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라이젠 3600 -> 5600X 업그레이드 후기

IP
2021.11.27. 02:14:41
조회 수
21970
29
댓글 수
28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라이젠 3600에서 5600X로 업그레이드 한지 4주 조금 안 됐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체감 확실히 되네요..

그래픽카드 한 체급 업글 한것 만큼 체감이 됩니다. 그런데 드는 비용은 훨씬 적죠.

qhd에 3060ti 환경이라 gpu 병목이 먼저 오는 상황에서 cpu업그레이드 체감이 얼마나 될지 조금 긴가민가 했습니다.

궁금한 건 해소해야 적성이 풀리죠!

특가 괜찮게 나와서 질러보고 설레는 마음으로 장착 했습니다.



오버같은 거 없이 그냥 기본 설정 PBO auto만 해놨습니다.

cpu-z 벤치 결과는.. 무려 싱글스레드 성능이 500에서 637 정도로 약1.274배 상승했고 멀티스레드는 1000점 올랐네요. 1세대 만에 성능 향상폭이 상당하죠.

개선된 젠3 버미어 아키텍쳐로 인해 명령어 처리 속도가 더욱 빨라졌고 대역폭은 더욱 넓어졌습니다. 코어-메모리 통신 속도도 증가했죠. 32mb의 고용량 캐시 메모리로 인한 캐시적중률 향상도 한몫 합니다.



cpu 심하게 갈구기로 유명한 오픈월드 게임 중 하나인 콜오브듀티 워존, 20프레임 올랐습니다. qhd인데도 허허...

배틀필드 2042, 포르자 호라이즌4/5, 헤일로 인피니트 빅 배치 같이 넓은 전장 혹은 오픈월드 게임들은 체감이 확실히 됩니다.

최소 프레임이 확실히 올라서 부드럽고, 프레임 드랍이나 잔렉을 덜 느끼는 체감이 상당하네요.

평균, 최대 프레임 오른 수치는 높지 않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죠.

cpu 업그레이드로 인한 최소 프레임 상승은 특히 난전 상황에서 더욱 빛을 발합니다.

게임을 할 때 아쉬움과 희비가 엇갈리는 부분이 난전 상황인 걸 생각하면 ㅎㅎ


아니 분명 gpu 끝까지 갈구는 상황에 nvidia 성능 오버레이는 cpu 사용률 60대를 좀처럼 넘지 않았었는데 왜 이렇게 됐을까 생각해보니..

각종 오버레이 프로그램들이 cpu사용을 바보처럼 모니터링 하고 표시하는 게 원인이었습니다.



물리코어와 논리스레드 사용률을 합산한 뒤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고 동일하게 나눠법립니다.

가령 물리코어 90% 사용, 논리스레드 30% 사용하면 합산해서 60% 사용으로 보고하는 식이죠.

그래서 실제 cpu 부하를 확인하려면 작업 관리자 창에서 cpu-그래프 변경-논리 프로세서로 바꾼 후 물리코어가 얼마나 갈궈지고 있는지 눈대중으로 보거나, 리바튜너같이 개별 프로세서 사용률을 확인할 수 있는 오버레이 프로그램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이쯤되면 궁금증이 생길 겁니다. 그럼 IPC는 낮지만 코어수는 많은 8코어 가령, 2700x나 3700x로 가면 어떨까?

게임에서 IPC, 싱글 스레드 성능 향상이 다코어보다 중요한 이유는 cpu연산의 특성 때문입니다.

gpu 연산은 수많은 병렬 연산을 수많은 코어가 처리하는 방식이라면 cpu연산은 어렵고 무거운 순차 연산들을 실행하게 됩니다. 멀티스레드 활용을 위해 쪼개고 검증하고 합산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뤄지지만 생각보다 이상적이진 않습니다. 그래서 8코어 이상 잘 갈구는 게임에서도 5600x가 6c12t 임에도 불구하고 8c16t인 3700x 2700x보다 프레임이 높게 나오는거죠.



게임 외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은 발열과 전력소모입니다.

3600사용시 pbo 쓰면 최대전압이 순간적으로 1.4v 넘게 튀고 발열도 70도를 찍어줬는데, 같은 쿨러에 같은 서멀을 썼는데도 5600x는 1.1~1.2v에 60도 조금 넘는 수준으로 유지됩니다. 전력소모도 비슷한 것 같네요.

당연히 램오버도 더 잘 먹습니다. 시스템 인가 전압과 온도가 더욱 널널해지니까.

5600x의 향상된 메모리 컨트롤 영향도 있구요.

무더운 여름에 진작에 바꿀걸 ㅋㅋㅋ 왜 선선해진 가을에 바꿨을까 후회됩니다.


요새 부품값이 참 비싼데 cpu업글 비용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느껴집니다.

예산이 빠듯하다면 튜닝램이나 고급형 보드, 고급형 케이스 등 자잘한 비용 다이어트 하면 10만원 정도 여유 생기죠.

그 금액이면 3600 혹은 인텔i5에서 5600x로 넘어가기 충분합니다. 체감은 확실합니다.

게임은 역시 라이젠!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자유게시판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영상] 디즈니가 호구로 보이쥬?.youtube
요즘 날씨 괜찮네요 (1)
작고 귀여운 꽃 (2)
5월에 출시된다는 폭싹 속았수다 굿즈 (5)
아오 머리아파
귀화 시험 없이 프리패스로 한국 국적 취득하신 분 (5)
4/24 전국 날씨 (4)
사랑의 비밀 (5)
내 정보 훔치는 스파이? 스마트 가전 보안 가이드 (6)
실행만 해도 해킹 위험! 고지서 사칭 파일 주의 (8)
꼭 만화 제대로 배워서. (1)
습도 높고 안개 낀 날씨에 목요일이네요. (7)
일교차가 크네요. (8)
오늘을 살고픈... (7)
큰 일교차 대체로 맑고 포근한 봄날씨 (8)
4월 23일 박스오피스 / 야당 100만 돌파 (5)
수요일 하루도 수고하셨습니다 (7)
4/23(수) 오늘은 만보를 못 채웠네요. 7,968보를 걸었습니다. (17)
야당 100만 관객 돌파 (공식) (12)
오늘을 어찌 보냈는지... (8)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