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최근 반도체 관련 산업 육성과 내재화를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다는 것은 익히 알려져 아시고들 계실 겁니다.
이것이 비단 일본 정부만은 아니고 미국이 포문을 열고, EU 등 각 지역별, 국가별로 반도체 산업의 내재화를 위해 애를 쓰고 있죠.
한때 일본은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기업들을 거느렸었지만 지금은 반도체 생산과 관련해서는 한국과 대만에 그 자리를 내준 상태입니다.
그러나 전세계 실리콘 웨이퍼의 60%, 포토레지스트의 70%를 일본 기업이 차지하고 있는 등 여전히 반도체 소재와 장비 분야에서는 일본 기업들의 점유율이 매우 높은 편이며 그 품질도 상당히 우수한걸로 알려져 있죠.
그래서인지 일본정부가 내달 23일부터 노광 장비, 세정 및 검사 장비 등 23개 품목에 대해 경제산업성의 허가를 반드시 받아야만 수출 이 가능하도록 전략 물자화에 나섰습니다.
이전에 이러한 일본 정부의 반도체 관련 장비 수출 통제화가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진행되었다는 보도도 있긴 했습니다만 이것이 당장은 그러한 보도데로 대중 수출 통제를 통한 미 정부의 중국 반도체 산업 억제를 위한 조치의 동참 차원인게 분명하지만 앞으로 어떻게 작용할지 모르는 일이죠.
그래서 우리나라도 이런 분야에 대한 대일본 의존도를 줄여 나가면서 국산화와 대체제 확보 등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지 않나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