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정보

SK Hynix Gold P31 500GB 사용후기 입니다. (* IOMeter편)

IP
2021.02.03. 18:01:51
조회 수
1629
5
댓글 수
1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안녕하세요 Mr.Madam입니다 ^^..


SK Hynix P31 제품을 국내 유통을 시작하고 나서..

런팅 특가로 P31 500GB 제품하나를 구매해 봤구요.

장시간에 걸쳐서 궁금한 순서대로 사용기를 진행해 봤습니다.


장시간 사용기를 모두 마치고,  

성능벤치 최종 결론부 IOMeter편을 다나와 사용기 및 다나와 포럼에 공유해 봅니다.


내용이 많아서.. 개인 블러그 목차를 링크했으니.. 양해해 주시구요.

여러 벤치마크 및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저의 블러그를 참조해 주셨으면 합니다


언제나, 시스템편차 및 벤치오차는 있을수 있으니 감안해 주시구요.

가볍게 참고해 보시구요.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






==============================================================





NVMe 제품을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멀티큐(Thread)지원에 따른 다양한 IO명령 요청시 빠른 응답속도(Data처리)입니다.






이번에는 IOMeter편을 통해서..

TLC 민낯 성능 및 다양한 부하에 대한 성능유지력 측면에서 접근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ㅁ IOMeter 1.1.0 Test기준

    ① Test File Size  (* 해당 P31 제품 리뷰부터.. Test 기준을 일부 변경 함.)

        - Full Area : Seq Read, 4k Random Read.. 2항목!!

            (* 변경 : 해당 2항목은?? 다이나믹 SLC캐싱 배제를 위해서 Test파일로 디스크 전체 공간을 채우고 진행합니다.)

        - 8GB Span : Seq Write, Random Write, Seq Mix, Random Mix.. 4항목!!

    ② Test IO Size

        - Seq  128k, Random  4k

    ③ Test 큐/쓰레드 Scale

       - QD1 : Q1T1

       - QD4 : Q4T1, Q1T4

       - QD32 : Q32T1,Q4T8

       - QD128 : Q32T4

    ④ Test Time : 각 항목당 3분씩 진행합니다.

        - Disk 입장에서 3분(180초는)은?? 단일 부하 기준에서 보면 상당히 많은 처리량입니다.

          * 처리량 예, Sata 500MB/s * 180초 ≒ 약 90GB 수준!!

                                 NVMe 3,000MB/s * 180초 ≒ 약 540GB 수준!!

        - 추가 참고로, 개인적으로, 1~2분 이내 설정은 추전하지 않습니다.

          제품에 따라서 1~2분을 지나면서 성능 폭락이 관찰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ㅁ 해당 IOMeter편의 관전 포인트는??  TLC영역의 읽기 성능!! 및 Mix/Thread 부하시 유지력!!

    - IOMeter툴은?? TLC낸드 즉, 사용자영역의 읽기 성능을 Test를 할 수 있는 유일한 툴인 듯 싶습니다.

      각 제조사에서도 IOMeter툴을 사용합니다.

    - 무엇보다, NVMe를 사용하는 이유가..  멀티큐지원에 따른 다양한 IO명령에 대한 신속한 처리입니다.

      제품에 따라서 멀티 IO 즉, 쓰레도 부하가 가중되었을 때의 성능변화를 관찰해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 최근, GPU의 DirectStorage기술에 있어서 NVMe SSD가 조건인 이유가??

    - NVMe에는 여러개의 대기열(멀티 큐)가 있을 수 있으며,

      각 대기열에는 한번에 많은 요청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병렬 및 일괄처리를 한다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 즉, 이하 벤치항목에서 "쓰레드 부하"시 NVMe 제품별 성능 결과치에 관심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DirectStorage 기술 참조] devblogs.microsoft.com/directx/directstorage-is-coming-to-pc/






● 128k Seq Read



* 해당 Read Test는??

  - Test file이 SLC버퍼에서 -> TLC영역으로 옮겨진 이후의  TLC 낸드영역의 민낯 읽기 속도입니다.

  - 참고로, CDM값은 SLC버퍼의 피크치 속도라서.. CMD값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의견) 쓰레드부하 가중시 성능 유지력이 훌륭하며, 비교군 대비 한 레벨 위에 위치합니다.

   - 쓰레드부하 즉, Q4T1→Q1T4Q32T1→Q4T8Q32T4 항목에서 현격한 하락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 성능 하락이 있을 수 있으나, 제품간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어느 정도인지가 중요합니다.







● 128k Seq Write


▲ (의견) 쓰레드부하 가중시 성능 유지력이 훌륭하며, 비교군 대비 한 레벨 위에 위치합니다.

   - 쓰레드부하 즉, Q4T1→Q1T4Q32T1→Q4T8Q32T4 항목에서 현격한 하락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 Q4T8에서 성능 하락폭은 문제가 되는 부분이 아닌 제품의 특성입니다.

     NVMe 비교군 제품에서 모두 나타나고 있으며, 제품간 상대적 하락폭이 어느 정도인지가 중요합니다.









● 4k Random Read


* 해당 Read Test는??

  - Test file이 SLC버퍼에서 -> TLC영역으로 옮겨진 이후의  TLC 낸드영역의 민낯 읽기 속도입니다.

  - 참고로, CDM값은 SLC버퍼의 피크치 속도라서.. CMD값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4k Random Write








● Response Time - Latency Test


* 이번에는 IOMeter툴에서 레이턴시분석에 해당하는..

   낮은 QD쪽에서의 Q1T1, Q4T1항목에 대한 Response Time을 확인해 봤습니다.











● 복합부하(Mix) Test



* 해당 Mix 성능편은??

  - 시스템 및 여러 유틸이 기동되고 나면, 시스템은 디스크를 분당 수백회 이상 접근 한다고 합니다.

    단순하게 읽거나 쓰기만 하는것이 아니라.. 동시에 읽기/쓰기가 반복 되게 되며..

    동시에 읽기/쓰기 명령이 반복 교차시 디스크의 처리 성능을 그래프로 확인하실 수  있으며..

    원활치 못한 제품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현격한 하락이 관찰 될 수도 있습니다.

  - 또한, 해당 성능지표를 통해서.. 응용SW성능을 예상해 볼 수 있다고 하며,

    읽고/쓰기 반복교차 측면에서 낸드플래시(SLC/MLC/TLC/QLC)의 태생적 성능지표라고도 합니다.

  - 다만, Test File Size가 8GB Span이라서.. Test시간이 경과됨에 따라서 SLC버퍼에서 동작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컨트롤러의 효과적인 SLC버퍼활용 및 복합부하 처리 능력 관점에서 접근해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ㅁ 128k Seq Mix 80%/20%


▲ Seq 80%/20% Mix 결과값이.. 예상보다 잘 나와서..

    - 검증 겸 70%:30% 추가테스트를 진행 후 결과값을 그래프로 추가 반영해 봤습니다.







ㅁ Random 4k Mix 80%/20%







● CONCLUSION


굵고 짧게 최종 마무리평을 드려보면... (* 긴말이 필요가 없네요!!)

거의 대다수의 항목에서 970Pro 512GB를 넘어가고 있으며, PCIe3.0x4 TLC제품군중 Top 수준의 제품임이 확인되며,

무엇보다, Thead 부하 가중시 및 복합 Mix 부하시 성능 유지력은 아주 인상적입니다.

결론적으로, 여러 해외 리뷰평대로 비로소 다양한 부하에 잘 부합하는 최상위급 NVMe 제품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PCIe4.0으로의 전환기 시점에서 PCIe3.0지원 제품의 다소 늦은 국내 런칭은 아쉽게 느껴지는 부분입니다.



장점

- 모든 항목에서 Top 성능

- Thread 및 Mix 부하시 유지력이 아주 좋음 

- 과도하지 않은~ 다이나믹 SLC버퍼 정책 및 SLC버퍼의 빠른 회복력



단점 (옥의티 & 바라는점)

- 다이나믹 SLC 캐싱 방식!!

  * SLC버퍼의 크기, 전부 회복(Resizing)시간의 예측이 안 됨

  * 용량이 늘거나, 줄어들게 되면.. 즉, 용량 변동에 따라서 SLC버퍼의 Resize를 위해서

    복잡한 작업들이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됨에 따른 컨트롤러에 부하가 가중될 수 있음.

    예, 다이나믹 SLC캐싱기능 정지 후.. 순수 TLC쓰기속도가 1,100MB/s 수준으로 올라감!!

- ATTO Benchmark에서 512B, 1k, 2k 등 작은 IO Size쪽에서의 낮은 성능!!

- PCIe3.0 지원 및 다소 늦은 국내 런칭!!

- USB3.2 외장조합에서 "인식 안됨" 증상이 관찰 됨!! (* 내용추가 : 2/3, Update)

  * 맥북 및 그램2020 노트북에서 호환성이 있다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 개선 펌업 등... 필드에서의 의견들이 적극적으로~ 잘 반영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 (Update, 2021.02.19) P31 500GB.. IOMeter 벤치마크 기준 변경에 따른 재 Test 결과입니다.

     * IOMeter 기준 변경 : 변경전.. 8GB Span!!, 변경 후.. 80% Span!!

      [링크] realitreviews.tistory.com/474






* 이상 SK Hynix Gold P31 500GB 리뷰를 모두 마칩니다.

선택 및 판단은 각자의 몫!! 참고해 보시구요.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







■■ SK 하이닉스 Gold P31 500GB 사용기 목차 ■■ 

0. P31 1TB 해외 리뷰 모음 이전글 참조 (* 스펙 참조)

   [Link] realitreviews.tistory.com/316

① Unboxing, CystalDiskInfo, Easy Kit 2.2.0

   [Link] realitreviews.tistory.com/453
② HD Tune, Temperature, File Benchmark & SLC Cache Analysis.. 약 10% 다이나믹 SLC캐싱방식인 듯!!

   [Link] realitreviews.tistory.com/454

③ CrystalDiskMark, AS SSD, ATTO Benchmark Test.. 일관된 벤치편차 훌륭하네요 ^^..

   [Link] realitreviews.tistory.com/455

④ Dirty Test, 100GB SSD File Read Test.. 다소 거칠지만~ Top성능입니다.

   [Link] realitreviews.tistory.com/456

⑤ IOMeter & Conclusion : Seq, 4k, Mix/Thread Test.. NVMe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한 답변입니다!!

   [Link] realitreviews.tistory.com/457



※ 추가확인편 : Test를 진행하면서 추가 확인된 사항들 별도 후기로 올려봤습니다.

① P31 500GB.. CDM 4k Q32T16 Write 성능 하락은?? CDM 문제인 듯!!

    [Link] realitreviews.tistory.com/458

 P31 500GB.. 순수 TLC Seq 쓰기 속도는 1,100MB/s 수준입니다.

    [Link] realitreviews.tistory.com/459

 P31 500GB.. USB3.2 외장에서 "인식 안됨" 호환성이 관찰됨!!

    [Link] realitreviews.tistory.com/460

 P31 500GB.. USB3.1/3.2 성능.. 역쉬~ 4k 훌륭합니다 ^^..

    [Link] realitreviews.tistory.com/462

⑤ 최종 CDI : 총 Test량 읽기 44TB, 쓰기 21TB!!
    [Link] realitreviews.tistory.com/463



PS. Review ≠ 홍보 or 네거티브!!, Review = 검토 & 비평!!, 선택 = 존중!!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Madam 님의 다른 글 보기

1/1
해당 게시판 관련 글이 없습니다.
SSD/HDD 포럼 인기 글
1/0
해당 게시판 SSD/HDD 포럼 인기 글 이 없습니다.
SSD/HDD 포럼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