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 #Crucial, #P5 Plus, #NVMe, #아스크텍, #SSD, #SSD추천
SSD. ‘Solid State Drive’의 약자로 하드디스크를 밀어내고 PC의 메인 드라이브의 위치를 차지한 기억장치를 말한다. 세대를 거듭할수록 뛰어난 성능향상을 체감할 수 있는 CPU나 그래픽카드와 달리 발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더딘 하드웨어긴 하지만 HDD에서 SSD, 그중에서도 GEN3에서 GEN4로 향상된 인터페이스는 확실한 속도 차이를 선사한다. 특히나 데이터 로딩이 잦은 오픈 월드 기반 게임이나 대용량 파일을 로딩, 렌더링하는 작업환경에선 그 차이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리뷰에서 소개할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M.2 NVMe 아스크텍 (500GB)’은 뛰어난 성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환경에 어울리는 SSD이다. SSD의 명가 마이크론에서 선보인 고급형 라인업에 해당하는 M.2 NVMe 방식 제품으로 최대 읽기 6,600MB/s, 최대 읽기 4,000MB/s 속도에 자체개발한 DM02A1 컨트롤러, 1GB DRAM을 탑재해 연속 작업에서도 속도 저하 현상을 최소화했다. TRIM, S.M.A.R.T, DEVSLP, ECC, 전용 S/W 및 공식 서비스 지원 기간은 5년으로 넉넉하다. 과연 실제 모습은 어떤지 지금부터 리뷰를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하자.
언박싱. 대부분 마이크론 SSD 제품과 동일한 형태의 패키지를 확인할 수 있다. 유통사인 아스크텍의 정품인증 스티커는 제품에 붙여야만 문제 발생 시 정식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니 주의. 그 외 스펙, 인증내역, QR 코드, 품질보증 기간 등도 보인다. SSD, 고정 나사, 사용자 설명서가 기본 구성으로 제공된다.
다국어 지원 설명서에는 전용 소프트 웨어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담고 있다. 국내 사용자의 경우 유통사인 아스크텍 홈페이지(www.ask-tech.com) 고객센터를 통해 서비스 지원을 받을 수 있다.
2280 규격으로 로고와 제품명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 온다. 그 아래 PCIe 4.0 지원을 위해 자체개발한 DM02A1 컨트롤러, 마이크론 1GB LPDDR4 DRAM, 176단 3D NAND TLC 250GB × 2ea 메모리가 자리해 있다. 스티커를 자체의 방열 기능은 없지만 작은 소자나 PCB를 보호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기에 그대로 사용하기를 추천한다.
뒷면에는 QR 코드와 각종 인증 내역, 소비전력, 모델넘버, 시리얼 넘버, 적용된 펌웨어, 홈페이지, 제조국가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 언뜻 보기엔 큰 의미 없는 스티커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WARRANTY VOID IF REMOVED’란 문장을 해석하면 ‘이 스티커를 임의로 제거할 경우 품질보증을 받을 수 없다’는 뜻으로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윈도우10 클린 설치 후 기본 드라이버만 설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성능향상을 위한 최적화 방법은 실행하지 않았다. 방법, 횟수, 기타 테스트 결과에 영향을 줄 만한 조건을 최대한 배제한 상태로 진행했음을 밝힌다.
CrystalDiskMark 8.0.4 x64를 활용한 벤치마크 테스트.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전체 용량의 42% 데이터가 채워진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로 최대속도 Read 6811.77MB/s, Write 4,316.70MB/s로 확인됐다. 제조사에서 밝히고 있는 최대속도 Read 6,600MB/s, Write 4,000MB/s를 상회하는 결과치이다.
ATTO Disk를 활용한 벤치마크 테스트. CrystalDiskMark 보단 전반적인 수치가 낮게 나왔지만 제조사 스펙에 근접한 수치를 확인할 수있다. 벤치마크 결과만으로 성능을 판단하긴 어렵지만 단순 수치만을 놓고 보면 빠른 데이트 처이를 요구하는 작업환경이나 대용량 게이밍 PC에 적합한 제품이라 보인다.
나래온 더티 테스트. 앞서 언급했듯이 마이그레이션을 통해 전체 용량의 42% 데이터가 채워진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로 전체 용량의 50%를 채운 상태에선 속도저하가 발생했다. 물론, 그렇다 하더라도 왠만한 저가형 제품보단 평균, 최소 속도 모두 빠른 모습이었다. 테스트 종료된 시점에서 확인한 최대 온도는 59℃로 메인보드에 기본 적용된 방열판을 장착한 상태에서 측정된 결과이다. PCIe 4.0 환경에선 방열판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봄이 옳다. 대부분 SSD가 70℃가 넘어가게 되면 스로틀링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PCIe 4.0이 아닌 3.0 환경에선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여줄까. 슬롯 위치를 변경해 동일한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해 봤다.
PCIe 3.0 방식이긴 해도 하위 제품인 P2나 SATA3 방식 대비 빠른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제품이긴 하나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만큼 자신의 사용환경을 고려해 선택하기를 추천한다.
전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품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드라이브 세부 정보, S.M.A.R.T, 펌웨어 업데이트, 테스트 등 여러 기능을 제공한다. 무엇보다 모멘텀 캐시라는 재밌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시스템 자원을 활용해 SSD의 성능향상과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주는 소프트웨어 기능이다.
‘Momentum Cache’ 메뉴에서 재부팅 메뉴를 클릭하는 것만으로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다만, 해당 기능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모리(RAM) 자원을 일부 사용하는 만큼 16GB 이상 메모리 장착하고 실사용 환경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때만 활용해야 한다.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M.2 NVMe 아스크텍 (500GB)은 PCIe 4.0 인터페이스 기반, 디램을 갖춘 제품군 중에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에 5년이라는 긴 보증 기간, 뛰어난 성능을 갖춘 제품이다. 온도가 다소 높은 만큼 방열이 필수라는 점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포인트로 작용하긴 하지만 이는 이 제품만의 단점으로 보긴 어렵다.
일반 PC에 장착해 사용할 예정이라면 기본 히트싱크를 활용하고 슬림 PC나 노트북, 일체형 PC 등에서 사용할 예정이라면 기본 시스템 쿨링이 원활한지 SSD용 히트싱크를 장착할 수 있는지 확인 후 사용하기를 추천한다. 빠른 속도와 가격, 안정성을 모두 포기 못 하는 사용자라면 구매를 망설일 이유가 없는 제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