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대 최고의 쓰레기임.
명색이 200이 넘어가는 하이엔드급 제품인데, 얼마나 발적화를 시켜놨는지 드라이버 잡는것도 개 B신같고
웹서핑이나 문서작업중에도 시도때도없이 블루스크린 뜨면서 튕겨버림.
0x00020001 (0x0000000000000011, 0x000007b128000000, 0x0000000000001005, 0xffffe70000005840)
특히 이거 ㅈ나뜨는데 무거운 거 돌리다가 튕기면 그럴수도 있겠다 하지만 무슨 웹서핑 문서작업중에도 메모리문제로 튕기냐고.
포맷하고 공장초기화후 해도 같은 증상 반복. 서비스센터 가도 답이 없다고만 함.
이딴 개 ㅈ같은걸 200넘게 주고 산 게 열받을 뿐.
내 인생에 다시는 에이서 컴퓨터는 없음
이거 사려다가 프리도스 제품으로 사시는 분이 은근히 많은가 봐요. 저도 2달전에 윈도우 11 홈 모델로 주문했다가, 단종되었다고 하면서 LG전자 울트라PC 15UD50T-GX5JK 모델 프리도스 모델로 윈도우 설치해서 보내준다고, 안되면 주분 취소하겠다고 하는 협박 아닌 협박을 하면서 제품을 보내더군요. 그렇게 하면, 마진이 좀더 먹나 봅니다. 비추합니다.
추가로, 노트북 여러대를 쓰고 갖고 있지만, 뭐가 되었든 간에 CPU 전성비 뽑으려면 기본 깡클럭이 높아야 합니다...모바일 CPU중에 깡클럭 높은거 찾다가 최신 세대는 아니지만, 라이젠7 260이 그나마 높아서 샀습니다..
저 기본 클럭으로도 게임 돌리거나, 사용률 높게 갈구는 걸로 테스트 해봤는데 CPU 소비전력이...30도 안먹습니다..그저 경이로울 뿐..
스트릭스 보다 낮은 급인데도, 뜯어보니 히트싱크가 가로로 끝에서 끝까지 일자로 쭈욱 배열되어 있습니다...열배출구 다 커버되어 있어서, 16인치랑 고민했었는데, 역시 큰 게 열 더 잘 빼줍니다...장점은 스트릭스보다 가볍다는 것이고요..
구입하고 램 32GB로 직접 교체하고, SSD 1TB 추가 장착 한 후에 간단한 정보 말씀 드립니다..
1. 라이젠 7 260 터보 부스트 끄고 기본 3.8Ghz로 돌려도 i7 13650HX 부스트 켜서 3.7Ghz 설정 한 것 보다 성능 잘 나옵니다..(스트릭스 18인치 RTX4080 모델 보유하고 있습니다..8C 16T이 14C 20T보다 나음..)
2. RTX 5070 성능이 4070보다 좋으며, G 헬퍼 설치 후에 추가 기능으로 전력제한 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75W에 부스트 전력 그냥 5W만 놓고, 총 80W로도 4K 60 방어 가능합니다..검은사막 리마스터 밸런스 옵션 기준..)
모바일 버전의 50시리즈는 전성비랄까...이게 40보다 좋다고 생각합니다..동일 전력으로 성능 감소폭이 덜합니다..
3. 추가 장착으로 구성되는 2번째 Nvme 슬롯은 Pcie 2.0 x 4 로 동작합니다.
4. 단점으로는 패널이 생각보다 어둡습니다...300nit라고 보기에는 좀...어두워요..
5. 돌비 애트모스 기능은 활성화 되지 않아서, 음질이 상위 라인업인 스트릭스에 비해 떨어집니다..(이런 걸로 급나누기 하기에는 좀..) 그래도, 못 들어 줄만한 정도는 아닙니다..
6. G헬퍼 가지고 균형모드로 동작해도 웬만한 게임들이 제 데스크탑 보다 다 잘 돌아갑니다...(검은사막, 진삼오리진, 위처3, 데스스트랜딩 기준..) 참고로 데탑사양이..i3 12100 + RTX 5060Ti 16GB 입니다..
7. 4K TV로 연결해서 사용중인데, 데탑 보다도 전기는 덜 먹으면서 성능이 잘 나온다는 것...거기다, 팬속도 조절 적절히 하면 거의 들리지도 않게 하면서도 온도도 80도 밑에서 잘 돌아갑니다..(2800rpm)
8. 금액을 생각하면 이게 가성비라고 이야기 하기 좀 그렇지만...현재 판매되고 있는 비슷한 성능이나 스펙의 모델들에 비하면...
가성비에 가깝긴 합니다..(제작년에 스트릭스 18인치 i7 + 4080 모델이 특가 뜰 때 200초반이었습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