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살펴볼 제품은 MSI H97 PC Mate 메인보드 입니다. H97 칩셋의 ATX 타입의 메인보드로 무난하게 사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예상되며 현재 10만원 초반대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어 어떠한 CPU를 사용하더라도 적절하게 시스템 조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부터 제품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명 |
|
A/S 기간 |
무상 3년 |
제조사(유통사) |
MSI, 웨이코스(http://www.waycos.co.kr/) |
가격(최저가) |
95,500원(작성일 기준) |
MSI H97 PC 메이트 패키지 구성
제품 상자입니다. 흰색과 푸른색의 디자인으로 MSI 밀리터리 클래스 4가 적용된 제품인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상자 뒷면에는 MSI 밀리터리 클래스4의 특징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제품 구성품으로 제품 설명서 및 설치 CD, 백패널, SATA 케이블 2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메인보드는 정전기 방지 비닐로 포장되어 있습니다.
MSI H97 PC 메이트
H97 PC 메이트 메인보드의 전체적인 외형입니다. 갈색 계열의 PCB에 푸른색의 방열판과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텔 1150 소켓의 하스웰 및 하스웰 리프레시 CPU 장착 가능합니다.
전원부 방열판은 뒤쪽에서 나사를 풀어주면 분리가 되며 써멀패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전원부는 4+2 페이즈 구성으로 Low RDS(on) 모스펫이 사용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수준입니다.
메모리 슬롯은 4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DDR3 1066/1333/1600Mhz, 32GB까지 지원합니다.
전원 커넥터와 USB 3.0 커넥터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메인보드 슬롯은 PCI-E 3.0 x16 슬롯 1개, PCI-E 2.0 x16 슬롯 1개, PCI-E 1x 슬롯 2개와 일반 PCI 슬롯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CI-E 뿐만 아니라 PCI 슬롯도 구성되어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합니다.
메인보드 칩셋에는 푸른색의 아담한 방열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SATA 3 커넥터 6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1번과 2번은 위쪽을 바라보고 있고 3~6번 커넥터는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O 칩셋과 메인보드의 일반 PCI 슬롯을 사용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는 ASM 1083 칩셋입니다.

- 리얼텍 ALC887 오디오 칩셋
- 리얼텍 RTL 8111G 내장 랜 칩셋

후면 출력 부분입니다. PS/2 포트 및 USB 3.0 2개와 USB 포트, HDMI 포트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후면에 USB 3.0 포트가 2개로 살짝 아쉽기는 하지만 전면 포트까지 활용하면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무리가 없는 수준이라고 보입니다.
UEFI 바이오스 살펴보기

붉은색의 게이밍 모델과는 다르게 푸른색의 시원한 바이오스 화면입니다.

바이오스 메뉴는 다른 MSI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이미지로 확인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SETTINGS에서는 시스템의 각종 설정, 부팅 순서 설정 등이 가능합니다.








OC(오버클럭) 메뉴입니다. Simple 모드에서는 오버클럭에 필요한 최소한의 메뉴 구성으로 초보자도 쉽게 오버클럭이 가능하며 Advanced 모드로 변경해주면 다양한 세부 설정이 가능합니다.

M-FLASH :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위한 메뉴입니다.

오버클럭 프로파일에서는 바이오스 설정을 저장해두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모니터링 부분입니다. 시스템의 온도 확인 및 팬 속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시스템에 어떠한 부품이 장착되어 있는지 이미지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스는 한글이 지원되기 때문에 초보자도 손쉽게 이용 가능합니다.



성능 테스트
보다 조용하게 사용하고자 기본 쿨러 대신 타워형 쿨러인 써멀라이트 Macho를 장착하였으며 전원부와 간섭 없이 설치가 가능하였습니다. 다만 Macho 설치시 1번째 메모리 슬롯은 약간 사용하기 제한되는 모습입니다. 일반적인 타워형, 기본쿨러나 메모리 두개정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없는 부분입니다.

CPU : Intel Xeon E3-1231 V3
M/B : MSI H97 PC Mate & Z87-GD65 GAMING & H87-G43 GAMING (비교제품)
RAM : Samsung PC-12800 4GB x 2
VGA : XFX RADEON R7 260X Core Edition 1GB
SSD : Plextor M6S 128GB
HDD : Doshiba DT01ACA200
POWER : FSP HEXA+ 500W

성능 테스트에 사용한 제온 E3-1231 V3 하스웰 리프레시 프로세서 입니다.


메인보드 및 메모리는 기본 설정 그대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 CINEBENCH R15



시네벤치 측정결과이며 메인보드 칩셋 간의 성능차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 Crystal Disk Mark 3.0.3 x64

OS용 SSD 속도 측정 결과입니다. 다른 칩셋에 비해 약간 낮기도 높기도 하는 모습이지만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납니다.

저장용 하드디스크 속도 측정 결과입니다. 칩셋 간의 차이는 오차 범위 수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 PC MARK 8


PC MARK에서는 H97 PC Mate에서 100점 정도 낮은 모습이지만 크게 성능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고 볼 수는 없는 수준입니다.
▶ 3D MARK 11




▶ 3D MARK Fire Strike


3D MARK 11 및 3D MARK Fire Strike에서 메인보드 칩셋 간의 성능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 Unigine Valley Benchmark 1.0



▶ Unigine Heaven Benchmark 4.0



그래픽 성능 벤치마크인 Unigine 벤치 결과입니다. 오차 범위내로 칩셋 간의 성능 차이는 없습니다.
▶ Umile 인코더 3 동영상 인코딩 테스트


동영상 인코딩 결과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성능에 따른 차이 보다는 오차 범위 수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G3258 오버클럭 테스트
간단하게 오버클럭 기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펜티엄 G3258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기존에 펜티엄 G3258의 클럭별 오버클럭에 따른 성능 테스트를 진행한 리뷰 내용이 있기 때문에 본 리뷰에서는 메인보드의 오버클럭 기능을 살펴보는 목적으로 간단하게 4.5Ghz 오버클럭을 적용해보았습니다. CPU는 코스타리카 20주차 펜티엄 G3258 입니다.
▶ 4.5Ghz 오버클럭 설정 예시 (인풋 1.82v, 코어 1.1v, 캐쉬 40배수, 1.2v)

* 밑줄친 부분이 설정을 필요로 하는 부분입니다.
CPU Ratio(CPU 배수 조정) = 배수
Ring Ratio = 캐쉬 배수
VCCIN Voltage = 인풋
CPU Core Voltage = CPU 전압
CPU Ring Voltage = 캐쉬 전압
* Advanced 모드에서는 보다 세밀한 오버클럭이 가능하지만 간단하게 Simple 모드를 활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캐쉬 전압의 경우 Auto로 두게되면 1.1v 초반대로 다소 낮게 들어가는 모습을 보여 기존에 사용 중인 메인보드의 안정화 수치인 1.2v 초반대에 다소 못미치기 때문에 1.2v 수준에서 전압을 수동으로 입력 하였습니다.

- 링스 안정화 완료 : GFlops 33.0791, 소요시간 2시간 41분 22초
안정화는 링스(LinX) 0.6.5 버전으로 메모리 사이즈 6144MB로 20회를 돌려보았습니다.

▶ CINEBENCH R15



오버클럭에 따른 시네벤치 성능 테스트 결과입니다. 오버클럭 상태에서 상당한 점수 향상이 이루어지는 모습입니다.
▶ 3D MARK Fire Strike



3D MARK 테스트 결과 Physics 점수에 있어서 CPU의 클럭 향상에 따른 점수 향상이 눈에 띕니다.
MSI 유틸리티 살펴보기

설치 CD의 자동 실행 화면입니다. 드라이버 목록이 보이며 원하는 부분만 선택하여 설치가 가능합니다.

유틸리티 목록입니다.



설치된 드라이버 정보 확인 및 MSI 본사 사이트 링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I Command Center


Command Center에서는 시스템의 오버클럭 설정 및 팬속도 조절 등을 해줄 수 있습니다.
▶ MSI Network Genie


Network Genie에서는 모드 설정 및 응용프로그램 별 우선 순위 등을 정해서 원활한 인터넷 환경을 도와주는데 별도의 프로그램이 없이도 우리나라 인터넷은 빠르기 때문에 활용도가 떨어지는 유틸리티라고 생각이 됩니다.
▶ Live u pdate 6



라이브 업데이트에서는 바이오스 및 드라이버 등을 검색하여 최신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살펴본 결과 라이브 업데이트로 바이오스를 다운로드 받아서 바로 설치가 되지 않고 해당 파일을 USB에 넣어 바이오스 상에서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정상적으로 설치가 가능하였습니다.
▶ MSI Extreme Tunig Utility


Stress Test에서는 CPU와 메모리의 안정성 테스트가 가능한 모습입니다. 일반적으로 안정화에 이용하는 Prime 및 LinX 보다는 부하량이 적은 모습이지만 간단하게 살펴보는데 있어서는 괜찮아 보입니다.


벤치마킹에서는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여 온라인 상으로 다른 유저들과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Compare Online 버튼을 누르면 HWBOT 사이트로 이동을 하고 트위터나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시스템 점수 등을 다른 온라인 유저들과 공유를 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하며
지금까지 MSI H97 PC Mate 메인보드를 살펴보았습니다. 10만원 초반대 H97 칩셋의 무난한 구성으로 보여지며 4+2 페이즈 구성의 전원부와 방열판 탑재로 테스트는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적은 G3258을 이용하긴 하였지만 사용자가 어느정도의 오버클럭을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이라고 보입니다.
메인보드는 전반적으로 깔끔한 레이아웃 구성으로 무난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한 가지 아쉬운 점을 찾아본다면 후면 출력 부분에 있어서 USB 3.0 포트가 2개밖에 없다는 점이 그나마 아쉬운 부분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리뷰는 제품을 웨이코스에서 제공받아 진행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