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랩입니다.
누구나 한 번쯤 ‘비밀번호를 변경하라’는 해킹 경고 메일을 받아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검색창에 자신의 이름을 검색했을 때 오래전 게시글이나 사진, 연락처가 여전히 노출되는 경우도 흔하다. 문제는 이런 정보가 단순한 인터넷 흔적을 넘어 금융사기나 딥페이크 등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잊힐 권리’로 불리는 개인정보 삭제 권리가 법적으로 보장돼 있지만, 스스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정보가 자동으로 사라지지 않는다. 내 개인정보가 어디에 남아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안전하게 삭제할 수 있는지 그 구체적인 방법과 대응 절차를 살펴보자.

삭제는 ‘권리’이자 ‘생존 전략’
디지털 환경에서 이름, 생년월일, 이메일, 전화번호, 결제 이력, 주소 등은 모두 개인정보다. ‘이 정도 정보로 무슨 일이 생기겠어?’라는 생각은 위험한 착각이다. 앱 설치, 회원가입, 게시물 작성처럼 클릭이 한 번 발생할 때마다 정보는 수집되고 축적된다. 이렇게 모인 데이터는 데이터 브로커들이 결합해 특정인을 ‘타깃 광고 대상’ 혹은 ‘사기 가능성이 높은 집단’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개인정보 삭제는 누구에게나 보장된 법적 권리다.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은 정보주체의 삭제 요구권을 명시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은 이를 ‘잊힐 권리(Right to be Forgotten)’로 제도화했다. 디지털성범죄특별법은 불법 촬영물이나 딥페이크 영상의 삭제 요청을 지원하고, 정보통신망법은 보유 기간이 지난 개인정보의 파기를 의무화한다. 결국 삭제 요청은 당연한 권리이지만, 개인의 적극적인 행동이 있어야만 발동된다는 점이 핵심이다.
인터넷 개인정보 삭제 6단계 매뉴얼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개인정보가 어디에 있는지조차 모른다. 삭제는 결국 ‘위치 파악 → 계정 관리 → 노출 최소화 → 삭제 요청’ 과정의 반복이다. 이는 다소 번거롭지만 주기적으로 실행해야 한다.
1단계: 검색 엔진에서 내 정보 확인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등을 입력해본다. 결과 중 연락처나 과거 게시물, 카페 글 등을 확인한다. 필요하면 구글의 ‘Results About You’ 기능이나 삭제 요청 페이지를 활용하면 된다.
* 전체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