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Ie 4.0 NVMe SSD 에서 매우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NVMe SSD 의 성능에 대해 지난 시간에 알아보았으며
이번 시간에는 M.2 SSD 구조상 작은 크기에 높은 성능을 발휘 하다보니 온도 & 발열에
민감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에 따라 메인보드 제조사에도 M.2 방열판이 기본 탑재되어
나오거나 별도로 M.2 방열판을 판매하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PCIe 4.0 NVMe 에서 최상의 성능을 내는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PCIe 4.0 NVMe 1TB와
과거에 리뷰를 진행했던 3RSYS 빙하 7 방열판과 함께 장착 유무에 따른
온도와 성능을 비교해 보고자 합니다.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PCIe 4.0 NVMe 1TB 와 3RSYS 빙하 7 조립 전 모습
SSD 와 방열판을 조립하고 메인보드에 장착한 모습
테스트 사양은 이전과 같은 스펙입니다.
우선 파일 마이크론 P5 > 파이어쿠다 530 파일 전송시 온도와 속도입니다.
446GB 용량의 파일을 이동시 방열판이 미 장착시 62도 , 방열판 장착시 39도로
장착 유무에 따라 23도 차이가 났습니다.
파일 전송시 쓰기 속도는 위 그래프와 같으며 파일 쓰기 시간은 방열판 장착했을떄 살짝
빨랐지만 오차 범위 수준이였습니다.
윈도우 11 포멧을 실행하였을때 방열판 미장착시 최대 61도 , 방열판 장착시 40도로 측정되어
최대 21도 차이가 발생하였습니다.
포멧시 쓰기속도는 위 그래프와 같으며 속도 차이는 거의 없었습니다.
윈도우 11 비트락커도 진행 해 봤습니다.
윈도우 11 비트락커 진행시 방열판 유무에 따라 비트락커 초반에는
18도 후반에는 15도 가량 발생하였습니다.
윈도우 11 비트락커 진행시 읽기 & 쓰기 속도 입니다.
윈도우 11 에서는 방열판 장착하지 않았을 떄 더 53초 가량 더 빠르게 완료되었습니다.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PCIe 4.0 NVMe 1TB 와 3RSYS 빙하 7 조합으로
윈도우 11 포멧 , 비트락커 , 파일전송 3가지 환경에서 테스트 했을떄
방열판 유무에 따라 온도 차이는 15도~23도 정도 차이가 발생하였습니다.
하지만 고부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오차 범위 수준으로
고~~사양 PCIe 4.0 NVMe SSD 임에도 성능 차이가 적어
방열판을 장착하지 않터라도 준수한 열 관리를 하고있었습니다.
이상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 PCIe 4.0 NVMe 1TB 와 3RSYS 빙하 7
발열 & 성능 테스트 이였습니다.
- 본 컨텐츠는 업체로부터 제품을 제공 받았습니다. -
#게이밍 SSD #SSD #파이어쿠다 530 #레스큐데이터복구서비스 #PCIe4 #PS5 #씨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