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뚜버기 PaPa입니다.
#협찬 받은 제품은 라이젠 AMD 4세대 라이젠5 5600 멀티팩 버미어 조립PC 입니다.
다가올 라이젠7을 발표 하기 전 5600X보다 2만원이나 저렴하게 내놓은 신제품 5600(버미어)는 소비자 입장에 선택폭을 넓히기 위해 출시되었습니다.
제가 쓰고 있는 5600X와 5600이 5600X대비 성능에서 어떤 차이를 보여주는지 비교도 하였습니다.
비교 제원표입니다.
5600X는 `20년도 출시되었지만 가격대가 여전히 20만원 웃돌고 있네요.
올해 출시한 신제품 5600은 5600X보다 약간 낮은 0.2Ghz이지만
동일한 초정밀 7nm공정을 통해 높은 싱글/멀티 성능을 갖추고 있는 5600 버미어는 5600X와 견줄만 한 메리트있는 제품입니다.
제가 받은 제품은 AMD 라이젠5 - 4세대 56000이 탑재 된 PC입니다.
케이스는 앱코의 G30으로 완제품으로 배송 되었습니다.
제품을 열어보니 체험기지만 조금 아쉬운게 비닐로 미포장되어 스티로폼이 여기저기 붙어 청소하느라 애좀 먹었습니다.
AMD 5600버미어에 대해서 말씀드리기 전에 앱코 G30제품도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대형 케이스 답게 기본 팬이 6개나 달려있습니다.
전면 3개와 후면1개는 RGB, 상단은 2개의 쿨링팬이 장착되어 있더군요!
전면의 그릴은 전체를 차지하여 통풍 향상에 무리없이 만들었구요.
뒷면은 배선정리가 용이하도록 공간적 여유가 있습니다.
상단의 IO는 대부분 공통인듯 USB3.0 1개와 2.0 2개를 지원합니다.
IO확장성에서는 아쉬운 편이였네요!
하단부의 매쉬망은 자석식이 아니라 클립에 끼우는 방식입니다.
이게 아쉬운게 청소를 할때 은근히 다시 끼우기가 불편합니다.
하단의 발판은 넓고 미끄럼과 진동을 잡아 주도록 고무재질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제가 협찬 받은 AMD 라이젠5 - 4새대 5600 조립PC 사양입니다.
제가 사용하는 그래픽카드가 RTX-3070TI인것을 생각해주셨는지
고사양 파워를 보내 주셨습니다.
앱코의 XTREAM XT-750W의 파워는
게임 테스트하면서 풀파워를 사용해도 차고 넘칩니다.
SSD는 마이크론의 크루셜 P5 500GB제품입니다.
5600은 PCi-e 4.0을 지원하기에 모든 세팅을 4.0에 준하게 테스트하기 좋은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공정한 테스트를 위해서 최대한 동일한 제품을 구비하고
동일한 윈도우 버전과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동일하게 진행 하였습니다.
메모리 또한 마이크론 크루셜의 DDR4-3200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테스트는 모두 3200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모든 테스트가 끝나고 3600오버 클럭도 하였는데
역시 메모리 수율이 아주 잘 먹히는 AMD라이젠이 였습니다.
.ASUS Prime B550M-A보드는 5600의 기술을 모두 사용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메인보드로 추천할 만큼 가성비가 좋은 메인보드입니다.
조립은 매우 간단했습니다.
이미 완전체인데다 기쿨로 인해 간섭도 없어 그래픽 카드만 결합으로 끝!!
윈도우가 없는 관계로 바로 윈도우부터 설치하고, 기타 배틀그라운드와 포르자 호라이즌 5를 설치하였습니다.
항상 조립보다 테스트하는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립니다.
윈도우 설치가 끝나고 배그도 설치되고 나서 우선 SSD 속도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역시 5600에서 지원하는 PCi-e 4.0 다운 속도는 5600X에서 지원하느 속도와 동일 했습니다.
씨네 벤치 23 테스트 결과 에서는 좌측이 5600이고 우측이 5600X 입니다.
멀티와 싱글에서 약 9%정도의 차이를 보여 주었습니다.
0.2클럭을 무시할 수 없는 거였나요?!
게임 성능은 어떨까요?!!
테스트 게임은 배틀그라운드와 포르자 호라이즌 5(벤치)로 테스트 진행하였습니다.
게임에 사용된 그래픽 카드는 GTX-1070과 RTX-3070ti 두가지 모델입니다.
모두 FHD에 풀옵션으로 테스트 했습니다.
RTX-3070ti 포르자 호라이즌5에서는 미미한 차이도 없었습니다.
QHD에서는 동일한 프레임을 보여 주었구요!
.
GTX-1070에서도 프레임 차이가 없었습니다.
배틀그라운드에는 어떨까요?
조금 의아한 결과를 보여주었는데요.
좌측이 5600이고 오른쪽이 5600X입니다.
오히려 5600버미어가 더 부드러운 프레임을 보여주었습니다.
보시면 CPU 점유율에서 그 답이 나옵니다.
처음부터 동일한 SSD에 CPU만 교환하였고
동일한 그래픽 카드임에 틀린 결과라고 하실수 있지만 여러번 시도 했보아도 동일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결과는 영상으로 보실수 있습니다.
5600과 5600X의 0.2Ghz 차이는 아주 미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만
5600X에 비해 앞서거나 뒤쳐짐 없는 모습에 놀라웠네요!
대신 5분짜리 영상을 만드는 인코딩에서는
5600X가 5600보다 7초 앞서는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발열 테스트에서도 기본 쿨러임에도 불구하고 73도(실내온도 24.5도) 머물렀습니다.
5600X 일전에 테스트 간 80도를 넘는 온도를 보인 것과는 조금 대조 적이네요!
그만큼 5600X의 기술의 검증된 5600에 담은 것 같습니다.
누가 동생이래?!
제가 볼땐 동생이 아니라 키가 조금 작은 친구로 생각되네요!
5600X와 동일한 6코어 12쓰레드의 많은 자원의 활약으로 기본에서도
뒤쳐짐 없고 거의 동등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대신 5600X의 배수를 올리거나,
메모리 클럭을 3600~400까지 향상시킨다면 5600X가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줄 것입니다.
5600X보다 저렴하니 유저입장에서 보다 좋은 선택이 될 것같습니다.
최저가 구매링크는 역시 다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