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니 아빠입니다.
오늘은 올 4월에 출시한 늦깍이 AMD 라이젠5-4세대 5600 (버미어) CPU 소개할까 합니다.
5600x의 마이너 버전으로 다소 출시 시기가 늦어 아쉬웠던 모델입니다.
저의 이웃님들은 이미 알고 있으시겠지만 얼마 전에 AMD 라이젠5-2세대 2600 (피나클 릿지)에서 I5-12400F로 업그레이드를 했었습니다. 라이젠 5600x로 갈까 많은 고민을 하다가 결국은 인텔을 선택했었는데요. 라이젠 5600 시리즈를 사용해 보지 못한 많은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짧은 기간이나마 라이젠 5600 시리즈를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어 개인적으로는 다행스럽습니다.
리사 수 누나 미안해~~
라이젠 7000에서 다시 만나요..
서두가 길었는데요 오늘의 주인공 라이젠 5 4세대 5600 버미어입니다.
CPU 단품만 보내주는 줄 알았는데 완본체 형태로 배송되었습니다.
아래가 제공된 시스템 사양입니다.
그래픽 카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제 원래 시스템의 RX570을 잠시 분해해서 재조립했습니다.
17년도 태생으로 채굴장에 끌려갔다 온 녀석으로 저렴한 맛에 복불복 중고 구매한 녀석인데 운 좋게 아직까지 저의 메인 컴퓨터에서 열일 해주고 있습니다.
+ 그래픽 카드 : GIGABYTE 라데온 RX 570 Gaming D5 4GB
케이스는 지난번 체험단 리뷰에 한번 소개 드린 앱코 G30입니다.
현재는 큰아들 유니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성비, 디자인, 공간 효율성 3박자에 조립이 매우 편했던 기억이 납니다.
아수스 PRIME B550 , 마이크론 메모리, 마이크론 M.2 NVME 500G 등 적절한 가성비 조합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기본 CPU 쿨러가 탑재되어 있는 부분은 조금 아쉽습니다.
발열을 잘 잡아 줄지 살짝 걱정되긴 합니다.
원할한 촬영을 위해서 케이스 옆면은 오픈했습니다.
OS 설치 및 벤치 마킹
그래픽카드가 미동봉 된 상태라 본컴의 RX 570을 잠시 탈거해서 장착합니다.
I5-12400F 본체는 예비 부품 HD4670으로 잠시 갈아탑니다.
아무래도 조만간 리뷰를 대비해서라도 최신 그래픽 카드를 하나 장만해야 할듯합니다.^^;
조금은 올드한 그래픽 카드로 최신 제품들을 리뷰하는게 조금 아쉽긴 합니다.
OS 설정은 살짝 망설였는데 WINDOW 11보단 익숙한 WINDOW 10을 설치해 주었습니다.
워낙 고성능의 라이젠5 5600 CPU와 마이크론 SSD 조합이라 그런지 윈도우 설치가 번개 같습니다.
설치 버턴 누르고 잠시 딴짓하다 보면 금방 설치가 완료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니 자동으로 아래와 같은 아수스의 Armoury Crate 프로그램이 나타납니다.
추가로 드라이브와 벤치 마킹을 위한 몇 가지 게임과 벤치 프로그램을 설치해 주었습니다.
윈도 10에서 웬만한 드라이브는 초기 설치시 지원하지만 최신 드라이브가 아닌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저의 경우는 3dp 를 활용하는 편입니다. 아래의 경우 느낌표로 표시된 멀티미디어가 아직 최신 버전이 아니죠. 해당 칼럼을 누르고 최신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해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설치한 CPU-Z CPU 사양을 한번 살펴봅니다.
리사수 누님의 야심작 7nm 공정의 6코어 12쓰레드의 강력한 시스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주로 사용하는 유튜브, RAID(그림자 전설), 디아블로2 레저렉션 등을 한번 돌려봅니다.
비교적 저사양 게임이라 기존에 사용하던 I5 -12400F와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큰 차이는 느끼기 힘듭니다. 실체감으로는 거의 대부분 다 쌩쌩 날아다니는 수준이라...
레이드 그림자 전설
래더 1기 허접소서
디아블로
이제 40대 중반의 평범한 취미 게이머로 게임 화면 프레임 하나 하나에 민감한 편은 아닙니다.
실 사용 수준에서 게임 로딩, 화면 전환 등 매우 빠르고 매끄러운 진행이 느껴집니다.
몇몇 게임의 경우 라이젠에 라데온 시리즈 그래픽카드와 궁합이 좋아 성능 향상의 시너지를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관련 게임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Ryzen 5600 과 라데온 시리즈 RX6900XT, RX6800 등과의 조합도 한번 고려해 보시길 바랍니다.
라데온과 결합 시 성능 향상 (출처: 다나와)
저의 경우 소소한 엔비디아의 소액 주주이긴 하지만 이전부터 라데온의 색감에 익숙해 그래픽카드의 경우 라데온 시리즈를 좀 더 많이 사용해 본 거 같습니다. HD4670, RX460, RX570 등등...
라이젠 CPU 를 고려하시는 분들은 라데온 계열의 그래픽 카드 제품들도 선택지에 넣고 고려해 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벤치마크
이번 리뷰의 목표는 라이젠 5- 4세대 5600 (버미어) 가 핵심이라 간단히 CPU 벤치마크도 한번 돌려보겠습니다. 제일 만만한 CPU-Z 를 활용해 볼게요.
가성비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레프런스는 좀 더 상위 기종인 RYZEN 9 5950X 로 해볼게요.
RYZEN5 5600 VS RYZEN 9 5950X
|
|
라이젠 5950X 대비 라이젠 5600 벤치 성능
출시가 기준 3배의 가격의 5950x의 싱글성능 대비 92%로 가성비 관점에서 상당한 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멀티 능력은 코어 수 자체가 다르니 감안해서 봐주세요.
아래 CPU-Z에서 제공하는 https://valid.x86.fr/bench/1 Best CPU performance 자료 와 한번 대조해 볼게요. BEST 데이터와의 비교라 좀 뒤처져도 섭섭해하지 않을 거야. ^^;
오 나름 뽑기 운이 나쁘지 않은 거 같습니다. 594 점으로 꽤 잘 나왔습니다.
반복 테스트 하다 보면 조금씩 차이가 나는 점은 감안해주세요.
STRESS TEST도 한번 해볼게요.
기본적으로 제가 주로 사용하는 앱들을 기본으로 깔고 CPU-Z의 Stress 를 구동해 보았습니다.
지표상으로는 100%로 갈구고 있는게 맞는데 실 사용에서 아무런 버벅임이 없이 원할하게 동작했습니다. 계속 의심이 들어 이것저것 계속 구동했습니다만 특별한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어마어마한 성능입니다.
한참 동안을 지켜봤는데 무리 없이 안정적으로 동작했습니다.
한참 벤치 돌리는 중에 발열 부분도 한번 살펴보았는데 아무래도 기본 쿨러다 보니 발열 부분은 좀 아쉽습니다. 사제 쿨러 하나 정도는 달아주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맺음말
제품 강점
-초정밀 7nm 공정을 통해 높은 싱글/멀티 성능
-6코어 12쓰레드의 많은 자원
-AMD 라이젠5-4세대 5600이 탑재 된 PC
오늘 부족하지만 나름 AMD 라이젠 5-4세대 5600을 리뷰해 보았습니다.
7nm 공정을 통한 높은 싱글 및 멀티 성능으로 저 같은 라이트 유저는 시스템 리소스를 다 활용하지 못할 거 같아 오히려 걱정이 될 정도입니다. 6코어 12쓰레드에서 나오는 강력한 멀티 능력으로 게임 뿐만 아니라 일반 작업에도 강점이 있어 보입니다.
라이젠 5600x의 존재로 인해 어떻게 보면 매우 애매한 포지션이라 개인적으로 참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일부 온라인 의견에 따르면 CPU 및 메모리 오버클럭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인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초기 국내 출시 가격이 오히려 5600x 대비 역전된 상태로 나와 이상하게 생각했었는데요.
현재는 살펴보니 5600x보다는 다소 미미하지만 낮은 가격이 책정되어 있습니다.
성능과 가격, 오버클럭을 다룰 수 있는 능력 등에 따른 개인의 선택의 영역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라이젠 5600 시리즈는 타사 대비 구형 메인보드를 활용할수 있는 호환성이 비교적 좋은 장점도 있기 때문에 가성비 게이밍 PC를 맞추시려는 분들에게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부족하지만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67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