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다나와 서포터즈

SSD 복구 서비스를 가진 게이밍 SSD,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

IP
2025.09.22. 15:56:33
조회 수
1544
5
댓글 수
10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연결된 글 2
연결된 글 안내
연결된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작성자가 연결한 다른 글로 바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연결된 글의 제목을 클릭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코드네임K 입니다.

이번 체험기는 씨게이트 서포터즈로 선정되고 나서 첫번째로 만난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입니다.




먼저 체험기를 시작하기에 앞서서 씨게이트 SSD 라인업이 어떤게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평소에는 접속을 하지 않지만 체험 기회 덕분에 홈페이지 접속도 해보는군요. ^^:




2.5인치 바라쿠다 SATA SSD 보급형 라인부터 PS5 전용 Game Drive PS5 NVMe SSD, 핸드헬드 휴대용 게임기용 2230 타입의 FireCuda 520N SSD, 개인용 FireCuda 520, 게이밍용 스토리지 SSD인 FireCuda 530, FireCuda 530R까지 다양한 제품군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소비자용은 최대용량이 4TB 군요.

씨게이트가 아무래도 HDD 중심의 스토리지 회사라 그런지 HDD 제품군 대비 SSD에는 약간 힘을 덜 주는 느낌도 듭니다.




처음 보는 규격의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용 제품도 있네요.

이름부터 처음 들어보지만 용량도 25.6TB까지 ㅎㄷㄷ 한 제품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한 번이라도 직접 구경할 날은 없을 거 같은 제품들입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는 1TB, 2TB, 4TB 3가지 용량으로 되어있습니다.

스펙상 높은 성능도 눈에 띄지만 TBW가 높은 게 눈에 들어옵니다.

4TB는 5,050 TBW라는 무시무시하게 압도적인 내구성&수명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정말 좀비 같은 내구성입니다.






TBW가 눈에 띈 김에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SSD 제조사인 씨게이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WD, 마이크론 이상 5개 회사들의 PCIe Gen 4 x4 라인업 제품들 중 최상급 제품들의 1TB / 2TB / 4TB 동일 용량으로 스펙을 비교해 봤습니다.

SK하이닉스의 경우 동일 제품라인에 4TB가 없어서 제외했습니다.

1TB 기준 순차 읽기 7,400 MB/s , 순차 쓰기 7,000 MB/s으로 모든 용량에서 스펙들이 상급에 속하고 있습니다.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는 시스템이나 부품이 고장 나기까지 작동하는 평균 시간을 의미하며, 신뢰성과 유지 보수 관리의 핵심 지표로 사용됩니다.

MTBF는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고장 횟수를 해당 기간의 총 작동 시간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고장률이 낮을수록 MTBF 값이 높아지며, MTBF가 높을수록 해당 시스템이나 부품의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하며, 신뢰성의 척도로 활용됩니다.

삼성 990 PRO보다도 MTBF 가 높게 나오는군요. SK하이닉스, WD, 마이크론은 표기가 없더군요.


SSD 수명을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지표가 TBW (Terabytes Written)입니다.

TBW는 SSD가 수명 내에서 보장하는 총 쓰기 가능 용량을 말합니다.

예로 600 TBW라면, 이 SSD는 총 600TB까지 데이터를 쓰는 것을 보장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하루에 100GB씩 쓰기를 한다고 가정하면 600TBW SSD는 약 16년 동안 사용 가능한 계산이 나옵니다. 일반 사용자가 매일 100GB씩 꾸준히 쓰는 경우는 드물다 보니 수명 걱정은 전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크리에이터/작업용 사용자의 경우는 영상 편집, 사진 파일 편집처럼 대용량 파일 입출력이 잦은 경우 하루 100GB 이상 쓰기가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작업 시에는 매일은 아니지만 하루에 수백 GB 이상 쓰기 작업을 하기도 한답니다.

가끔은 TB 급으로 사용하기도 하죠.

특히 저의 PC는 24시간 운영되기에 일반 유저 대 비 TBW 가 중요한 부분이어서 일부러 더 고용량 제품을 구입하기도 한답니다.


990 PRO, P41, SN850X, T500 대비 530R의 TBW 가 거의 2배 정도로 높습니다.

일반 유저 기준 600TBW만 되어도 20여 년 이상 사용할 텐데 뭐가 중요하냐고 반문하실 수도 있을 거 같군요.

현재 위 표기에도 정리했듯이 5개 제조사 모두 5년의 제한 보증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중요한 포인트가 있습니다.

스펙 기준으로 TBW 와 5년의 기간 중에 먼저 소모되는 것으로 A/S 가 이뤄집니다.

5년 이내라도 제품 보증 TBW가 초과면 A/S는 못 받는 것이지요.

그래서 저 같은 특정 유저 기준으로는 TBW가 높은 부분이 좋은 겁니다.


더욱이 같은 5년의 제한 보증이라도 씨게이트만의 독보적인 복구 서비스인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 (Rescue Data Recovery Services) 가 있습니다.

구매 후 3년 이내에 1회에 한하여 복구가 가능한 점이 있으니 더욱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1. 개봉기



제품 전면에는 제품명, 인터페이스, 폼 팩터, 용량,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개봉을 하면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 와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 문서, 보증 관련 문서 등이 있습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는 밀봉되어 있어서 개봉/미개봉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 상단면에는 메모리칩 위로 제품명이 적혀있는

방열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 하단 면에는 시리얼, 파트 넘버, 펌웨어 버전 등 제품 정보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체험단 제품이다 보니 유통사 스티커가 없답니다.

구매하시면 유통사 스티커를 제품에 있어야 A/S를 받으실 수 있으니 필히 잘 챙기시기를 바랍니다.

오른쪽에 있는 Seagate FireCuda 520 M.2 NVMe SSD 2TB에는 보시다시피 5년 보증 스티커가 있어서 520 하단 면에 잘 붙여두었답니다.


국내 공식 유통사는 총 3곳입니다.

(1) 피씨디렉트 =  http://pcdirect.co.kr/60

(2) 에스씨지 솔루션즈 = https://www.scgsseagate.co.kr

(3) 레안텍 = https://www.raeantech.co.kr




PCIe Gen 4 x4과 PCIe Gen 3 x4의 성능 차이가 궁금하기도 해서 비교용으로 준비했습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 와 Micron Crucial P3 1TB입니다.




2개의 SSD에는 메인보드의 번들 SSD 방열판이 아닌 3RSYS의 빙하7 PLUS 방열판을 장착했습니다.

평소에는 3RSYS 빙하 9을 주로 사용하지만 테스트 용도라 가성비 제품으로 선택했습니다.




ASUS TUF GAMING Z890-PLUS WI FI의 기본 SSD 방열판과 3RSYS 빙하 7 PLUS 방열판 크기 비교입니다 무식하게 크지만 예전에 잠깐 비교해 보니 기본 번들보다는 3RSYS 빙하7 PLUS가 좋기도 하고

교체 시에도 편하더군요.




M.2 1번 소켓에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를 장착합니다.

전 공랭 유저인데 3RSYS RC1910 QUIET 쌍철봉 + ARTIC P12 MAX 듀얼 팬 구성이다 보니 SSD 가 더 시원할듯합니다. ^^



2. PS5에 장착



PS5에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를 장착하기 위해서 동전으로 PS5 전원을 끄시고 바닥에 있는 나사를 풀어서 스탠드를 먼저 제거합니다.




먼저 PS5를 디스크 부분이 위로 향하게 하여 눕힙니다.

흠집 방지 차원에서 마우스패드 등을 깔아줍니다.

PS5 커버의 상단 뒷부분을 위로 벌리면서 디스크 방향 (PS5 본체 하단 방향)으로 커버를 밀어서 분해를 합니다.

2번으로 표기된 부분에서 오른쪽 손바닥으로 누르면서 손가락 4개로 본체를 밀면 좀 더 쉽게 분해가 됩니다.




분해가 되면 왜 1번 먼저 위로 벌리라고 했는지 아실 겁니다.

표기된 2개의 홀이 커버를 잡고 있답니다. 그래서 먼저 벌려서 밀어야 하는 것이죠.




나사 1개를 풀어서 SSD 보호 커버를 제거합니다.




커버가 제거되면 3RSYS 빙하7 PLUS에 한 몸이 된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를 장착합니다. 방열판 두께로 PS5 측면 커버 장착이 안되니 참고하세요.


PS5 전용 방열판을 구매하실 분들은

(1)3RSYS 빙하12 PS5 전용 M.2 SSD 방열판

https://prod.danawa.com/info/?pcode=73121666&cate=11336860


(2) SK하이닉스 Haechi H02 Heat Sink for PS5 전용 방열판

https://prod.danawa.com/info/?pcode=60151964&cate=11336860

로 구매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PS5의 전원을 켜면 M.2 SSD를 먼저 포맷하라고 합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를 PS5에 사용하시려면 포맷이 필수입니다.

포맷하기 클릭!




포맷이 진행되면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의 PS5에서의 읽기 속도가 표시됩니다.

6478 MB/s로 공식 스펙보다는 늦게 나오지만 높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포맷이 완료되었습니다.




설정 - 스토리지에서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가 잘 인식하는지 확인해 봅니다.

잘 인식하네요.




PCIe Gen 3 x4 인 Micron Crucial P3 1TB을 장착하면 어떻게 나오나 궁급해서 PS5에 장착해 보니 위와 같이 사용할 수 없다고 나옵니다.




PS5 기본 콘솔 스토리지가 거의 풀로 사용 중인 상태입니다. 게임 몇 개 없는데도 용량의 압박이 심하네요.




PS4, PS5 게임들이 있다면 PS5 게임들은 추가한 M.2 SSD 스토리지에 저장이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PS5 게임 중 가장 즐겨 하는 스텔라 블레이드를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SSD 1TB에 이동시켜보겠습니다.




이동도 빠르고 잘 인식됩니다.




금쪽이 레이븐과의 한 판! 저는 똥 손이라 원거리 공격부터 시작합니다. 


 


스텔라 블레이드를 하시는 분들은 아시는 캔 모으기! 의상 얻겠다고 다 회차를 ㅠㅠ

보스 챌린지 모드를 10회 정도 했는데 로딩도 빠르고 아무 문제 없네요. 호환성 합격!

이제 PS5 호환성은 확인했으니 PC 쪽으로 넘어갑니다.



3. Seatools 5



씨게이트에는 SSD 관리 프로그램으로 Seatools 5 가 있습니다.

https://www.seagate.com/kr/ko/support/downloads/seatools/#downloads

에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남은 사용량, SSD의 상태, TBW 등 확인이 가능하며 테스트 기능으로 자체 진단이 가능합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도 가능합니다.

펌웨어는 홈페이지에서 별도로 다운을 하셔야 한답니다.


다만 타사처럼 클릭 한 번으로 업데이트가 되지는 않는 점은 정말 불편하다 보니 정말 개선이 필요합니다.


https://www.seagate.com/kr/ko/support/downloads/


씨게이트 홈페이지의 지원 페이지 아무 곳에서 나 펌웨어 다운로드 창이 보이시면 "일련번호"를 기입하시면 해당하는 펌웨어를 검색해 준답니다.




붉은색 칸에서 시리얼을 입력 후에 파란색 칸에 표기된 부분을 클릭하면 펌웨어 다운로드가 됩니다.




다운로드한 펌웨어를 선택해 주고 확인을 누르면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4. 벤치마크



벤치마크는 데스크톱 PC에서 이뤄졌습니다.

각각 운영체제 및 최신 업데이트와 동일한 설치 상태에서 진행되었습니다.



(1) CrystalDiskInfo 9.7.2


CrystalDiskInfo는 하드디스크(HDD)와 SSD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S.M.A.R.T.(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 데이터를 분석해 저장 장치의 온도, 사용 시간, 오류율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무료 유틸리티입니다.

최신 버전인 9.7.2로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가 PCIe 3.0 x4로 잘 인식하고 있습니다.

상온 26℃ 기준에서 아이들 상태의 온도가 30℃로 나타납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가 PCIe 4.0 x4로 잘 인식하고 있습니다.

상온 26℃ 기준에서 아이들 상태의 온도가 35℃로 나타납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과는 5℃ 차이가 나는군요.



(2) CrystallDiskMark 9.0.1


CrystalDiskMark는 HDD/SSD 등 저장 장치의 성능을 측정하는 가장 대중적인 벤치마크 프로그램입니다.

최신 버전인 9.0.1로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테스트 싸이클 : 3 / 테스트 파일 사이즈 : 1GiB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각 5회 진행하여 중간 값을 기준으로 적용했습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는 공식 스펙으로

순차 읽기 : 3,500 MB/s, 순차 쓰기 : 3,000 MB/s로 나오지만 테스트 결과는

순차 읽기 : 3,502 MB/s, 순차 쓰기 : 3,315 MB/s로 스펙보다 더 잘 나오고 있습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는 공식 스펙으로

순차 읽기 : 7,400 MB/s, 순차 쓰기 : 7,000 MB/s로 나오지만 테스트 결과는

순차 읽기 : 7,059 MB/s, 순차 쓰기 : 6,626 MB/s로 스펙보다 낮게 있습니다.

스펙 대비 순차 읽기, 쓰기가 약 5% 성능 차이가 나는군요.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대비 2배 정도의 성능을 보여줍니다.



(3) AJA System Test v17.5

AJA System Test는 다양한 해상도와 코덱을 녹화, 재생하는 모든 드라이브의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최신 버전인 17.5로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3840x2160 해상도 (UHD / 4K), 코덱 타입은 10bit RGB, 파일 크기는 64GB로 설정하여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AJA System Test 설정값은 위와 같습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는 쓰기 : 970 MB/SEC, 읽기 : 1,919 MB/SEC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는 쓰기 : 1,655 MB/SEC, 읽기 : 2,879 MB/SEC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대비 쓰기 70%, 읽기 50% 이상 더 높게 나오는군요.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는 쓰기 : 30 FRAME/SEC, 읽기 : 60 FRAME/SEC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는 쓰기 : 52 FRAME/SEC, 읽기 : 91 FRAME/SEC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대비 쓰기 73%, 읽기 51% 이상 더 높게 나오는군요.



(4) AS SSD Benchmark 2.0.7316.34247


AS SSD Benchmark는 SSD 성능을 측정하는 무료 벤치마크 툴입니다. SSD의 순차 읽기/쓰기 속도, 4K 읽기/쓰기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줍니다

최신 버전인 2.0.7316.34247로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테스트 파일 사이즈 : 10GB로 진행되었습니다.

각 5회 진행하여 중간 값을 기준으로 적용했습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대비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의 테스트 결과는 순차 읽기 88%, 순차 쓰기 73% 더 높게 나오지만 공식 스펙보다는 낮게 나옵니다.

4K 성능은 더 낮게 나오기도 하여 점수 차이가 적게 나오는군요.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대비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는 ISO 47%, 프로그램 14%, 게임 41% 더 높은 결과를 보여줍니다.




AS SSD Compression Benchmark는 AS SSD Benchmark의 순차 읽기 성능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는 거 같습니다.

쓰기 성능이 낮아지는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대비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모습은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5) ATTO DISK BENCHMARK 5.00.2


ATTO Disk Benchmark는 HDD, SSD 등 다양한 저장 정치의 읽기, 쓰기 속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벤치마크 소프트웨어입니다.

최신 버전인 5.00.2로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I/O 사이즈 : 512B부터 64MiB / 테스트 파일 사이즈 : 256MiB / 동시 작업 : 4로 진행되었습니다.

각 5회 진행하여 중간 값을 기준으로 적용했습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대비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는 16 KiB까지는 낮은 성능을 보이지만 32KiB부터는 더 높은 결과를 보여줍니다.

64 KiB부터는 2배 이상의 성능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큰 파일을 읽고 쓸 때 높은 성능이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HD TUNE PRO 6.0


HD Tune Pro는 많은 기능을 가진 하드 디스크 / SSD 프로그램입니다.

드라이브의 성능을 측정, 오류 검색, 상태 (S.M.A.R.T.)를 확인하고, 모든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우는 등의 작업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신 버전인 6.0으로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대비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는 최소값은 낮고 최대와 평균값은 더 높은 결과를 보여줍니다.

2개 SSD 모두 최대 읽기 속도 기준 스펙 대비 현저하게 낮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7) 3DMARK


3DMARK는 그래픽카드 벤치마크의 대명사인데 저장 장치 벤치마크를 할 수 있는 DLC 가 있더라고요.

다른 스토리지 벤치마크에 없는 DirectStorage 기능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결과가 궁금하기도 해서 구매 및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A) 저장소 벤치마크



여타 다른 테스트와는 다르게 이상할 정도로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 가 낮게 나오고 있습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의 38% 성능이라니...뭔가 좀 많이 이상하군요.

몇 번을 해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B) DirectStorage 기능 테스트

DirectStorage는 게임 로딩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GPU(그래픽카드)에서 압축 해제를 수행하는 기술로, NVMe SSD와 DirectX12 기반의 최신 그래픽 환경에서 동작합니다.

게임 데이터가 NVME 스토리지에서 시스템 메모리, CPU, GPU 메모리를 거치는데 DirectStorage는

시스템 메모리에서 CPU를 거치지 않고 바로 GPU 메모리로 보내는 기술로 CPU를 거치지 않아서 게임 로딩 시간이 단축되는 기능이지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2020년에 발표한 기능이지만 아직 다양한 게임이 출시되지는 못했습니다.

현재 지원하는 게임들은 스팀 DB 목록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steamdb.info/tech/SDK/DirectStorage/




총 9가지의 테스트가 진행되고 결과를 보여줍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는 DirectStorage 지원 시 135% 빠른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는 DirectStorage 지원 시 166% 빠른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8) 온도



HWINFO 64 v8.30에서 측정된 온도입니다.

상온 26℃ 기준에서 PC 부팅 시부터 벤치마크 테스트가 끝난 후까지 온도 기준입니다.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는 최대 40℃ /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는 최대 50℃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두 개는 10℃의 차이를 보이는군요.

PCIe 4.0 x4 인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 가 최대 온도 50℃ 면 상당히 준수한 온도로 보입니다.



5. 게임 벤치마크


(1) CyberPunk 2077



사이버펑크 2077 은 플레이 실행 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때까지의 시간을 5회 측정하여 중간값을 기준으로 비교했습니다.

(A)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 29.7 초

(B)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 : 28.02 초

약 1~2초 정도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사이버펑크 2077 자체 벤치마크를 실행한 결과인데 0.1 프레임 차이라 SSD의 영향은 없는듯합니다.



(2) P의 거짓



P의 거짓은 게임 실행 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때까지의 시간을 5회 측정하여 중간값을 기준으로 비교했습니다.

(A)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 39.17 초

(B)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 : 37.96 초

약 1~2초 정도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3) 데스스트랜딩



데스스트랜딩은 게임 실행 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때까지의 시간을 5회 측정하여 중간값을 기준으로 비교했습니다.

(A)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 23.03 초

(B)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 : 21.77 초

약 1~2초 정도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4) DiRT Rally 2.0



더트 랠리 2는 게임 실행 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때까지의 시간을 5회 측정하여 중간값을 기준으로 비교했습니다.

(A)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 18.18 초

(B)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 : 16.89 초

약 1~2초 정도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보급형이지만 로지텍 G29, 트러스트마스터 T300 휠 2개를 사용할 만큼 레이싱 게임을 좋아합니다.

트랙보다는 험지 달리는 게 휠 느낌이 더 살아서 더트 시리즈를 좋아한답니다.

순위 경쟁보다는 그냥 달리는 게 좋더군요.



(5) DIRT 5



더트 5는 게임 실행 후에 데모 영상이 나오기에 맵 로딩 속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모드) 아케이드 / 자유 플레이 / (지역) 그리스, 트리플스톤 브리지 / (차종) RALLY GT / 기후 - 동적

더트 5는 맵 실행 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때까지의 시간을 5회 측정하여 중간값을 기준으로 비교했습니다.

(A)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 13.28 초

(B)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 : 11.16 초

약 1~2초 정도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모드) 아케이드 / 자유 플레이 / (지역) 그리스, 피네이오스 호수 / (차종) RALLY GT / 기후 - 동적

더트 5는 맵 실행 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때까지의 시간을 5회 측정하여 중간값을 기준으로 비교했습니다.

(A)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 12.33 초

(B)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 : 11.49 초

약 1~2초 정도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6) SOULCALIBUR VI



똥 손이지만 한때는 소울칼리버가 오락실에 등장했을 때 100 승 이상 했었기도 했었답니다.

상대방과 같은 케릭터로 이기기가 재미있었던 추억이 있군요.


소울칼리버 4는 게임 실행 후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때까지의 시간을 5회 측정하여 중간값을 기준으로 비교했습니다.

(A)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 29.43 초

(B)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 : 28.92 초

약 1~2초 정도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모드) 배틀모드 / 플레이어 vs CPU / (케릭터) 소피티아-카산드라 / (맵) 바람 불어가는 평원

맵 선택 후 게임에 진입할 때까지의 시간도 5회 측정하여 중간값을 기준으로 비교했습니다.

(A)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 24.59 초

(B)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 : 24.53 초

약 1초 정도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나이가 들어서 손이 못 따라가는 거 같습니다. ㅠㅠ



6. Rescue Data Recovery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

Rescue Data Recovery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는 오직 씨게이트에서만 제공해 주는 업계 유일 서비스입니다.


Rescue Data Recovery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 가 적용되는 씨게이트 제품들은 3년 동안 1회에 한하여 데이터 복구가 가능합니다.

사설 업체 평균 복구 성공률이 70~80% 정도라고 하는데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는 평균 복구 성공률이 90% 이상이라고 합니다. 아무래도 제조사에서 직접 진행하는 만큼 신뢰성이 가장 높을 수밖에 없지 않을까 합니다.




필자의 경우는 30여 년 동안 수많은 씨게이트 스토리지를 사용하면서 A/S 받은 건 손에 꼽을 정도이지만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는 받아보질 못했습니다. 3년 안에 고장은 한 번도 없었답니다.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가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로 접속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https://www.seagate.com/kr/ko/support/data-recovery-services




필자의 경우 주변 사업하시는 분들이 스토리지 구매 시에는 꼭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가 지원되는 제품으로 구매하라고 조언해 드립니다.

더 비싼 거 사게 만드는 거라고 할 수도 있으나 고장 발생 시 사비로 데이터 복구를 알아보시면 꽤 비싼 걸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위의 복구 비용은 국내에서 가장 유명하다고 하는 명정보기술 일반 복구 비용입니다.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 구매 비용보다 복구 비용이 훨씬 더 비쌉니다.

3년 동안 걱정 없이 쓰다가 만에 하나 고장이라도 나면 무료 복구만 해도 비용 충분히 뽑는다고 생각됩니다.

그분들의 문서나 데이터가 곧 돈이기 때문이랍니다.




씨게이트의 다양한 제품군들이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니 필요하시다면 구매 전 꼭 확인하시고 구매하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7. 테스트를 마치며


수십 개의 SSD를 직접 사용하면서 SSD 관리 유틸에서 성능 체크 등만 해보고 CrystalDiskInfo, HWINFO 정도만 사용했지 벤치를 하지 않았답니다.

이런 기회가 되어서야 경험을 하게 되는군요.


단순히 PCIe Gen 3.0 x4 대비 PCIe Gen 4.0 x4 SSD는 온도를 제외하고 모든 성능이 뛰어날 것이라고만 생각했었습니다.

여러 벤치마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는 아주 작은 용량의 파일 사이즈를 이용하는 작업에서는 좀 약한 모습을 보이지만 파일 용량 32 KiB 이상부터는 높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256 KiB부터는 스펙에 가까운 성능을 발휘하는 거 같습니다.


벤치마크에서는 PCIe Gen 3.0 x4 인 Micron Crucial P3 M.2 NVMe (1TB) 대비 PCIe Gen 4.0 x4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는 50%~200% 이상까지 결과가 차이가 나지만

6종의 게임 로딩 시간 비교를 해보니 약 1~2초 정도만 빨라서 예상과는 많은 차이가 있었습니다.

로딩 1~2초 차이를 무시할 수도 있지만 아무래도 빠른 로딩이 몰입도에 조금은 영향도 있을 거 같습니다.


구매 시 만 원이라도 아끼려고 PCIe Gen 3.0 x4 SSD를 구매하는 게 아니라면 작업, 게임용 SSD 구매는 PCIe Gen 4.0 x4 게임용 SSD를 구매하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특히 Seagate FireCuda 530R M.2 NVMe (1TB)를 포함한 FireCuda 530R 제품들은 데이터 복구 3년의 Rescue Data Recovery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와 함께 한다면 정말 보증 기간 동안 걱정 없이 SSD를 사용할 수 있을 겁니다.

TBW 가 높은 만큼 영상 편집 등 대용량 데이터를 사용하시는 유저분들께도 탁월한 선택으로 판단됩니다.


체험 기회를 주신 씨게이트 및 다나와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체험단 최신 글 전체 둘러보기
1/1
다나와 체험단 가성비 어항케이스 추천 앱코 U30 마린 블랙 케이스 리뷰! 케이스선택 완벽 가이드
외부 체험단 모니터링부터 음악용까지 만족스러운 유선 헤드폰! 마오노(Maono) MH700
다나와 체험단 iGUJU 아이구주 HATCH S600 BTF 화이트 가성비 케이스 리뷰
외부 체험단 차원이 다른 올인원 게이밍 이어폰 밥튠 8D (1)
다나와 체험단 SSD 추천, 화웨이 eKitStor Xtreme 200E M.2 NVMe 1TB 사용후기 (2)
다나와 체험단 독창적인 투톤 디자인의 BTF케이스 아이구주 VENTI T7000 (2)
다나와 체험단 프리미엄 감성의 투톤 디자인, 아이구주 VENTI T7000 BTF STEALTH 강화유리 케이스 (2)
다나와 체험단 작업 및 게임용 CPU, 인텔 코어 울트라 7 프로세서 265K (2)
다나와 체험단 화웨이 eKitStor Xtreme 200E M.2 NVMe SSD 1TB PS5 설치 추가 해보니 (2)
다나와 체험단 아이구주 PC케이스 HATCH S400 BTF FULL MESH 블랙 사용후기 (2)
다나와 체험단 라이젠 9600X와 찰떡궁합 가성비 AM5 메인보드 GIGABYTE B850M FORCE (2)
외부 체험단 NZXT C1000 Gold Core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PC 파워서플라이 후기 (2)
다나와 체험단 가성비 SSD, 화웨이 M.2 NVMe 1TB 추천하는 이유 (2)
다나와 체험단 블랙앤 화이트 투톤디자인 아이구주 VENTI T7000 BTF PC케이스 (2)
다나와 체험단 아이구주 VENTI T7000 BTF STEALTH PC 케이스 리뷰 (2)
다나와 체험단 가성비 SSD 추천, 화웨이 eKitStor Xtreme 200E M.2 NVMe SSD 1TB 리뷰 (2)
다나와 체험단 DEEPCOOL AG400 체험기! CPU쿨러 추천부터 가성비 CPU쿨러 그리고 국민쿨러로 자리잡은 이유까지 (2)
외부 체험단 티피링크 Archer BE550 2.5G 와이파이7 유무선공유기 (2)
다나와 체험단 280Hz 게이밍모니터 알파스캔 AOC Q27G4ZD OLED모니터 (2)
다나와 체험단 라이젠 가성비 메인보드 추천 GIGABYTE B850M FORCE, 9000시리즈까지 완벽 지원 (2)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