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와이파이 및 기가비트공유기를 탐구하겠습니다. 이 글을 모두 읽으면 메시와이파이 및 기가비트공유기를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메시와이파이 및 기가비트공유기의 지식이 필요하신 분들은 전체 다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에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언박싱
링크시스에서 다수의 이용자, 다수의 트래픽을 위한 유무선 공유기를 내놓았습니다.
무려 250평방미터는 평수로 따지면 약 75평이 됩니다. 큰 집에 사시는 분들이나 게임을 많이 하시는 남편, 자녀분이 있다면 권해드립니다.
모델명은 AX5400 입니다. 최신 wifi 6기술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가비트 메시 와이파이의 초고속 속도를 공간 구석구석 전달한다고 합니다. 6개의 스트림, 5.4Gbps의 속도를 내준다고 합니다. 다이내믹 백홀 지원으로 다양한 형태의 공간에 대역폭 감소 없는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낸다고 하는데요. 온라인 게임과 요즘 많이 보고 있는 OTT 서비스에서 필요해 보입니다.
앱을 이용해서 편리하게 초기 설정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언박싱을 시작하겠습니다. 흰 박스 안에 설정 가이드의 설명서가 보입니다. 다양한 언어 지원을 합니다.
LINKSYS MX5501 와이파이6의 본체가 보입니다. 흰색의 기다란 제품으로 되어 있고요. 하단에 LINKSYS 영어로 쓰여 있습니다.
본체 옆 상자에는 흰색 전원 어덥터가 있습니다.
애플 스토어 협력사인 이유
본체는 기다랗게 생겼습니다. 신기한 건 더듬이 같은 안테나가 안 보입니다. 어디로 갔을까요? 내부에 심어져 있는 걸로 보입니다.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디자인입니다.
하단 면에는 스위치가 3개 보이는데요. 전원 키는 스위치와, WPS, Reset 버튼이 보입니다. 전원을 연결하고 나서는 on 쪽으로 전원을 켜줘야 합니다.
상단부입니다. 열 배출구 멍이 보이고요. 왼쪽 상단의 검정색 부분은 LED가 불이 들어오는 부분입니다. 지금은 전원을 연결 안 했기 때문에 불인 안 들어와있어서 검은색으로 보입니다.
왜 애플 매장에 들어갈 수 있는지 느낌이 옵니다. 디자인에 상당한 공을 들였습니다. 그리고 더듬이 안테나도 날려 버렸고요. 딱 봐도 명확하게 뭔지 알려주는 저 인터넷 밑에 노란색 라인 하나가 상당히 마음에 듭니다. 링크시스 제품은 애플 스토어에서도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애플 제품 옆에 있어도 잘 어울릴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유무선 공유기를 설치하려고 하는데요. 기존 건 디자인이 좀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검은색이 때는 안 타서 좋지만 너무 쉽게 디자이너가 먹으려고 하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모뎀에서 인터넷을 연결했고요. PC용 선을 연결했습니다.
칙칙했던 책상 분위기가 살아났습니다. 160Mhz 채널 대역폭을 지원합니다. 퀄컴 칩셋 1기가 클럭이며 512mb 램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다중 접속에서 빠른 전송을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 장점으로 다가섭니다.
링크시스 앱으로 간편하게 초기 설정을 하세요.
한글 계정이라면 링크시스 검색으로 앱을 설치해 주세요.
새로운 wifi 네트워크 설정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맨 위에 디자인이 보이시죠?
시키는 데로 따라 하시면 되겠습니다. 한글 번역도 잘 되어 있습니다.
저도 실수를 한 게 있는데요. 바닥면에서 스위치를 on 위치로 켜줘야 합니다.
그래야 불이 들어옵니다. 켜지도 않고 앱 설정에서 왜 안되는지 기다리기만 했네요.
보라색 불이 들어오면 설치 대기입니다. 깜박이면 설정 중이고요.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그리고 링크시스 계정도 가입을 해야 하는데요.
메일함을 보면 메일 주소 확인 메일이 와 있습니다. 링크를 클릭해 주면 메일 확인도 끝납니다. 앱 설정 시간은 10분 15분 정도 걸렸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링크시스 앱 데시보드입니다. 저는 3개의 장치를 사용 중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링크 시스에 있는 앱에 속도 체크 기능이 있습니다. 속도 체크를 해봤습니다. 115Mbps 업로드는 21mbps로 나왔습니다.
알면 도움이 되는 기능들
대시보드 앱에 보면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 게스트 네트워크는 공용으로 사용하실 때 필요합니다. 게스트 계정으로 접속을 하면 admin에 들어올 수 없습니다. 보통 다른 공유기에서는 2.4GHz, 5GHz의 ssid를 초반에는 분리를 해 놓는데요. 링크리스 제품은 처음부터 자동 선택이 기본값으로 되어 있습니다.
동적 주파수 선택(DFS) 의 기능은 주변에 레이더가 감지되면 신호대를 변경해 준다고 합니다. 이때 잠시 인터넷이 끊길 수 있다고 하는데요. 참고로 저희 집 근처가 서울공항입니다. 그런데 레이더가 wifi 신호에 영향을 준다는 걸 몰랐습니다. 주변에 관제탑이나 공군기지가 있다면 켜보시는 걸 권합니다.
채널 스캔은 간섭이 적은 채널을 골라 주는 기능입니다. 그 이유가 한 건물에 보면 여러 개의 wifi 공유기가 존재를 하는데요. 같은 채널을 사용하게 되면 간섭을 일으켜 속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5GHZ 영역에서 채널을 40 -> 149로 변경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시보드에서 접속된 장치를 볼 수 있는데요. 개별적으로 관리를 해줄 수 있습니다. 장치별 우선순위는 속도를 가장 우선시할 디바이스 3개를 지정을 해줍니다. 그러면 3개에서 인터넷 자원을 우선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디바이스들은 남은 대역폭에서 사용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게임용 PC 같은 경우 온라인 게임을 하게 되면 대역폭이나 인터넷 반응 등이 가장 중요하게 되는데요. 그럴 때 응용하면 좋겠습니다. 그 이유가 디바이스 30개까지 연결이 됩니다. 모두 공평하게 분배해서 쓴다면 아무래도 안방의 부모님이 인터넷이 느려서 영화를 볼 수 없다고 하거나 동생이 게임하는데 버벅댄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부모 통제는 인터넷 접속을 스케줄링 할 수 있습니다. 그 외 특정 웹사이트 차단을 할 수 있습니다. 특정 웹사이트 차단은 자녀분이 특정 게임에 미쳐 있다면 해당 사이트의 주소를 차단하시면 되겠습니다.
보통 국내 유명 게임 사이트 회사명입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주소를 알아보시고 차단해 주실 수 있습니다.
넥슨
넷마블
엔씨소프트 엔트리브
엠게임
피망(네오위즈)
한게임
다만 클라이언트 웹 주소가 틀릴 경우 웹을 차단해도 게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집에서 공유기 속도 테스트 표
Speedtest 앱을 이용했습니다. 안방에서 측정한 속도를 기준으로 비교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수치를 보시면 만족스럽습니다. 다만 업로드 속도에서는 공유기 바로 옆에서 보다 거리가 있을 때 수치가 더 좋게 나왔습니다. 작은방의 경우 벽을 2개를 뚫고 신호를 보내는 건데요. 61% 정도까지 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업로드 속도는 안방보다 높게 유지가 되었습니다.
링크시스 Atlas Pro6 구매링크
http://prod.danawa.com/info/?pcode=16232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