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저장 장치는 기록 방식에 따라 HDD(Hard Disk Drive)와 SSD(Solid State Drive)로 나뉘고 인터페이스에 따라 SATA 방식과 PCIe 방식으로 나뉩니다. 보통 HDD는 SATA 방식으로 연결이 되고요, SSD는 SATA 방식 또는 PCIe 방식으로 연결을 합니다. 성능은 HDD 보다 SSD가 더 빠르고 SATA 보다는 PCIe가 더 빠르죠. 이렇게 다양한 저장 장치별로 장단점이 있어요.
HDD와 SSD 무엇이 다른가?
HDD는 금속 재질의 원반 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헤드가 트랙을 따라 이동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 때문에 연속한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디스크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 위해서는 헤드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이에 반해 SSD는 플래시 메모리 기반으로 HDD의 모터와 같은 구동계가 없어 진동이 없고 전력 소모가 작으며 어느 위치의 정보라도 읽고 쓸 수 있어요. 다만, 가격은 같은 용량대비 SSD가 HDD에 비해 대략 2~3배 정도 비싼 편이에요. 따라서 동영상과 같이 큰 파일이나 자주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해 두는 용도로는 HDD가 비용대비 효과가 크고요, 운영체제나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SSD에 설치하면 부팅 속도가 빨라지고 프로그램 구동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어 적절히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SSD의 경우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기존 SATA 방식과 PCIe 방식 두가지가 있습니다. PCIe 방식은 고속의 인터페이스로 전송 속도가 SATA에 비해 빠른 장점이 있으나 PCIe 방식으로 연결되는 SSD는 M.2 규격의 슬롯이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최근의 노트북이나 메인보드에서만 M.2 슬롯이 있고, 가격이 SATA 방식에 비해 대략 2~3배 정도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많은 사용자들에게 SATA 방식의 가성비 SSD로 유명한 웨스턴디지털 WD Blue 3D SSD 500GB 제품을 한번 리뷰해 볼까 합니다.
가성비 SSD 추천 웨스턴디지털 WD Blue 3D SSD 500GB
웨스턴디지털은 오래전부터 HDD 디스크를 제조하는 회사로 유명했으며 현재는 가성비 SSD부터 고성능 M.2 NMVe SSD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저장장치를 생산하고 있으며, 안정성 있고 내구성 있는 제품으로 인기가 높아요. 오늘은 그 중에서도 SATA 방식의 가성비 SSD로 유명한 웨스턴디지털 WD Blue 3D SSD 500GB를 소개해 볼까 합니다.
우선 3D NAND 기술을 사용하여 읽기 쓰기 속도가 비약적으로 빠르고, 입체적인 적층구조로 250GB에서 최대 4TB 제품까지 다양한 용량의 제품이 있으며 유휴 전력 소모를 이전 세대보다 25% 정도 향상시켰다고 해요. 무엇보다 표준 SATA 방식과 7mm의 울트라 슬림 두께로 대부분의 데스크탑, 노트북에 장착이 가능한 것도 큰 장점이에요.
성능 비교
SSD로 가장 인지도가 있는 삼성의 삼성 SSD 850 PRO 512GB 제품과 웨스턴디지털 WD Blue 3D 500GB 제품, 그리고 씨게이트 바라쿠타 HDD 3TB 3종의 성능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첫번째로 테스트 시스템의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삼성 850 PRO 512GB 제품이에요. 대략 2~3년 전의 제품이나 요새의 제품과도 성능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삼성 850 PRO 512GB의 Crystal Disk Mark 벤치마크 결과를 보면 순차 읽기 쓰기는 모두 500MB/s 내외의 준수한 속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랜덤 액세스도 멀티큐와 싱글큐의 차이는 있긴 하지만 다른 SSD의 성능에 비해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네요.
두번째로 웨스턴디지털 WD 3D Blue 500GB 제품이에요. 동일한 테스트 시스템에 SATA로 연결하였습니다.
Crystal Disk Mark로 벤치마크한 결과를 보면 삼성 SSD 850 PRO 512GB 제품과 오차범위 내에서 거의 동일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요. 보통 삼성 제품이 1.5배 정도 비싼 것을 감안한다면 웨스턴디지털의 제품이 가성비가 있다는 것이에요.
HDD도 동일한 벤치마킹 테스트를 진행해 보면 예상했던 바와 같이 순차 읽기/쓰기는 SSD에 비교하여도 대략 2~3배 밖에 차이가 나지 않으나 문제는 랜덤 액세스입니다. 적게는 수십배에서 많게는 수백배까지도 성능차이가 나죠.
이런 벤치마킹 프로그램이 아닌 실제 디스크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해 보아도 상당한 차이가 나는데요, 디스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성능이 얼마나 다르게 나오는지 알기 위해 테스트를 해 보았어요. 사용한 데이터베이스는 MySQL 8.0.23이고 도커 환경에서 운영하였으며 /var/lib/mysql을 테스트를 위한 디스크에 볼륨매핑(-v)하여 테스트 하였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테이블에는 아이디, 이름, 전화번호, 주소, 나이 컬럼이 정의되어 있고 아이디가 Primary Key 이며 이름에 인덱스를 걸어 두었어요. 테스트는 사용자 정보 100건을 입력하고 총 10 테스트하여 평균 소요 시간을 측정하였고요, 아래와 같이 디스크 종류별로 성능이 나왔습니다.
(1) 웨스턴 디지털 3D Blue SSD 500GB - 5.726초
(2) 삼성 SSD 850 PRO 512GB - 8.067초
(3) 시게이트 바라쿠타 HDD 3TB - 18.259초
위 테스트는 일반적은 서버 운영 환경이 아닌 개발자 PC에서 도커를 설치해서 테스트한 것이기 때문에 절대적인 성능을 참고할 수는 없고요, 상대적인 성능만 참고하면 될 것 같아요. 확실히 HDD는 랜덤 엑세스가 취약한 것 같네요, SSD와 HDD의 성능 비교가 무의미 할 정도로 차이가 나고 있고요, 같은 SSD라 하더라도 삼성 850 PRO는 2~3년 지난 제품이고 웨스턴 디지털 제품은 최근 제품이기 때문에 여기서도 살짝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어쨌든 실사용에 있어서도 웨스턴 디지털 제품이 가성비 찐이네요.
HDD 구형 시스템을 가성비 웨스턴디지털 SSD로 업그레이드 하자
현재 HDD를 사용하는 컴퓨터가 있다면 윈도우가 설치된 C 드라이브를 HDD에서 SSD로 업그레이드 함으로써 체감할 수 있는 정도의 컴퓨터 성능 향상을 할 수 있어요. 이를 위해서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첫번째는 SSD에 새롭게 윈도우를 설치하는 방법과 두번째는 기존 HDD를 그대로 SSD에 복사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 SSD에 윈도우를 새롭게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 블로그에 윈도우 설치에 대한 방법이 자세히 나와 있으므로 윈도우 설치가 처음이신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해요.
https://blog.naver.com/ndskr/222450903649
두번째 방법인 기존 HDD를 SSD로 복사하는 방법은 다시 두가지가 있는데요, 하나는 외장 디스크 도커중에 디스크를 복사해 주는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과 SSD 제조사들이 제공하는 마이그레이션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도커에 Source 슬롯에 윈도우가 설치된 HDD를 장착하고 Target에 웨스턴디지털 SSD를 장착한 후에 CLONE 버튼을 누르면 복사가 됩니다.
이러한 도커가 없다면 웨스턴디지털에서 제공하는 마이그레이션 도구(아래 링크 참조)를 사용해서 복사를 할 수 있어요.
https://shop.westerndigital.com/ko-kr/products/apps/acronis
위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아크로닉스 투루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크로닉스는 디스크 백업, 복구, 관리 도구를 개발하는 업체로 많은 운영 시스템에서 아크로닉스 제품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백업하고 있는 유명한 회사입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도구 > 디스크복제 메뉴가 보입니다.
윈도우가 설치된 원본 디스크를 선택하고요,
아래와 같이 웨스턴디지털 SSD를 대상 디스크로 선택합니다.
이후 작업에 대한 요약 설명이 나오고 하단 "진행" 버튼을 누르면 복사가 되요.
이렇게 복사를 해서 각각 HDD와 SSD로 윈도우 부팅을 해 보았어요.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면 HDD로부터 윈도우 10 부팅은 윈도우 로고가 보이는 시점으로부터 약 20초 정도가 걸렸고요, SSD로부터 윈도우 10 부팅은 5초 정도밖에 걸리지 않았어요. 거의 4배 이상 차이가 나고요, 이것은 윈도우 부팅 뿐만 아니라 각종 게임이나 워드, 엑셀과 같은 프로그램의 로딩 역시 작게는 2배에서 많게는 4배 이상의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https://youtu.be/jMMvAeD8o2w
결론
SATA 방식의 SSD는 가격대 성능비가 좋아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메인 디스크의 역할을 많이 하고 있고, 표준 SATA라는 장점으로 인해 PC 혹은 노트북 등 폭넓은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여 기존 HDD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많은 사용자들이 점차 SSD로 업그레이드를 하고 있어요.
또한 5년이라는 넉넉한 제한 보증 기간을 두고 있다는 점도 다른 제품들과 차별화 되는 점입니다. 물론 SSD는 HDD와 달리 구동계가 없어 진동이 없고 전력소모가 작아 실제 사용 수명은 상당히 길어서 걱정하지 않아도 되요. (물론 디스크 벤치마킹과 같은 강도 높은 프로그램을 하루 종일 돌린다면 문제가 되겠지만요)
특히 Western Digital WD 3D Blue 500GB 제품은 삼성 제품과 비교하여 가격은 훨씬 저렴하면서도 내구성과 성능이 결코 뒤쳐지지 않아 멀티태스킹에 최적화된 가성비 SSD를 찾는 분들에게 강력 추천합니다.
제품의 가격비교는 아래 다나와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http://prod.danawa.com/info/?pcode=5579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