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정보

파워서플라이 가격 오르나? 80PLUS 인증비용 대폭 인상(루머)

2020.11.29. 04:54:06
조회 수
1315
9
댓글 수
1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안녕하세요, DPG 남영자 덕주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무서운 소식을 하나 가져왔습니다. 파워서플라이 시장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80PLUS 인증 비용이 크게 오를 수도 있다는 루머인데요, 정확한 내용 아래에서 함께 보시겠습니다.



1. 80PLUS 인증 비용이 약 세 배로 오른다고?


external_image

<이미지출처 : 이고르랩 Igor's Lab>


위 이미지는 해외 유명 IT매체 중 하나인 이고르랩(Igor's Lab)이 우리 시간으로 지난 25일 단독으로 밝힌 내용입니다. 80PLUS 인증을 담당하는 PLUG LOAD Solutions 에서 80PLUS 인증 비용을 크게 올리기로 했다는데요. 평소 거짓 루머를 잘 안 쓰는 이고르랩이어서 신빙성이 높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브랜드 등록비   $5,000

2. 파워서플라이 테스트(인증) 비용   $6,000 

3. 리브랜딩 비용(OEM포함)   $3,500 



2. 과거와 비교해보자


external_image

<이미지출처 : snia.org>


위 이미지는 제가 찾아낸 과거 80PLUS 인증 비용입니다. 과거와 비교해보면 세 배 이상이 올랐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브랜드 최초 등록 비용이 미화 $1,000이었으며, 230V 파워서플라이의 1회 인증 비용이 미화 $2,000 이었습니다. 리브랜딩 비용은 이미지에 없지만 $1,000 이었다고 합니다.


이번에 오른 것과 다시 비교를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브랜드 최초 등록 비용 $1,000 → $5,000

1회 인증(테스트) 비용 $2,000 → $6,000

리브랜딩 비용 $1,000 → $3,500

*브랜드 등록 비용은 최초 1번만 지불

*인증비용/리브랜딩 비용은 제품 1종마다 별개로 지불



3. 파워서플라이 가격에 영향 있을까?


브랜드 최초 등록 비용은 맨 처음 1회만 지불하기 때문에 1,000달러에서 5,000달러로 올라도 수천 만원, 수억 원 이상을 굴리는 기업 입장에서는 큰 부담이 안 됩니다. 문제는 제품 1종마다 매번 들어가는 인증 비용과 리브랜딩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제조사의 신제품 파워서플라이 라인업 4종(500, 600, 700, 800W)에 80PLUS 인증을 받으려면, 과거에는 $2,000 x 4종 = $8,000으로 해결할 수 있었는데요. 루머가 사실이라면 앞으로는 $6,000 x 4종 = $24,000이라는 훨씬 큰 돈이 나가게 됩니다. 인증에만 수천만 원이 들어가는 셈인데요. 이렇게 비싸진 인증 비용은 제품 가격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리브랜딩 비용이 오른 것도 부담스럽긴 마찬가지입니다. 파워서플라이 공장을 보유한 오리지널 제조사에서 이미 80PLUS 인증을 받은 제품이라도, 다른 브랜드의 이름으로 판매하려면 리브랜딩 비용을 제품 1종마다 $3,500씩 내야한다는 것입니다. 



4. 80PLUS 말고는 대안이 없을까?

external_image


80PLUS 인증의 횡포가 심해지고 있지만, 당장은 방법이 없어 보입니다. 우선 PC부품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도 이제 80PLUS 인증 마크는 알 정도로 80PLUS의 인지도가 높습니다. 파워서플라이 시장도 경쟁이 아주 심한데요. 80PLUS 인증 마크가 마케팅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업체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인증을 진행하는 상황입니다. 


80PLUS를 대체할 수 있는 파워서플라이 효율 인증으로는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사의 ETA(파워 효율 측정, 인증)와 LAMBDA(소음 측정, 인증)가 있습니다만, 아쉽게도 아직은 인지도가 낮습니다. 그래서 경쟁사가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계속 80PLUS 인증을 하면, 우리도 마케팅 차원에서 80PLUS 인증을 안할 수 없는 상황인 것입니다. 결국 루머가 사실이라면 앞으로 나올 파워서플라이 신제품의 가격이 인상될 가능성이 높죠. (이미 인증 받았던 기존 제품들은 변동 없어야 정상입니다)


소비자들이 80PLUS 인증에 등돌리거나, 혹은 파워서플라이 제조사들이 일시에 80PLUS 인증을 버리는 수준의 큰 변화가 있어야 가격 인상을 막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루머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은 어떠십니까? 아래에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시고 자유롭게 토론해주십시요. 저는 다음 시간에 더 밝은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카테고리

1/1

운영자 님의 다른 글 보기

1/1
해당 게시판 관련 글이 없습니다.
케이스/파워 포럼 인기 글
1/0
해당 게시판 케이스/파워 포럼 인기 글 이 없습니다.
케이스/파워 포럼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