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왕들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한자 2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그 중에서 1자는 외자로 되어 있는데,
이는 왕을 신성한 존재로 여기고 백성들이 함부로
부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외자는 중국에서 사용되는 한자가 아닌,
조선에서 새로 만들어낸 한자입니다.
외자를 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기존 한자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사용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태조의 이름인 "단"은 기존 한자 "旦"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사용한 것입니다.
"旦"은 본래 "아침"을 뜻하는 한자이지만,
조선시대에는 "왕"을 뜻하는 외자로 사용되었습니다.
반면, 정종의 이름인 "경"은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 사용한 것입니다. "경"은 "꺼리다" 또는 "피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이는 왕이 신성한 존재이기 때문에
백성들이 함부로 부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조선시대 왕들의 이름 외자는 왕의 신분과
권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왕을 특별한 존재로
여기는 조선의 신분제 사회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건국왕인 이성계 태조와 그의 아들 정종,태종도
나중에 외자이름으로 바꾸었습니다
단종도 두글짜 이름에서 나중에 외자로 바꾸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