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간단히 외관을 살펴보았던 1편의 리뷰와 달리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성능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1편 때 보았던 스펙테이블 다시 한번 복습! ㅎㅎ
■ 스펙 확인 & 벤치마크
CPU-Z를 통한 스펙을 확인해보았습니다.
DDR5 메모리를 지원하여 더욱 높아진 클럭으로 지연 현상을 없애고 초고속 로딩 속도를 자랑하며 GPU의 경우 내장 그래픽인 인텔 그래픽과 NVIDIA 그래픽카드 2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CPU 벤치 점수는 싱글 634.4, 멀티 5223.6 으로 확인이 되네요.
다음은 GPU-Z에서 확인한 RTX 3060과 인텔 아이리스 Xe의 스펙입니다.
요즘 노트북은 기본적으로 옵티머스 기능이 들어가 있는데요. 게이밍 유저라면 이 옵티머스 기능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분이 계실겁니다.
일반적으로 프레임은 디스플레이에 도달하기 전에 CPU의 통합 그래픽을 통해 경로가 설정되어 전송되는데 이런 방식의 경우, 배터리 수명은 향상될 수 있지만 GPU가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방해하는 원인이 됩니다.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MUX Switch 입니다.
자체 소프트웨어인 Armoury Crate를 통해 GPU 모드를 통해 설정을 하실 수 있는데, 게임 지연을 줄이며 성능을 평균 15% 향상 시킨다고 합니다.
다음은 3DMARK 입니다.
파이어 스트라이크와 타임 스파이 2가지를 테스트 하였으며 각 점수는 사진과 같습니다.
시네벤치 R23 입니다. 최대 4.7GHz의 동작속도로 돌아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싱글 1762, 멀티 13457으로 확인이 되네요.
확실히 이전 11세대보다 더 빠른 성능, 향상된 3D 렌더링 워크로드의 바이브리드 디자인 퍼포먼스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내장된 스토리지인 SSD의 경우 마이크론 3400 모델로 확인이 되네요.
프로그램에서는 확인이 안되지만 메인보드와 같은 4세대 PCIe 4.0으로 최대 16GT/s의 속도를 뽑을 것으로 보이나 테스트를 해봐야 알 것 같네요.
크리스탈디스크마크를 통해 256MiB와 1GiB 2가지 테스트를 해보았으며 결과는 사진과 같습니다.
본격적인 게임 벤치마크를 시작해보겠습니다.
처음으로 테스트한 게임은 마블 스파이더맨 리마스터이며 평균 프레임은 76으로 끊김 없이 원활하게 플레이 할 수 있었습니다.
GPU 전력인 TGP 또한 110대를 유지하는 모습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두번째는 파 크라이6 이며 이 또한 평균 프레임은 70대로 QHD 해상도임에도 불구하고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하였습니다.
세번째는 사이버펑크 2077이며 FHD와 QHD 2가지 벤치마크를 테스트하였습니다.
프리셋을 최고사양으로 둬서 그런지 QHD 상태의 프레임은 평균 프레임이 28.99로 거의 대부분의 경우 30대 프레임을 유지하다가 오브젝트가 많아지는 부분에서 10대로 프레임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FHD 상태에서는 대체로 플레이에 지장 없을 정도로 원활한 프레임을 볼 수 있었습니다.
게임을 하다보면 노트북 특성상 키보드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CPU, GPU가 열 받으면 자연스럽게 뜨끈해지기 마련인데요.
보통은 열을 받으면 쓰로틀링이 걸리면서 성능이 하락이 되겠지만, ROG 인텔리전트 쿨링으로 쓰로틀링 없어져서 성능 하락 없이 안정적으로 게임을 할 수 있어서 굉장히 만족스러웠습니다.
이렇게 프리미엄노트북인 ASUS ROG Strix G733Z을 알아보았는데요.
얇은 베젤과 17인치로 더 넓어지며 QHD에서 최대 240Hz까지 지원하여 게임을 할 때 최적의 사용감을 제공하여 사PC 매니아를 위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인 ASUS의 섬세함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모바일 12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특징 중 하나인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최초 적용 또한 고사양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게임 뿐만 아니라 전문 작업자들까지 관심을 가질 것으로 보일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요. 무게가 무겁지만 휴대용이 아닌 한 곳에서 여러 작업에 활용이 가능한 점을 알려드리며 프리미엄 노트북을 찾고 계신 분들에겐 매력적인 노트북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