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랩입니다.
배달 앱은 이제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은 필수 플랫폼이 됐다. 하지만 그 편리함 뒤에는 다양한 보안 위협이 숨어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 동의 없이 부가 서비스에 가입되거나, 개인정보가 무단으로 활용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달 앱 운영사들은 결제 시 비밀번호나 생체인증을 필수로 도입하는 등 보안 강화를 위한 조치를 확대하고 있다. 사용자 역시 이러한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며 개인정보 보호에 더욱 신경 쓸 필요가 있다. 이번 글에서는 배달 앱을 둘러싼 주요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을 살펴본다.
스마트폰 하나로 간편하게 음식을 주문할 수 있는 배달 앱이 보편화됐다. 배달 앱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급상승했으며, 배달 앱을 통한 음식 주문은 ‘당연한 습관’이 됐다.
배달 앱의 개인정보 처리 구조화 위험
이런 편리함 뒤에는 간과하기 쉬운 보안 그늘이 존재한다. 바로 개인정보 유출 문제다. 배달 앱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이름, 전화번호, 주소, 결제 정보, 위치 정보는 물론, 현관 출입 비밀번호까지 입력하게 된다. 이 정보들은 주문중개플랫폼, 음식점, 배달 대행사, 통합 관리 시스템 등 여러 주체에 의해 열람 및 저장될 수 있다. 각 정보는 단편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서로 결합될 경우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있어 2차 피해로 이어질 위험성도 커진다.
접근 권한과 정보 노출
대다수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2~3개의 배달 앱이 설치돼 있으며, 사용자는 이들을 번갈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앱들이 요구하는 접근 권한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위치, 사진, 마이크, 카메라 등 민감한 정보에까지 이르는 경우도 있다. 정보보호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앱의 접근 권한 설정에 대해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실정이다.
* 전체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