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진 것을 체감한 건 SSD의 도입 이후라 생각합니다. SATA 형식의 SSD는 기존 HDD보다 월등히 빠른 부팅 속도를 제공해 주었고 이제 PC를 구성할 때 SSD에 OS를 설치하는 것이 당연시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SATA 방식을 한계를 초월한 NVMe SSD가 나왔습니다. 보드에 직접 장착을 하기에 SATA 케이블과 전원 커넥터를 사용할 필요도 없으며, 각종 벤치 테스트를 통해 확연히 속도의 증가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런 NVMe SSD는 Gen3(PCIe 3.0)를 거쳐 Gen4(PCIe 4.0)로 진화를 거듭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PCIe 4.0 인터페이스 중에서도 일정 속도 이상의 성능을 요구하는 PS5의 기준까지도 만족하는 제품인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PCIe 4.0 NVMe (500GB) 아스크텍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제품 사양
마이크론은 메모리 반도체 생산 기업으로 주로 DRAM과 플래시 메모리를 생산하며 마이크론에서 소비자용으로 출시한 Crucial 브랜드의 DDR4 시금치 램은 램오버 마진이 꽤 크고 가격도 착해 주요 가성비 PC 견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고 SATA SSD 중 MX500은 DRAM이 탑재된 가성비 SSD로 인지도가 PC를 직접 구성하는 분이라면 다들 아실 겁니다. 이런 마이크론 Crucial SSD 제품들 중에서 P5 Plus는 가장 성능이 뛰어난 하이엔드 제품군에 속합니다.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PCIe 4.0 NVMe (500GB) 아스크텍은 요즘 출시하는 일반적인 NVMe SSD처럼 세로 22mm 가로 80mm를 만족하는 M.2 2280 폼팩터입니다. 마이크론의 하이엔드 제품이니만큼 DRAM이 탑재된 제품입니다.
용량별로 500GB, 1TB, 2TB 제품이 출시되었으며 보통 고용량으로 갈수록 속도가 빨라지고 내구성도 뛰어난데 이 제품도 마찬가지입니다.
제가 리뷰할 500GB 제품은 300TBW와 200만 시간의 MTTF로 300TB의 사용과 200만 시간의 수명을 보증하는 제품입니다.
2. 패키지 및 언박싱
제품 박스는 SATA 방식 SSD를 포함한 기존 마이크론 SSD와 동일한 크기와 디자인입니다. 우측 상단에는 유통사인 (주)아스크텍의 정품인증 스티커가 있으므로 5년의 보증을 위해 박스를 보관하거나 제품에 부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박스 뒷면에는 제품의 특징들이 나열되어 있으며 작은 틈 사이로 제품이 보입니다. P5 PLUS에는 QR코드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연결해서 가이드 등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박스 안에는 플라스틱으로 P5 Plus와 전용 나사가 포장되어 있습니다. Crucial P5 Plus는 블랙 기판을 사용하며 보통 고급형 NVMe SSD 제품들의 PCB 기판이 블랙 색상인 것을 감안하면 적절한 컬러 선택으로 보입니다.
함께 제공되는 설명서는 전용 소프트웨어에 관한 안내가 되어있습니다.
제가 받은 제품은 싱가포르에서 생산되었네요. 외형은 별 다른 특이점이 없습니다.
3. 장착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환경은 위와 같으며 PCIe 4.0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CPU와 메인보드로 구성하였습니다.
M.2 방열판을 제공하는 메인보드이기 때문에 기존 방열판을 제거한 다음 제공된 나사를 활용해 장착한 모습입니다.
Crucial P5 Plus는 고성능 제품이다 보니 발열도 꽤 있는 편입니다. 온도가 일정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온도를 낮추기 위해 일을 덜하게 되고 쓰로틀링이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인보드에서 제공하는 기본 방열판을 사용하거나 방열판이 없는 메인보드라면 1만원 이하의 저렴한 방열판이라도 하나 구입해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방열판의 유무에 따라 온도 차이가 꽤 심한 편입니다.
4. 전용 소프트웨어
윈도우 10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OS도 설치해 주었습니다. 아무래도 OS가 없는 저장용으로 사용할 때보다는 성능이 소폭 하락할 수 있습니다.
링크(클릭): https://www.crucial.kr/support/storage-executive
위 링크에서 Crucial 저장 장치의 상태를 점검하고 각종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전용 SW를 설치하면 여러 가지 메뉴를 사용할 수 있는데 '시스템 정보'에서는 기본적인 정보와 사용량, 온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브 세부정보'에서는 보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Momentum Cache' 기능을 이용해 램 캐싱(램 자원 일부분을 끌여다 SSD에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활성화한 상태로 벤치 테스트를 진행할 경우 각종 측정치가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으나 램 용량이 부족할 때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으니 현명하게 사용하면 될 것 같네요.
이 외에도 여러 가지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성능 테스트
OS를 설치한 Crucial P5 Plus NVMe 500GB입니다. OS가 설치된 만큼 벤치 테스트 때 조금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기본 측정 및 NVMe SSD 세팅으로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스펙시트에서 안내하는 순차 읽기 속도(6,600MB/S) 및 순차 쓰기 속도(4,000MB/S) 이상을 만족함을 알 수 있습니다.
각종 수치가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면
1) SEQ1M Q8T1 : 1MB 크기의 데이터를 8개의 연속 묶음(8MB)으로 만들고, 1개의 작업 단위로 1GB까지 연속으로 읽기하거나 쓰기를 수행합니다. 즉, 이것은 실제에서 대용량 파일을 읽기/쓰기할 때와 비슷한 경우이며 한마디로 대용량 데이터의 연속 읽기/쓰기 속도로 간주하면 됩니다.
2) SEQ1M Q1T1 : 1MB 크기의 데이터를 1개의 연속 묶음(1MB)으로 만들고, 1개의 작업 단위로 1GB까지 연속으로 읽기하거나 쓰기를 수행합니다. 즉, 이것이 실제에서 여러 개의 파일을 읽기/쓰기할 때와 비슷한 경우이며, 어찌보면 실제와 가장 유사한 상황이므로 제일 많이 참고해야 할 테스트 수치입니다.
3) RND4K Q1T1 : 4KB 크기의 데이터를 1개의 연속 묶음(1MB)으로 만들고, 1개의 작업 단위로 1GB까지 불연속(Random)으로 읽기하거나 쓰기를 수행합니다. 즉 이것은 SSD의 최소 단위인 1페이지 단위로 읽기/쓰기를 수행하는 경우이며 실제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한마디로 SSD의 읽기/쓰기를 최소 단위인 4KB로 랜덤하게 수행하는 경우입니다.
AS SSD Benchmark에서는 여러 번 테스트를 해봤음에도 다른 분들의 벤치 결과보다 20% 정도 낮은 수치가 측정되었습니다.이해하기가 어렵네요ㅠ
다른 벤치 프로그램인 ATTO Disk Benchmark에서는 다른 분들이 진행한 Crucial P5 Plus NVMe 500GB의 벤치 결과와 비슷한 값이 측정되었습니다.
나래온 더티 테스트는 OS가 설치된 34GB를 제외하고 측정해 보았습니다. 테스트 결과 최대 속도 7197 MB/s, 최소 속도 83 MB/s, 평균속도 2153 MB/s로 측정되었으며 무척 준수한 결과값이 나왔습니다.
남은 용량이 61.6% 이하가 될 경우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들쭉날쭉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그 상태로 용량이 꽉 찰 때까지 추가 성능 저하 없이 꾸준한 모습을 유지해 주었습니다. 감소한 속도도 SATA 방식 SSD의 속도를 상회하는 속도이므로 실제 사용 시에는 체감 성능 저하를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DRAM의 탑재로 안정성과 꾸준한 퍼포먼스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의 기본 방열판이 부착된 상태로 진행한 모든 테스트에서 최대 온도는 60도로 크게 문제가 되는 온도가 아니었습니다. 기본적인 방열판만 있다면 쓰로틀링을 걱정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실제 벤치 테스트 과정이 담긴 영상입니다.
6. 종합 평가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PCIe 4.0 NVMe (500GB) 아스크텍은 마이크론 Crucial NVMe SSD 중에서도 최상위권의 제품답게 무척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물론 그에 따른 발열도 상당하니 방열판(히트싱크) 사용도 필수가 되겠습니다.
게이밍을 위한 제품이니만큼 PS5에 장착하면 만족스러운 로딩 속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 고용량 DRAM 탑재로 높은 퍼포먼스를 꾸준히 유지해 주기에 고사양 게임을 플레이하고 로딩하는 것뿐 아니라 고용량 영상 편집 작업에서도 쾌적함을 느낄 것으로 기대됩니다.
단 사용하는 환경(CPU 및 메인보드)가 PCIe 4.0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제품이어야 한다는 점, 기억하세요.
"이 사용기는 (주)아스크텍의 제품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