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랩입니다.
해킹의 위협은 외부에서만 오지 않는다. 조직 내부자의 악의적인 행동이나 무심코 저지른 작은 실수가 기업 보안을 뒤흔드는 치명적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런 예측 불가능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부상한 개념이 바로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다. 제로 트러스트는 모든 사용자와 기기를 잠재적 위협으로 간주하고, 철저히 검증하는 모델로, 현재 경계 중심 보안의 한계를 넘어서는 차세대 보안 전략으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제로 트러스트의 핵심 원칙과 도입 과제를 짚어보며, 기업 보안 전략이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을 살펴본다.
제로 트러스트는 단어 그대로 ‘누구도 무조건 신뢰하지 않는다’는 원칙에서 출발한다. 과거에는 기업이나 기관의 내부망을 ‘안전지대’로 간주해 내부 사용자와 기기에 비교적 느슨한 보안 정책을 적용하곤 했다. 하지만 클라우드 환경의 확산, 원격 근무, 일상화, 개인 기기 활용 증가로 내부와 외부의 경계가 흐려지면서 내부자 공격이나 계정 탈취와 같은 위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경계 기반 보안은 네트워크 경계를 지키는 데 집중했지만, 경계가 뚫리면 내부는 무방비로 노출되는 한계가 있었다. 제로 트러스트는 이러한 구조적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이다.
제로 트러스트 핵심 원칙
제로 트러스트는 ‘Never Trust, Always Verify(절대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를 핵심 원칙으로 한다. 이 철학은 네트워크 내부 사용자와 기기조차 예외 없이 잠재적 위협으로 간주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따라서 모든 접근 시도는 철저한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보안 원칙이 적용된다.
- 사용자 신원 확인: 다단계 인증(MFA), 생체인증 등으로 접속자의 신원을 명확히 증명
- 최소 권한 부여: 업무 수행에 꼭 필요한 범위까지만 접근 허용
* 전체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