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필드테스트로 온 Largoze(리노)입니다!
오늘 가져온 제품은 3RSYS에서 제작한 신형 CPU 쿨러입니다.
과연 어떤 제품인지 함께 알아보러 가시죠
- 유튜브 영상 -
언박싱
3RSYS TM41이 담겨져 있는 박스입니다.
제가 이전에 사용하던 3RSYS RC410 쿨러의 박스가 있는데
두 개를 비교해보니 TM41 박스가 더 아담해서
박스를 보관하기 훨씬 더 좋았습니다.
구성품은 사진에 나와있는 것과 같습니다.
특히 이번에 출시된 인텔 12세대를 위한 1700 소켓 가이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서멀 그리스는 W15 주사기 제품을 제공했습니다
다른 제품들에서는 일회용 서멀 그리스를 제공하여
단 한 번의 기회만 있다는 것이 아쉬웠지만
W15는 주사기형 제품이라 나중에 보관했다가
다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좋았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AMD 전용 부뽑기 방지 가이드
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MD의 CPU는 인텔처럼 LGA 방식이 아닌
PGA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PGA 방식이란 CPU에 핀이 달려 있는데
인텔의 LGA 방식처럼 CPU 고정판이 존재하지 않기에
CPU 쿨러를 탈거할 때 CPU도 같이 딸려 나오는데
이것을 무뽑기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무뽑기를 할 경우 CPU 핀이 휘어지는 경우가 있어
매우 위험한 경우인데
3RSYS에서 세이프티 브라켓을 기본적으로 제공하여
CPU 쿨러를 안심하고 탈거할 수 있다는 매우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사용했을 때 전혀 불안함 없이 CPU 쿨러를 탈거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정말 좋은 장점입니다.
외관
비슷한 가격대 제품들을 대체적으로 한 가지 색상만 제공하는 것과 반대로
3RSYS의 TM41은 총 블랙과 화이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한 가지의 선택지가 아닌 두 가지의 선택지가 주어진 것이니
이는 칭찬할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외관은 아주 깔끔한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감 부분에서도 딱히 모난 곳 없이 준수한 수준의 마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PU 쿨러의 팬 사이드에는
고무로 된 진동방지 패드가 존재합니다
만약 이러한 패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앞 뒤로 총 8개의 고무패드가 있습니다
팬 블레이드 중앙에는 스티커가 따로 붙어있지 않은데
판매 페이지에는 스티커가 붙어있는 것을 보아
실제로 구매하실 때는 TEAMMOST 로고가 붙어서 나올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스티커가 붙어져 있는 것이 더 디자인 적으로
매력있는 것 같습니다
상단은 아노다이징 도색이 되어져 있습니다
제가 집에 가지고 있던 RC410 화이트와 비교했을 때
TM41의 상단 마감이 더 깔끔하게 보였습니다
상단에 TEAMMOST의 로고가 양각으로 마감되어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옆면은 그리 특별한 점이 보이지 않지만
CPU 팬의 양측에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C410을 확인했을 때 이러한 화살표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아
이번 제품부터 화살표를 넣어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화살표가 없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초보자분들을 위한 3RSYS의 세심한 배려를 볼 수 있었습니다
(왼: RC410, 우: TM41)
마지막으로 하단을 살펴보자면
3RSYS TM41의 히트싱크는 직접전달을
전에 출시했던 3RSYS RC410의 히트싱크는 간접전달로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직접 전달과 간접 전달은 각 고유한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직접전달은 쿨링에 더 효율적이지만 열을 고르게 분배하지 못하고
간접전달은 열을 고르게 분배하지만 상대적으로 쿨링 효율이 좋지 못합니다
(TMI: 쿨러를 조립하실 때 비닐이 있는데 무조건 제거하고 조립하시길 바랍니다)
조립
이번에는 총 3가지의 CPU 쿨러를 조립해볼 예정입니다
왼쪽에서부터
AMD 기본쿨러, 3RSYS RC410, 3RSYS TM41
-참고-
AMD CPU 규격인 AM4 규격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실제 조립하는 모습은 맨 위에 영상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기서는 3D 모델링으로 간략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 공통작업 -
3개의 쿨러 모두 다음과 같은 단계를 먼저 거쳐야 합니다
1. 기본적으로 메인보드에 함께 제공되는 백플레이트를 사용합니다
2. 서멀 구리스를 발라주신 다음에 쿨러를 조립하시기 바랍니다
기본 쿨러 장착법
1. 기본쿨러를 구멍에 맞춰 올려둡니다.
2. 나사를 조여주는데 이때 사진처럼 나사를 대각선 방향 순서로 조여주셔야 합니다.
3. CPU 쿨러에 있는 4핀 단자를 메인보드 CPU 팬 커넥터에 연결합니다.
나사를 대각선 방향 순서로 해야하는 이유는
한쪽 면만 나사를 먼저 조여주면
장력에 의해 메인보드가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C410, TM41 쿨러 장착법
장착 방법은 둘 다 동일합니다
1. 백플레이트 구멍에 맞춰 브라켓 마개를 끼워줍니다.
2. 브라켓 마개 위에 AMD 세이프티 가드를 올려둡니다.
3. 공용 브라켓을 세이프티 가드 위에 구멍에 맞춰 올려둡니다. (이때 공용브라켓 양측에 있는 막대가 위로 올아와야 함)
4. 4개의 구멍에 맞춰 나사를 조여줍니다.
5. CPU 방열판에 있는 팬을 먼저 제거해줍니다.
6. CPU 방열판을 공용브라켓에 맞춰 놓은 뒤, 조여줍니다.
7. CPU 팬을 방열판에 끼워줍니다.
8. CPU 쿨러에 있는 4핀 단자를 메인보드 CPU 팬 커넥터에 연결합니다.
9. CPU 쿨러에 있는 5v argb 단자를 메인보드 5v argb 커넥터에 연결합니다. (이때 절대로 12v argb 커넥터에 연결하면 안됩니다)
비록 기본쿨러에 비해 약간의 과정을 더 거치긴 하지만
실제로 했을 때 그리 어렵지 않았습니다
장착모습
(순서대로 기본쿨러, RC410, TM41)
기본쿨러는 어떠한 LED도 나오지 않기에
꽤나 칙칙해보였습니다
그와 반대로 RC410과 TM41 모두 ARGB를 지원하여
자신의 입맛대로 색상을 변경할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TM41이 RC410에 비해서 마감도 더 깔끔하고
광량도 더 좋은 것 같아
실제로 보았을 때 TM41의 모습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기본 RGB 모드
폴리싱크로 RGB 변환 모습
성능 테스트
기본 쿨러, RC410, TM41 성능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 조건 -
1. 유리판과 강판 모두 닫아져 있는 상태에서 진행했습니다.
2. 유니팬의 rpm을 800으로 고정했습니다. (단, 후면에 있는 팬은 기본팬이라서 조절이 불가)
- 시스템 사양 -
CPU: AMD RYZEN 5 5600X
M/B: ASRock B550m pro4
RAM: Crucial Ballistix DDR4-3200 CL16 8gb x 2 (XMP 적용을 안 해서 2667mhz)
VGA: 이엠텍 RTX 3060 STORM X Dual OC D6 12GB
SSD: SAMSUNG 980 M.2 SSD 500GB
CASE: 아이구주 HATCH 6 플렉스 메쉬 강화유리 화이트
CASE FAN: 리안리 유니팬 SL120 블랙 X 5 (전면 3개, 상단 2개) + 기본 시스템 팬 1개
POWER: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600w
사용한 서멀 그리스: 맥스엘리트 할른지예 4g
CPU FAN: AMD 기본 쿨러, 3RSYS RC410, 3RSYS TM41
기본쿨러
기본쿨러는 현재 바탕화면에 있는 상태에서는
46.8~49.5도 사이에 있었습니다
CPU-Z를 통한 스트레스 테스트 시
최고 온도 81.3도를 찍다 쓰로틀링이 걸리면서
더 이상 온도가 올라가지 않았습니다
APEX 레전드 사격장에서도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온도가 76~77도 사이를 오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반 게임에서는 무려 76도를
스트레스 테스트를 할 때는 80도를 넘어가면서 쓰로틀링이 걸리고 말았습니다
아무래도 간단한 작업이라면 괜찮겠지만
게임플레이나 고사양 작업을 하게 된다면
쓰로틀링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아무래도 5600X에는 기본쿨러로 버티기 힘들어 보입니다
3RSYS RC410
RC410은 배경화면에 있는 상황에서
34.1~38.1도를 오가며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PU-Z 스트레스 테스트에서는
최고 온도 57.5도를 찍고 더 이상 올라가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방금 전 기본 쿨러를 생각하면 상당히 놀라운 모습입니다
APEX 레전드 사격장에서는
52~55도를 찍으면서
상당히 좋은 쿨링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RSYS TM41
TM41은 배경화면에 있는 상황에서
33.8~36.4도를 오가고 있습니다
RC410도 굉장히 준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데
TM41은 RC410보다 소폭 더 좋은 쿨링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CPU-Z를 통한 스트레스 테스트에서도
TM41은 56.3에서 더 이상 온도가 올라가지 않았습니다
RC410보다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PEX 레전드 사격장에서는
53~54도 사이를 오가면서
RC410과 거의 동일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TM41이 가장 나은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특히 기본쿨러랑 비교했을 때 매우 큰 격차를 보여줬고
이전에 아주 좋은 가성비로 유명했던 RC410보다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소음 측정
CPU-Z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돌리는 동안 스마트폰 dB 측정기로
소음을 측정해봤습니다
사용 스마트폰은 아이폰 SE2이며
본체 바로 위에서 측정했습니다
주변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고자 했으나, 가정집이기에 약간의 소음이 발생해
비정상적인 부분만 제외하고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기본쿨러의 소음은 대략 38~39dB 사이를 오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체감상 꽤 시끄러운 소음이 발생했습니다
RC410은 대략 35.5~36.3 정도의 소음이 발생했습니다
실제 체감으로는 기본 쿨러에 비해 상당히 조용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기본쿨러에서는 CPU-Z를 돌리기 전과 후의 소음을 비교했을 때 상당한 차이를 느껴졌는데
RC410은 거의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TM41도 대략 RC410과 거의 비슷한 소음을 보여줬습니다
평소에도 굉장히 정숙했고, 스트레스 테스트에서도 소음이 작았습니다
이 정도 수준이면 게임을 플레이 할 때 큰 방해없이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RC410 vs TM41
실제로 했었던 테스트와 인터넷에 있는 자료들을 확인해본 결과
TM41이 RC410과 소폭 더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이번에 3RSYS에서 CPU 팬을 새롭게 개량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TM41에 있는 쿨링팬은 TMH12025로
기존에 있던 팬보다 바람 구멍이 많아서
더 강력한 풍압이 나오도록 설계가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이 둘의 가격을 비교해보면
RC410 블랙: 32,000원
RC410 화이트: 34,800원
TM41 블랙: 29,900원
TM41 화이트: 29,300원
물론 RC410도 굉장한 가성비를 보여줬지만
TM41은 그보다 더 좋은 수준의 가성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총평
이전에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3RSYS였는데
이번에 또 갓성비 제품을 만들어 낸 것 같습니다
실제 비슷한 가격대의 제품들을 확인해보면
대부분 단색 LED이거나 Auto RGB를 가지고 있고
약간 부담스러운 디자인으로 설계되어있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TM41은 29,90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좋은 쿨링과 소음
ARGB 지원에 세련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ARGB를 빼고 더 저렴해진 TM40도 있습니다)
게다가 쿨러의 높이가 153mm로
대부분의 케이스를 호환하는 크기이며
실제 튜닝램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간섭도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특히 AMD의 고질병으로 지목되는 무뽑기를 예방하는
세이프티 가이드를 무료로 함께 제공한다는 것과
인텔 12세대의 1700번 소켓을 벌써 지원한다는 것이
아주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새로운 컴퓨터를 맞추거나
아니면 이번에 기본쿨러에서 새로운 쿨러를 구매하실 분들이라면
3RSYS의 새로운 제품인 TEAMMOST TM41 ARGB를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구매 링크: http://prod.danawa.com/info/?pcode=16181612
-사양-
※ 본 사용기는 (주) 쓰리알시스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