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VI 단자를 더해 호환성 높인
27인치 보급형 모니터 등장
최근들어 다양한 27인치 보급형 IPS 모니터들이 시장에서 쏟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제품들은 최저가에 초점을 맞춘 나머지 HDMI 단자와 D-SUB 단자만 내장하고 있습니다.
이게 왜 문제가 될까요?
게이밍 환경이 확대될수록 고급 그래픽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 그래픽카드들은 대부분 DP 단자와 HDMI2.0 단자만 달려서 나오죠.
때문에 이제는 그래픽카드에 DVI 단자가 없어진다는 착각을 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GT1030 같은 보급형 그래픽카드들은 DVI 단자를 내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메인보드의 경우도 내장 그래픽용 DVI 단자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전 사용하던 PC부터 DVI 단자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꽤 많으시죠.
이 경우 앞서 설명한 HDMI 및 D-SUB 단자만 내장한 모니터의 경우는 연결이 안됩니다. DVI를 HDMI로 바꿔주는 컨버터를 생각해볼 수 있지만 호환성 문제로 제품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확률이 높죠.
지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DMI 단자가 달린 그래픽카드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까요?
그건 힘든 문제라고 봅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HDMI 단자 및 D-SUB 단자가 달린 27인치 보급형 모니터에 DVI 단자를 추가한 제품이 바로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 입니다.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은 27인치 화면크기에 1920x1080 풀HD 해상도 및 75Hz 화면 재생률, 상하좌우 178도에서 또렷한 화면을 보여주는 IPS 광시야각, 1600만 8비트컬러, 1,000:1 명암비와 300칸델라의 밝기, 화면 중앙에 게이밍 타겟을 그려주는 크로스헤어타겟, 시력보호기술인 플리커프리와 로우블루라이트, 화면 상하 찢김을 막아주는 AMD 프리싱크와 화면의 밝은곳과 어두운곳의 표현을 더 세밀하게 함으로써 더욱 선명한 화면을 보여주는 HDR 기능을 지원하는 점이 특징입니다.
2. 기본 구성품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의 박스. 기존 비트엠 제품들과 동일하게 골판지와 스티로폼을 사용한 일반적인 박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크기가 그다지 크지 않으니 나중에 있을 택배 AS를 위해 보관해두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제품을 꺼내자 스티로폼으로 단단하게 보관된 모니터 부품들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윗 덮개를 열면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 본품이 안전하게 보관돼 있습니다.
스탠드 조립할때 모니터를 책상위에 올려두면 화면을 긁힐 수 있으니 스티로폼 박스에 놓인 상태에서 조립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스탠드 받침대와 스탠드 봉, 어댑터, 제품 고정 나사, 미끄럼 방지 고무, 스탠드 체결 덮개(플라스틱), 사용설명서, HDMI 케이블이 기본 구성품입니다. 어댑터는 12V 4A = 48W 제품입니다.
3. 제품 조립
제품 조립시 나사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 드라이버를 준비합니다.
스탠드봉과 스탠드받침대를 결합해줍니다.
스탠드 받침대 밑에 있는 구멍으로 나사를 고정해줍니다.
나사는 스탠드봉에 달려있는것을 풀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단단하게 고정이 끝나면 미끄럼방지 고무를 장착해줍니다.
스탠드봉 체결부에 나사 4개를 올려줍니다.
스탠드봉을 모니터 뒷면에 + 드라이버를 사용해 고정해주면 됩니다.
총 4군데입니다.
나사 고정이 끝나면 스탠드 체결 덮개(플라스틱)을 사용해 덮어주면 마무리 됩니다.
4. 모니터 외형
스탠드 장착이 끝난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 뒷모습입니다.
검은색의 깔끔하고 심플한 모습이 눈에 들어옵니다.
하단 양쪽으로는 빨간 라인으로 멋을 냈습니다.

모니터 뒷면 하단에는 4개의 베사홀이 위치합니다.
규격은 100x100 입니다.
위치가 모니터 중앙이 아니라 하단이기 때문에 모니터 암 등을 사용해 90도로 피벗할때 무게중심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스탠드에는 선정리 가이드가 장착돼 있어 모니터 연결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을 보기 좋게 정리해 놓을 수 있습니다.
모니터 하단에 위치한 입력단자입니다.
좌측으로부터 HDMI, DVI, D-SUB, 오디오 입력, 오디오 출력, 어댑터 단자 순서입니다.
오디오 출력단자에는 이어폰이나 외부 스피커를 연결해 사용하면 되고, 오디오 입력단자에는 DVI나 D-SUB 연결시 PC의 오디오 출력 단자에 연결된 케이블을 이곳에 연결해 사용하면 됩니다.

모니터 정면 기준으로 오른쪽 하단 뒷편에는 십자(+) 방향으로 움직이는 OSD 조그버튼이 위치합니다.
이 버튼을 사용해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의 OSD 화면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의 OSD 메뉴입니다.
OSD 메뉴를 통해 밝기(명암비) / 색감(색온도) / 메뉴위치 / 고정종횡비 / 메뉴 표시 상황 / HDR / 입력소스 / 로우블루라이트 / 프리싱크 등의 메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의 전면입니다. 제품 색상이 전부 블랙인데다 제로베젤 디자인을 적용해서 베젤과 패널이 하나로 보이는 디자인을 적용했네요.
모니터 전체가 하나로 보여져 깔끔한 느낌을 줍니다.
27인치 화면 크기를 이해하기 위해 A4 용지와 크기 비교를 해 보았습니다.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은 얇은 베젤이 특징인 모니터인데, 두께를 재보니 이너베젤 4mm / 아우터베젤 4m 정도 베젤 두께를 가지고 있네요. 최근 트랜드인 베젤리스 제품인 만큼 얇은 베젤이 인상적입니다.
베젤만 얇은게 아니라 모니터 두께도 매우 얇습니다.
모니터 상단 두께가 7mm 정도 되는데, 이는 스마트폰보다 얇은 수준이라서 날렵한 이미지를 보여주네요.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의 틸트 기능을 사용해보았습니다.
왼쪽이 화면을 끝까지 숙인 모습이며, 오른쪽이 화면을 끝까지 펼친 모습입니다.
5. 실제로 사용해보자
이제 본격적으로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을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10의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에서 1920x1080 FHD 해상도를 문제없이 지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2인치의 경우는 QHD 해상도가 최적의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27인치 모니터인 Newsync X273 의 경우 FHD 해상도가 최적의 모습을 보여주는 느낌입니다.
윈도우10의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확인한 결과 75Hz 화면 재생률(74.997Hz)을 지원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 60Hz 화면재생률 모니터보다 20% 더 높은 화면 재생률을 지원해 부드러운 화면 화면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모니터 성능 테스트
모니터 테스트 프로그램을 이용해 화면의 명암비를 측정해보았습니다.
저가 TN 패널의 경우는 화면 상/하 또는 좌/우의 색반전이 심해 또렷한 이미지를 보기 여렵지만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은 IPS 패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명암의 계조가 잘 표현되고 있습니다.
좌/우 명암비도 단계별로 정확하게 표현되고 있습니다.
글자 표현력 테스트입니다. 글자가 또렷하고 정확하게 표현됨을 알 수 있습니다.

상하좌우 색상 계조 표현 능력도 굉장히 우수하네요.
75Hz 화면 재생률 테스트. 문제없이 지원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색상표현 능력도 우수한 수준입니다.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의 상하좌우 시야각을 직접 측정해보았습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 위/아래/좌/우에서 화면을 보아도 색반전 없이 정확하게 화면을 표현해주는 능력을 자랑합니다.
색상 표현능력 테스트입니다. 역시 IPS 광시야각 패널답게 다양한 색상의 이미지를 선명하고 또렷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등 색상 표현능력도 매우 우수합니다.
7. 유튜브 재생
여기까지 왔는데 유튜브를 확인 안해볼 수는 없죠.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을 사용해 유튜브를 시청한 결과 만족스러운 화면을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영상이 끊긴다던가 잔상이 생기는 등의 문제는 없었으며, 화질이나 색상도 정확히 표현돼 좋았습니다.
광시야각 IPS 패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떤 각도에서 시청해도 색반전 등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았습니다.
8. 넷플릭스 재생
?
유튜브 만큼이나 동영상의 표준으로 자리잡은 넷플릭스 재생 테스트도 빼놓을 수는 없겠죠.
넷플릭스 화제작인 고요의 바다도 우주선과 인물들의 디테일이 또렷하게 전달됐으며, 스파이더맨2의 빠르고 화려한 움직임도 끊김 없이 잘 보여줘 만족스러웠습니다.
9. 준수한 사무작업 능력
웹서핑의 경우 한 화면에 2개의 브라우저 창을 띄워 사용할 수 있는 크기입니다.
포토샵 작업에도 27인치 FHD 화면이 적당하네요.
확실히 IPS 패널을 사용하는게 색상을 정확히 표현해주기 때문에 디자인 작업을 할때 유리한것 같습니다.
업무 발표에 필수인 파워포인트도 27인치 FHD 화면에 적당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워드를 실행한 모습. 역시 27인치 풀HD 해상도를 지닌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에서 무난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엑셀입니다. 4K모니터나 QHD 모니터처럼 엄청나게 많은 셀을 한 화면에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이정도면 무난하게 회사 업무에 사용할 수 있을듯 합니다.
10. 게임 플레이
요즘 재미있게 즐기고있는 레트로 게임들을 플레이해보았습니다.
버추어파이터2와 킹오파98인데, 광시야각 IPS 패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어디서 봐도 또렷한 화면을 보여줬습니다.
게임의 화려한 색상도 제대로 표현해줘 좋았고 무엇보다도 빠른 캐릭터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화면 끊김없이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해 즐거웠습니다.
11. 높은 호환성을 자랑하는
탄탄한 기본기의 보급형 27인치 모니터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을 직접 사용해보니 240Hz 모니터나 4K모니터 처럼 엄청난 특징은 없지만 일반적인 환경에서 무난하게 쓸 수 있는 성능이 매력적인 제품이었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7인치 화면크기, 여기에 적당한 1920x1080 풀HD 해상도 및 75Hz 화면 재생률, 그리고 상하좌우 178도에서 또렷한 화면과 선명한 화면을 보여주는 IPS 광시야각 화면이 매우 좋았습니다.
?화면 중앙에 게이밍 타겟을 그려주는 크로스헤어타겟과 AMD 프리싱크 기능은 간단하게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기능이었으며, 시력보호기술인 플리커프리와 로우블루라이트를 지원해 장시간 사용에도 눈이 피로하지 않은점도 높게 평가됩니다.
HDR 기능을 통한 선명한 화면 재생, 3W 스피커 2개를 내장해 IPTV 셋톱박스에 HDMI 케이블로 연결하면 간단한 IPTV 모니터로도 활용 가능한점, 베사홀 100x100mm를 지원해 베사암 연결이 가능한 점도 장점입니다.
그리고 앞서 이야기했듯 가장 좋았던 점은 HDMI와 D-SUB 뿐 아니라 DVI 단자까지 지원해 호환성을 늘렸다는 점이죠.
DP1.4와 HDMI2.1을 통해 4K 144Hz를 지원하는 지금이지만, 아직까지도 전세계 대부분 PC는 DVI를 지원하는 평범한 제품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여기에 연결해 사용하기 적당합니다.
DVI 단자를 늘렸지만 가격은 기존 비트엠 제품들처럼 착한 모습입니다. 가격비교 다나와 최저가 기준 Newsync X273 IPS 제로베젤 HDR 일반모델은 16만원 후반, 무결점 모델은 17만원 초반대에 판매되고 있어 매우 뛰어난 가성비를 자랑합니다.
<사용기는 업체로부터 제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easy2work 님께서 작성하신 글이 소비자사용기 게시판으로부터 2022.01.07 04:57:30 에 이동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