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MC 공정 이용하는 인텔의 차세대 그래픽카드
배틀메이지는 4nm, 셀레스티얼은 3nm 공정을 쓸 예정
인텔은 주요 프로세서(CPU)의 생산은 자체 팹을 통해 진행하고, 그래픽 프로세서는 TSMC에 맡길 예정입니다. 인텔의 차세대 프로세서는 타일 구조로 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프로세서 타일은 인텔 4 혹은 그 이하의 공정에서 만들고, 그래픽 타일은 TSNC N5 혹은 N4 노드 등에서 생산될 것이라 했었죠. 그것들을 한곳에 모아서 최종적으로 프로세서 완제품이 하나 만들어지는 방식입니다. 이번에 등장한 소식도 그 연장선인 것 같습니다.
▲ 인텔은 아크의 개발과 생산을 계속 이어간다는 입장입니다
그 기조는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이네요. Wccftech에서 공개된 자료를 보면 ctee.com.tw라는 대만 언론사에서 TSMC가 차세대 아크 그래픽 프로세서를 생산하기 위한 주문을 받았다고 합니다. 배틀메이지와 셀레스티얼이 여기에 포함되겠죠? 참고로 로드맵에 따르면 배틀메이지는 2024년, 셀레스티얼은 2026년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실제 그렇게 될지는 모르겠지만요.
이유는 일단 추진력이 다소 상쇄됐다는 점에 있습니다. 아크 개발을 주도하던 인텔 AXG 부서는 두 개로 쪼개졌고요. Xe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데스크톱과 모바일, 데이터센터 용으로 각각 개발하게 됩니다. 라자 코두리 AXG 사장도 최근 퇴사했습니다. 인텔은 계획대로 차기 아크 그래픽카드를 개발하고 출시할 계획이라고 하지만 다소 불한해진 것이죠.
이런 부분을 다 뒤로 하더라도 인텔은 일단 TSMC를 통해 제품을 생산할 방침인 것 같습니다. 우선 배틀메이지는 4nm 노드를 사용하고, 셀레스티얼은 N3X 노드에서 생산될 예정입니다. 또한 HPG와 LPG 등으로 나눠 생산될 것이고, 배틀메이지의 Xe2-LPG는 루나레이크에서 적용될 것을 기대해도 좋아 보입니다. 셀레스티얼은 팬서레이크에 쓰일 예정이라고 하네요.
지포스 RTX 4070은 RTX 3070 Ti 보다 뛰어나지만 가격은 같다?
루머가 맞다면 지포스 RTX 4070은 다음주 중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나라 기준으로 목요일과 금요일 사이가 되겠네요. 아무래도 제품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메인스트림급 제품이 출시되는 셈이니 무엇보다 가격에 민감하리라 생각되는데요. 이에 대한 언급이 나왔습니다.
▲ 다들 알고 있을 새로운 지포스 RTX 40 그래픽카드가 곧 등장합니다
Videocardz에 따르면 지포스 RTX 4070의 가격은 599달러입니다. 매매 기준 원달러 환율(2023년 4월 6일)이 1319원입니다. 계산하면 대략 79만 원이네요. 실제로 국내 판매될 제품은 89만 원대 전후가 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엔비디아가 제안하는 가격은 지포스 RTX 3070 Ti와 동일합니다. 이전 세대의 성능을 내는 제품과 동일하게 받겠다는 전략인 것 같네요.
▲ Videocardz가 공개한 이미지를 보면 RTX 4070은 RTX 3070 Ti 대비 전성비는 뛰어나지만 가격은 같습니다
사양은 지금까지 나온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합니다. 5888개 쿠다코어에 192비트, 12GB 용량의 GDDR6X 메모리로 구성됩니다. L2 캐시는 36MB로 기존 대비 크게 늘었죠. 다만 대기 전력과 전력소모 수치는 크게 줄었습니다. TGP가 무려 200W로 RTX 3070 Ti의 290W 대비 화끈하게 줄었습니다. 게이밍 시 평균 전력소모도 186W로 기존 240W보다 확연히 감소했습니다. 결국 가격이 문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