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튜브 등에서 다수의 블랙박스 영상이 소개되고 있다. 필자도 출퇴근을 위해 운전을 하고 있지만, 사고는 우연히, 그리고 갑작스럽게 찾아온다. 이때 블랙박스 영상은 과실비율 책정을 위한 증거가 되지만, 기존에 필자가 사용하던 구형 블랙박스는 여러 상황 식별이 어려웠다. 때문에 블랙박스 교체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마침 좋은 기회가 있어 최근 출시한 아이나비 QXD8000을 이용할 수 있었다.
1. 아이나비 QXD8000 개봉기
필자의 경우 택배로 제품을 먼저 받았다. 아이나비 QXD8000의 외부 패키지는 보라색을 띠고 있는데, 측면에는 주요 기능들이 간단하게 소개되어 있다. 이제 봉인 라벨을 제거하고 구성품을 살펴보도록 하자.
내부 구성품은 크게 블랙박스 본체, 후방 카메라, 연결 케이블, micro SD 카드 리더기가 포함되어 있다.
블랙박스 본체는 이전 모델인 QXD7000과 유사한 모습이다. 하지만 우측 측면을 보면 새로 생긴 USB-C 타입 단자가 보이는데, 스마트폰과 연결하면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영상 확인과 다운로드가 바로 가능하다. 참고로 micro SD 카드는 본체에 삽입되어 있으며, 32GB/64GB/128GB/256GB를 지원한다. 512GB는 추후 적용 예정이다.
다음은 후방 카메라다. 후방 카메라도 이전 모델인 QXD7000과 유사한 모습이지만, 화각이 전 모델에 비해 넓어졌다. 매뉴얼 기준 QXD7000은 160도이지만, QXD8000은 172도로 거의 모든 후방 화각의 녹화가 가능하다. 이런 특징은 추후 사용기에서 별도로 다루겠다.
끝으로 어디서든 원격으로 블랙박스를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는 커넥티드 서비스도 선택할 수 있는데, 스마트폰의 앱이나 PC를 이용해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2. 아이나비 QXD8000 프리미엄 스토어 설치 후기
필자는 방배동에 위치한 아이나비 프리미엄 스토어에서 블랙박스를 설치했다. 평일과 토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영업하지만, 매월 홀수 번째의 토요일은 휴무기 때문에 예약 전에 참고하자.
필자는 낮 시간대에 차를 가지고 방문했는데, 큰 대로변에 위치해 있어 바로 찾을 수 있었다. 건물 뒤쪽에 마련된 주차장에 주차하고 매장 안으로 들어갔다.
매장 1층에서 직원분의 도움을 받아 접수를 할 수 있었으며, 예약 시간에 맞춰 방문했기 때문에 바로 작업을 시작해 주셨다.
약 1시간 후, 작업이 완료되었다는 말을 듣고 차로 향했다. 블랙박스는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는데, 필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해 주시는 것을 보고 꼼꼼하게 봐주고 계시다는 생각이 들었다. 블랙박스 부착 후 커넥티드를 포함해 기본적인 조작 안내를 해주셔서 매뉴얼을 확인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었다.
3. 아이나비 QXD8000 활용기 - UNV(울트라 나이트 비전) 4.0 기능
설치도 마무리되었으니 아이나비 QXD8000의 기능을 살펴볼 차례다. 이번 포스팅을 포함해 추후 포스팅에서도 몇 차례 주요 기능들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겠다. 그중에서 처음 소개할 기능은 UNV 4.0이다. UNV 4.0은 울트라 나이트 비전으로 어두운 상황에서도 주변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울트라 나이트 비전을 설정하는 방법은 [환경설정] - [카메라]의 주행 모드에서 선택할 수 있다. 참고로 울트라 나이트 비전, HDR, 안개 보정, 번호판 식별 강화 기능은 동시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의 주행 환경에 맞춰 선택하면 되겠다.
그렇다면 주행 시 나이트 비전의 효과는 어떨까? 화면의 상단은 울트라 나이트 비전 기능을 OFF 했을 때이며, 하단은 ON으로 설정했을 때의 모습이다. 1차선까지 밝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인도 위의 사람도 식별이 편리해졌다.
멀리 가로등 하나가 있는 수준의 어두운 환경에 주차를 했을 땐 극저조도 나이트 비전 기능을 위해 픽셀비닝이 작동된다. 위의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듯, 어두운 환경에서 울트라 나이트 비전의 유무에 따라 상황 파악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필자가 밝은 옷을 입어서 그나마 확인 가능했지만, 어두운 옷을 입었다면 파악이 쉽지 않았을 것 같다. 골목 등 어두운 곳에서 자주 주차를 한다면 극저조도 비전 기능이 도움 될 것이다.
4. 아이나비 QXD8000 활용기 - 안개 보정 기능
기상청에 따르면 도로 환경에서 안개는 365일 중 100일 이상 발생된다고 한다. 필자도 고속도로나 강 또는 바다 인근에서 극심한 안개를 경험한 적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가시거리도 제한되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함께 높아지는데, 안개 보정 기능을 활용한다면 사고 발생 시의 정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강, 호수, 바다 근처에서 거주하거나 캠핑, 차박 등 아웃도어 환경에 자주 노출된다면 안개 보정 기능을 추천한다.
위의 사진은 필자가 최근 거제에 방문했을 때의 사진이다. 바닷가이기도 하고, 오전에 비가 내린 덕분인지 안개가 짙게 낀 모습인데 이렇게 안개가 끼었을 땐 블랙박스의 안개 보정 기능이 더욱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다만, 아쉽게도 거제에서는 렌터카를 이용했었고, 최근 필자가 다니던 지역은 안개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QXD8000의 성능은 추후 확인해 보겠다.
대안으로 비가 오는 날 안개 보정 기능을 사용해 봤다. 비가 계속 내리고, 노면이 젖은 상태라 주행 중에 노면의 물방울들이 튀어 번호판을 가리는 상황이 펼쳐졌다. 필자도 반신반의하며 안개 보정 기능을 사용해 봤는데, 안개 보정 기능을 ON으로 두고 찍은 영상에서 번호판 식별이 좀 더 먼 거리까지 가능했다. 상단이 기능을 OFF 했을 때이며, 하단이 ON 한 상태다. 위 사진은 3차선 차량의 번호판 식별이 가능했던 위치를 캡쳐한 것이니 참고하자.
5. 아이나비 QXD8000 활용기 - 번호판 식별 강화 기능
앞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유튜브 등을 통해 블랙박스 영상을 많이 접하게 되는데, 개인적으로 번호판 식별이 어려워 뺑소니, 난폭운전 등 처벌이 어려웠던 사례가 기억에 남는다. 아이나비 QXD8000에는 번호판 식별 강화 기능이 있는데, 해당 기능을 활용한다면 억울한 상황을 조금이나마 방지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번엔 번호판 식별 기능을 이용해 주행 중 영상을 확인해 보자.
차량 주행 시 번호판 식별 기능을 작동시켜 보았다. 번호판 식별 기능을 적용하지 않은 영상에서는 차량의 조명 때문에 번호판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번호판 식별 기능을 사용하면 영상의 조도를 자동으로 조절해 줘 번호판 식별이 좀 더 용이했다. 차량 속도 등의 변수에 따라 여전히 확인이 어려운 경우도 존재했지만, 기존 영상에 비해 식별 가능한 경우가 훨씬 늘어났기 때문에 만족스러웠다.
6. 종합
지금까지 아이나비 QXD8000 블랙박스 개봉부터, 프리미엄 스토어에서 설치, UNV 4.0 기능, 안개 보정 기능, 번호판 식별 강화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치 후 사용한 기간은 1주일 남짓이지만 상당히 만족하며 이용하고 있다. 1주간 다른 기능들도 사용해 보며 다음 포스팅을 통해 추가로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