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는 안랩입니다.
우리나라는 PC와 모바일 게임이 강세인 반면, 해외에서는 콘솔 게임이 인기가 좋다. 포화 상태인 게임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해 게임사들은 PC와 모바일, 콘솔 3가지 플랫폼을 모두 지원하는 멀티플랫폼 게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멀티플랫폼 게임의 정의와 동향을 알아보자.

2022년 말, 부산 벡스코에서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인 ‘지스타 2022(G-STAR 2022)’가 열렸다. 이곳 체험 부스는 모두 멀티플랫폼 게임으로 마련됐다. 행사에 참석한 주요 게임사들은 멀티플랫폼 게임사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과거에는 PC와 모바일, 콘솔 게임의 경계가 분명했다. 말 그대로 콘솔 게임은 콘솔에서만, PC 게임은 PC에서만 작동했다. 이 경계를 허물기 위해 일부 게임사들은 최근 몇 년간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엔씨소프트는 자사 모바일 게임의 PC 버전을 즐길 수 있는 ‘퍼플(PURPLE)’ 플랫폼을 만들어 배포했으며, 구글은 모바일 게임을 PC에서도 플레이할 수 있는 ‘구글 플레이 게임즈(Google Play Games)’를 선보였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모바일 게임이 출시될 때 PC 버전도 함께 나오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카카오게임즈의 ‘오딘: 발할라 라이징’, 위메이드의 ‘미르4’, 넥슨의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엑스엘게임즈의 ‘아키에이지 워’,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와 넷이즈가 공동 개발한 '디아블로 이모탈' 등이 있다. 여기에 더해, 최근에는 콘솔 게임도 지원하는 것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왜 멀티플랫폼 게임인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2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21년 국내 게임 산업 매출은 2020년에 비해 11% 증가한 20조9,913억원을 기록했다. 게임 산업 매출이 20조를 돌파한 것은 처음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22년 게임 산업 매출을 23조로 추정했다. 수출액 또한 86억7,287만 달러를 기록하며 2020년보다 약 6% 증가했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