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경매 몇 번 똑같은 패턴으로 되는 것을 보고
의심은 들지만 그 아무도 진짜 이게 매크로인지 아닌지 파악을 할 방법은 운영자가 "매크로 맞습니다" 하기 전까지는 의심, 의문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에
한번 웹크롤링을 이용해 모두의 경매 참여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의심이 너무 가는 사람들을 한번 추려봤습니다.
그래픽카드는 데이터를 뽑아오는데 되게 오래걸릴꺼 같고, 시간이 오래걸리면 실시간 입찰로 인해 뒤로 밀려나는 값들로 인해 크롤링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지금 두개 중 모니터를 기준으로 했으며, 모니터 또한 3만개가 넘는 데이터가 있어 절반정도인 15,000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데이터들을 비교해봤습니다.


참고.
겹침비율이 많아 그 부분을 수정하기는 했는데 제대로 된것도 있고 안된것도 좀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통해 알게 된건 매크로 의심이 드는 회원 생각보다 되게 많았습니다.
제가 매크로 의심에서 적었던 게시글에 있던 내용을 토대로 해당 유저의 아이디를 직접 검색해서 경매 종료전 입찰 참여한 시각을 체크해봤습니다.

중간 숫자 보시면 종료되기 몇 초전에 경매 참여한 데이터입니다.
이것만 있냐구요?
아뇨?


한명의 회원이 69회동안 종료 3초전에 경매를 참여하여 경매 종료를 저지했고 이러한 데이터들을 모두 종합해봤습니다.
5초 이내 입찰을 참여한 참여자의 데이터를 모두 모았고,
5초 이내 입찰을 참여한 횟수가 10회 미만인 회원은 모두 제거하고 모아봤습니다.

5초 이내 입찰했던 정보는 15,000개의 데이터중 1,197회가 발생되었으며
1,197회 중 위 16명의 회원이 종료 5초이내에 모두 입찰하여 5분 타이머를 재작동 시켰습니다.
여기서 더 줄여봤습니다.
3초 이내 입찰했던 정보를 기점으로 한번 검색해봤습니다.
969개의 데이터가 표기되었고, 똑같이 10회 미만 회원은 제외했습니다.
예.
저 16명의 회원이 그대로 표기되었고,

이들은 3초이내 입찰된 969개 중 833개를 입찰에 관여했습니다.
이래도 매크로 의심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