 i7을 노려보는 소비자라 한다면 금번 리뷰 기사를 자알 살펴보면 좋으리라 생각된다.

 

■ 빅 + 리틀 구조, Non- K지만 4개의 E코어로 최대 12코어 구성 적용

먼저는 CPU의 구성인데i7 12700의 경우엔 i7 12700K와 큰틀 즉 CPU 구성이 같다.

즉 i5 12400~12600의 경우엔 리틀코어가 빠져 Only 빅코어인 6코어 12스레드 구성을 갖지만, i7 12700은 8개의 P 코어와 4개의 E코어 구성을 통해 사진과 같이 8 + 4로 12코어 20스레드를 가진다.

이어 CPU 동작 클럭인 부스트 클럭의 경우엔 빅코어를 기준으로 1코어 부하시 최대 4.9GHz로 동작을 하며 올코어 부하 상황에선 4.5GHz를, 스몰코어인 E코어는 2코어 부하시 최대 3.6GHz 올코어 부하엔 최대 3.4GHz로 동작하는 것으로 인텔 XTU 소프트웨어를 통해 확인됐다.

상기의 이유로 i7 12700 CPU 또한 기존 i7 12700K 와 i9 12900K와 같은 빅 + 리틀 코어 구성을 적용했기에, 윈도우 OS에 있어 10이아닌 11 사용환경이 권장된다.

이에 대한 설명을 짧게 정리해 보자면 인텔 12세대 CPU의 경우엔 코어에 직접 내장된 인텔 스레드 디렉터가 있는데, 해당 스레드 디렉터가 윈도우 11 OS 스케줄러와의 최적화가 이루어져 온전한 성능 활용에 있어서는 최신 윈도우 11의 사용을 인텔에선 권장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이 궁금한 소비자 및 독자라 한다면 "물 들어온다, 노 저어라! 엘더레이크와 인텔 12세대 코어 i9-12900KF의 모든 것"의 기사를 참고하여 살펴보길 바란다.

 

 

■ 본격 성능비교, PCMARK 10 및 렌더링 등 벤치마크

벤치마크에 들어가기에 앞서 기존 i7 11700와 일전에 케이벤치 리뷰에서 공개한 i5 12400에대한 자료를 함께 준비했으며, 벤치마크의 핵심은 구형 i7 11700와 최신 i7 12700와의 성능비교가 핵심인 만큼 표기는 i7 11700 vs i7 12700으로 표기했다는 점 참고하길 바란다.

아울러 벤치마크에 사용한 시스템으로는 동일한 메인보드와 윈도우 셋팅(Win11 21H2)로 진행되었으며, 별도의 메모리 오버클럭이 없는 2,666MHz 16GB*2(32GB구성)에 RTX 3080Ti FE를 기준으로 진행했다.

가장 먼저는 기본적인 PC의 성능 측정을 할 때 사용되는 PCMARK 10 벤치마크다.

벤치마크 결과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기존 i7 11700와 비교해 봤을 때 벤치마크 탭 별로 평균 15~20% 가량 향상된 성능을 i7 12700이 보여줬으며, 토탈 스코어에 있어서도 약 20%가량의 높은 성능을 i7 12700을 기록했다.

이어 CPU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벤치마크하여 보여주는 긱벤치와 산드라 벤치마크를 준비해 봤다.

벤치마크 결과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벤치마크에 있어서 기존 i7 11700보다 매우 앞서는 성능을 보였으며, 참고 자료로 준비해온 i5 12400와도 분명한 성능 차이를 보여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다만 산드라 멘치마크 중에 있어서는 멀티-미디어와 이미징 프로세싱 벤치에서 살짝 낮은 점수를 보여줬는데, 이는 AVX-512의 미지원에 따른 성능차이로 분석되며 해당 AVX-512를 지원 했었다면 지금보다도 더 좋은 성능을 통해 11세대 로켓레이크 CPU 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였을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서 CPU 블렌더 성능을 측정할 때 자주 사용하는 시네벤치 R23과 블렌더 벤치마크도 진행해 봤다.

시네벤치의 경우 싱글코어 기준으로 i7 11700 대비 약 20% 앞서는 성능을 보였으며 멀티 코어 점수에 있어서는 약70% 성능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어 블렌더 CPU 렌더링에 있어서는 Classroom과 Fishy_cat 두 데모파일 벤치마크에 있어서 i7 12700이 평균 50% 가량 더 빠른 렌더링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인코딩 성능 측정을 위한 벤치로 HnadBreak 툴 벤치마크도 진행했다.

인코딩 벤치마크에 있어서도 앞선 렌더링 벤치마크와 비슷한 성능차이를 보여주는데 전반적으로 i7 12700이 기존 i7 11700대비 약 40 ~ 45%가량 더 빠른 인코딩 성능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향상된 작업성능 벤치마크 결과를 보여준 이유로는 아무래도 향상된 아키텍처 및 IPC 성능, 거기에 더불어 빅 + 리틀 코어를 기반으로 늘어난 E 코어가 멀티 스레드 작업 환경에 있어 분명한 성능 향상을 보여준 것으로 분석된다.

 

■ 같은 8코어 게이밍 성능 차이, 얼마나 향상 됐을까?

게이밍 성능에 있어서도 짧게나마 준비해 봤는데 준비해온 자료와 같이 게임에 따라서 그 성능 차이가 조금씩 달라질 수는 있겠으나, i7 12700이 기존 i7 11700대비 FHD/QHD 해상도에서 평균 10~ 20% 이상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CPU의 코어 활용이 작업 환경과는 달리 비교적 적은 게이밍 벤치인데도 불구하고 금번 i7 12700은 기존 i7 11700대비 분명한 성능 차이를 보여 주었는데, 아무래도 앞서 언급한 IPC 성능 향상 등이 반영되어 이러한 게이밍 성능 차이를 보여준 것으로 보인다.

 

■ 기본 스로틀 전력제한은 65W, 전력제한시 추가 성능 노려볼 수 있어

이어서 성능 활용에 있어서 종종 제기되고는 하는 성능하락 즉 스로틀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i7 12700의 TDP가 65W인 만큼, 기본 디폴트 셋팅으로는 65W에 제한이 걸려있으며 해당 소비전력을 초과할 경우 사진과 같이 파워 리미트 스로틀링 즉 클럭을 다운시키는 스로틀링 현상이 걸린다.

때문에 사용자와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해당 스로틀링을 활용하여 소비전력과 함께 CPU의 발열을 낮추는 소비자들도 있겠지만, 반대로 좋은 쿨링 환경을 갖춘 소비자라 한다면 해당 전력제한만 풀어주어도 추가적인 성능 향상을 노려볼 수 있다.

일전 i5 12400의 경우엔 이러한 성능 향상 폭이 적었는데 i7 12700의 경우엔 어떨까?

필자는 금번 전력제한 성능 체크를 위해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전력제한을 해제 한 후 진행해 봤다.

벤치마크 결과 시네벤치 R23의 경우엔 기본적인 전력제한이 적용되었을 때엔 16,859점을 보여주었으나, 전력 제한을 해제한 후에는 25% 이상의 성능 향상을 보여주어 21,421점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어 게이밍 벤치마크인 호라이즌제로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FHD/QHD 해상도 모두에서 성능이 향상됐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성능 향상을 보여주는 이유는 아무래도 기본적인 TDP가 65W인 점과 i5 12400대비 더 많은 코어구성인 8 + 4 코어 구성을 적용한 i7 12700인 만큼, 전력제한을 통한 성능 향상이 i5 12400대비 i7 12700이 더 높은 성능향상을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 고성능 PC의 새로운 선택지, Intel i7 12700

금번 리뷰에서는 인텔에서 발표한12세대 Non-K CPU 라인업 속에서 고성능 CPU를 찾는 소비자들에게 있어 가장 현실적인 i7-12700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앞서 살펴본 다양한 벤치마크와 게이밍 성능 등을 요약해 보자면 기존 11세대 CPU인 i7 11700 대비 작업 성능에 따라서는 평균 20~30%에서 높게는 50% 이상 높은 성능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게이머들에게 있어 중요한 게이밍 성능에 있어서도 20% 이상 더 높아진 성능 향상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 고성능 사용 환경을 노려보고자 하는 소비자들이라 한다면 CPU 전력 제한을 풀어 추가적인 성능 향상을 노려볼 수 있으니, 이러한 사용 환경도 고려해 본다면 가격대비 고성능 CPU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있어서는 충분히 메리트 있는 선택지가 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전력 제한을 통한 추가적인 발열도 일부분 있을 수 있으니 이러한 성능 향상을 노려보는 소비자라 한다면, 이러한 쿨링 솔루션도 잘 구축하여 사용해 보길 바란다.

끝으로 가격에 대한 이야기인데 금번 i7 12700이 기존 i7 11700대비 약 10$ 내외의 가격으로 매우 소폭 상승한 만큼, 차후 소비자 시장가격에 있어서 가격 안정화가 된다면 40만원 내외의 금액선에 구매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니 이러한 가격적인 요소도 잘 비교하여 향후 현명한 PC 구매를 하길 바란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케이벤치 미디어국. kbench.com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벤치마크 전체 둘러보기
1/1
엄마, 우리집 컴퓨터로 인조이(inZOI) 할 수 있어? [중간계PC 60원정대 : 인조이 편] (4) 동영상 있음 다나와
쿨엔조이 Nvidia GeForce RTX 5060 Ti 16GB 벤치마크 (2) 쿨엔조이
게이밍 시스템의 기반이 될 수 있을까? Intel Core Ultra 5 225F 벤치마크 (4) 쿨엔조이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H NT965XHW-A71AR | 다나와 AI 벤치마크 랩 (6) 다나와
ASUS 젠북 A14 UX3407QA-SB284W | 다나와 AI 벤치마크 랩 (6) 다나와
게임 끝판왕 vs 게임 + 작업 끝판왕, 라이젠 7 9800X3D vs 라이젠 9 9950X3D 선택은? (5) 블루프레임
가성비 게이밍 태블릿 iPlay60mini 터보 vs 리전Y700 1세대 성능비교 결과 (1)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NT940XHA-K51A | 다나와 AI 벤치마크 랩 (3) 다나와
당신은 훈타가 될 준비가 되었는가? 인텔 코어 울트라 7 265K로 알아보는 몬스터 헌터 와일즈 (2) 쿨엔조이
신입 헌터를 위한 편의성 강화, 몬스터 헌터 와일즈 VGA 4종 성능 비교 (10) 보드나라
쿨엔조이 AMD Ryzen 9 9950X3D 프로세서 벤치마크 (10) 쿨엔조이
쿨엔조이 Nvidia GeForce RTX 5070 12GB 벤치마크 (4) 쿨엔조이
쿨엔조이 AMD Radeon RX 9070 XT & 9070 벤치마크 (4) 쿨엔조이
판도를 뒤집을 게임 체인저의 등장 'AMD 라데온 RX9070 XT / RX9070' (67) 미디어픽
[쇼핑+] B850·B840 M-ATX 메인보드 삼파전, 애즈락 vs 에이수스 vs 기가바이트 (3) 위클리포스트
쿨엔조이 NVIDIA GeForce RTX 5070 Ti 16GB 벤치마크 (4) 쿨엔조이
[4K VGA Benchmark] PALIT GeForce RTX 5080 GAMEROCK OC D7 16GB 이엠텍 (2) 동영상 있음 다나와
[4K VGA Benchmark] MSI GeForce RTX 5080 VANGUARD SOC D7 16GB 하이퍼프로져 동영상 있음 다나와
LG전자 그램15 15ZD90RU-GX54K | 다나와 AI 벤치마크 랩 (7) 다나와
지포스 RTX 5080 OC = 지포스 RTX 4090!?, ASUS TUF Gaming 지포스 RTX 5080 OC Edition으로 살펴보기 (7) 블루프레임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