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랩입니다.
모바일 뱅킹 보안은 비대면 금융 시대에 반드시 챙겨야 할 필수 과제가 됐다.
최근 SK텔레콤의 유심 정보 유출 사고처럼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하면, 그 여파는 정보 노출을 넘어 금융 자산의 위협으로까지 확산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해 본인 인증과 금융 거래를 처리하는 요즘, 유출된 정보가 심 스와핑 등의 수법과 결합되면 실제 금융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 글에서는 대규모 정보 유출 사고 발생 시 금융 자산을 지키는 방법과 일상적인 모바일 뱅킹 환경에서 실천할 수 있는 주요 보안 조치들을 함께 소개한다.
모바일 뱅킹은 스마트폰으로 대부분의 금융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이른바 ‘손 안의 은행’이다. 2022년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인터넷 뱅킹(모바일 뱅킹 포함) 등록 고객 수는 2억 704만 명으로, 전년 대비 8.5% 증가했다. 이 중 모바일 뱅킹 등록 고객 수는 1억 6,922만 명으로, 2021년보다 10.3% 늘어난 수치다. 국민 1인당 평균 3개 이상의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
2022년 상반기 인터넷 뱅킹(모바일 뱅킹 포함) 일평균 자금이체‧대출 신청 서비스 이용 건수 및 금액은 전년 하반기에 비해 각각 6.9%, 2.8% 증가했다. 특히 모바일 뱅킹 이용 실적(일평균)은 건수와 금액 모두 9.2%씩 증가하며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그중 대출 신청 서비스 이용 금액은 1.3조 원으로, 전년 하반기 대비 무려 66.8% 급증했다.
금융 자산 피해를 막는 방법
최근 통신사 고객 정보 유출 사고가 잇따르면서 개인정보 도용과 금융사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 번호 등 민감한 정보가 노출되면 보이스피싱이나 명의도용, 계좌 해킹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금융 자산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먼저 본인 명의의 금융계좌를 철저히 점검하는 것이 우선이다. 은행 앱이나 고객센터를 통해 계좌에 비정상적인 이체가 있었는지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계좌를 일시 정지하는 것이 좋다. 금융감독원이 운영하는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payinfo.or.kr)’를 이용하면 본인 명의로 개설된 모든 금융계좌를 조회할 수 있다.
* 전체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https://www.ahnlab.com/ko/contents/content-center/35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