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사라진 기차 문화 |
L20
야거커티스
|
재미로 보는 스마트폰 성격 유형 |
L20
야거커티스
|
월요일 마무리 합니다 |
M1
아피홀릭
|
9/15(월) 8,252보를 걸었습니다. |
L18
느낌하나
|
경복궁 야간 관람하러 왔는데... (3) |
L13
이 방 인
|
오늘의 래플에.... (1) |
L20
까망여우
|
래플 1회차 응모 완료 (2) |
L12
웅끼끼
|
또다시 찾아드는 위기 |
L20
skybulam
|
낮보다 밤이 더운듯 (3) |
L12
웅끼끼
|
이제 정말 가을이네요 (1) |
L1
유노이아스토어
|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배달음식 TOP 10 (5) |
L20
야거커티스
|
한국인 최초로 시랜드공국에 방문한 빠니보틀 |
L20
야거커티스
|
17일날 하필 비예보가... (3) |
M1
똑똑한녹용씨
|
월요일 오후네요 (8) |
L20
아모스1
|
재미로 보는 주간 랭킹[14위]! (12) |
M2
Or크ㅁr
|
불법 대출광고 글이 계속 올라오네요. (7) |
M3
관성
|
9월도 중순이네요 (10) |
L14
otosan
|
오늘 날씨 좋네요 (8) |
L16
HomeRun
|
올해 출시된 스마트폰 디자인 모음 (12) |
L9
신상매냐
|
4개월만에 L9에서 L10이 되었습니다. (15) |
L10
Ohhana
|
"너, 정말 많이 힘들겠다. 나도 그 느낌을 어느 정도 알 것 같아.
네가 그렇게 힘들어 하니까 나도 같이 힘든 것 같아."
이렇게 상대가 여러분과 함께 같은 느낌을 느낀다고 해주면,
참 고마운 친구라고 생각하겠지요.
그런데 이런 동정의 마음을 자주 표현하는 경우
우리는 점점 그 진정성을 느끼기가 어려워집니다.
어느새 상대방이 표현하는 동정의 마음은 피상적으로 느껴집니다.
게다가 우리의 깊은 감정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은
얕은 느낌을 가지게도 합니다. 왜 그럴까요?
동정하는 친구의 위치와 우리의 위치가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입니다.
친구의 위치는 웅덩이 위 안전한 곳에 있고,
우리의 위치는 웅덩이 아래 비참한 현실에 있기 때문입니다.
친구가 안전한 웅덩이 위가 아니라, 우리가 처한 위험한 곳까지
스스로 내려와 준다면 세상에 둘도 없는 든든한 동반자를 얻는 기분이 들 것입니다.
공감은 바로 이런 상호적인 연대감을 느끼는 과정입니다.
공감의 과정이 이렇게 상대방의 웅덩이로 천천히 내려가서
결국 감정의 가장 밑바닥까지 내려가서 서는 일이라고 한다면,
너무 급하게 내려가서도 안 됩니다.
천천히 웅덩이 아래로 내려가되, 바닥까지 내려갈 수 있다면
결국 할 수 있는 일은 단 한 가지뿐입니다.
결국 웅덩이 밑바닥에서 만난 두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란 바로 부둥켜안고 우는 일입니다.
웅덩이 바닥에 있는 구심력 감정과 온건한 감정을 공감할 때
뜨거운 치유의 눈물이 흐르는 것과도 같은 이치입니다.
- 권수영 저, <공감에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