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품 소개
슈어는 대표적인 음향기기 회사로 이어폰, 헤드셋, 마이크 등으로 우리에게 상당히 친숙한 브랜드입니다. 특히, 슈어 마이크 제품의 경우 많은 사랑을 받아와 업계 표준 수준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현재에도 많은 사용자들이 슈어 마이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개인 방송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슈어 MV7의 새로운 색상인 화이트 버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슈어 MV7 마이크의 상자에는 제품 외관과 주요 특징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주요 특징으로는 자동 레벨 모드, 터치 패널, 헤드폰 모니터링, 전용 앱 및 소프트웨어 지원 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정품의 경우 상자 뒤쪽에는 슈어 국내 유통사인 삼아사운드 스티커가 붙어 있으며 해당 스티커를 제거하면 개봉이 가능합니다.
상자를 개봉하면 구성품들이 가지런히 들어있습니다. 구성품으로는 마이크를 제외하고 간단 매뉴얼, USB A 케이블, USB C 케이블, 3/8 to 5/8 젠더 나사가 들어있습니다.
3/8 to 5/8 나사가 함께 제공되기 때문에 3/8인치 지원 마이크 스탠드나 암 스탠드에도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기본 구성품에 스탠드는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을 위해서는 스탠드를 별도로 준비해야 합니다.
슈어 MV7 화이트의 외관은 상당히 깔끔한 편입니다. 위쪽에 팝필터 중간에 터치 패널이 위치한 형태로 기존 MV7과 동일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색상만 WHITE NOIR로 변경되었습니다.
옆쪽에는 마이크 각도를 조절 후 조일 수 있는 나사가 양쪽으로 적용되어 있어 마이크의 각도 조절 후 나사를 조여주면 됩니다. 다만, 마이크 각도 조절 시 거치대에 걸리기 때문에 360도 회전은 불가능합니다.
아래쪽에는 SHURE 로고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터치패널 부분인데, 게인이나 헤드셋 볼륨 상태 및 조절, 음소거 전환 등이 가능하며 터치로 조작이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마이크가 연결상태면 LED가 들어와서 상태 확인이 가능하며 마이크 게인 조절 상태일 경우 초록색, 모니터링 헤드셋 볼륨 조절일 경우 주황색 LED가 들어오고 전환은 한 쪽에 있는 마이크/ 헤드셋 모양을 터치해 주면 됩니다.
마이크 음소거 버튼을 터치하면 그 위 LED에 빨간색 LED가 들어오며 이 상태에서는 녹음이 되지 않습니다.
마이크의 설정을 잠그고 싶은 경우 음소거 버튼과 헤드셋/마이크 전환 버튼을 2초 이상 길게 누르면 되며 잠금이 되었을 경우에는 자물쇠 모양 위에 LED가 들어옵니다.
터치 패널로 전반적인 마이크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상태를 LED로 바로 표시해 주기 때문에 상당히 직관적입니다.
팝필터 부분은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다른 팝필터를 구매하여 장착할 수 있습니다.
슈어 MV7 화이트의 반대면에는 단자들이 모여있습니다. XLR, USB, 모니터링용 오디오 단자가 있으며 오인페에 연결해서 사용도 가능하고 USB 단자를 통해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직접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기본 케이블로 USB A와 USB C 케이블을 모두 제공하고 있으며 케이블 길이는 3m 수준이기 때문에 길이는 크게 부족하지 않습니다.
다만, XLR 케이블은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해서 사용하려고 하는 분들의 케이블을 따로 준비해야 합니다.
그리고 마이크 구성품에 기본 스탠드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인 마이크 사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스탠드를 구매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슈어 MV7 화이트는 기존과 다르게 WHITE NOIR 색상이 적용된 것이 외관상 큰 특징인데 블랙 앤 화이트 색상과 깔끔한 디자인이 잘 어울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분들이 외관상으로 만족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PC 앞에 암 스탠드를 이용해 설치한 모습입니다. 슈어 MV7의 경우 단일지향성 마이크이기 때문에 앞쪽 부분만 수음이 가능해 사용자가 있는 방향을 보도록 마이크의 각도를 적당히 조절해 주면 되며 터치 패널은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위쪽을 향해주면 됩니다. 케이블의 경우 약 3m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대부분의 상황에서 크게 부족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마이크 뒤쪽에 모니터링을 위한 3.5mm 단자가 있으므로 헤드셋이나 이어폰 등 사용하기 편한 기기를 연결해 주면 사용 준비는 끝납니다.
PC뿐 아니라 최근 출시한 대부분의 스마트폰에 연결해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USB C 케이블을 이용해 스마트폰의 type-C 단자에 직접 연결하면 사용이 가능하며 아이폰 역시 라이트닝 변환 젠더를 이용하면 사용 가능합니다.
참고로 암 스탠드 외에 5/8인치나 3/8인치를 지원하는 삼각대 등에 연결해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삼각대가 3/8인치나 5/8인치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1/4인치 변환 젠더를 사용하면 연결할 수 있습니다.
PC에서 사용 시 ShurePlus MOTIV 소프트웨어를 통해 마이크 게인, EQ, 리미터, 압축기 등의 설정을 사용할 수 있고 프리셋 설정 역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오토 레벨 모드도 지원하기 때문에 간단한 설정을 원하는 분들의 경우 오토 레벨 모드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마이크의 게인 등은 마이크의 터치 패널에서 조절이 가능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조작이 더 편리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EQ나 압축기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몇 가지 세팅을 해보고 보다 자신의 마음에 드는 설정을 해 두면 만족스러운 사용이 가능합니다.
스마트폰에서도 ShurePlus MOTIV 앱을 다운로드해 PC와 동일하게 세팅이 가능하며 PC 소프트웨어와 거의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앱의 경우 자체에서 녹음 기능도 지원하고 있는데 녹음하기 전에도 현재 수음 레벨이 앱 자체에 표시되기 때문에 녹음 전에 보다 적절한 세팅을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스마트폰에 USB를 연결하여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 간혹 외부 마이크를 통한 수음이 제대로 안 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상황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다만, ShurePLUS MOTIVE 앱을 사용할 경우(매뉴얼 모드) 스마트폰 기본앱에 비해 녹음되는 소리가 작기 때문에 추후 소프트웨어를 통한 보정이 필요합니다.
위와 같이 키보드 위에 마이크를 올려 타건 소리 녹음을 세팅했습니다. 비교적 고르게 녹음이 가능하도록 마이크 위치는 문자열 중간 정도에 위치하게 하였으며 디지털카메라에 연결한 붐 마이크와 동시에 녹음하여 소리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MV7 USB 연결로 사용)
디지털카메라의 내장 마이크와 비교 시 소리 차이가 너무 심해 제대로 된 비교가 되지 않아 디지털카메라에 붐마이크 연결 후 동시에 녹음하여 비교한 영상입니다. 소리 크기는 최대한 비슷하게 세팅하였으며 노이즈 제거 설정 사용 안 함, EQ는 2가지 모두 동일하게 세팅한 상태입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부분에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슈어 MV7이 보다 부드러운 소리를 들려줘 개인적으로도 더 좋다고 느꼈습니다.
슈어 MV7과 스마트폰 내장마이크의 녹음 비교입니다. (MV7 USB 연결로 사용) 노이즈 제거 세팅 및 EQ 설정은 사용하지 않았으며 볼륨만 2가지 소리를 동일하게 맞추었습니다.
최근 스마트폰 내장 마이크의 성능이 상당히 준수해졌기 때문에 스마트폰 내장 마이크로 녹음한 소리도 나쁘지 않지만 슈어 MV7도 깔끔한 소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다이나믹 마이크 슈어 MV7 화이트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깔끔한 디자인과 화이트 색상이 잘 어울리는 것이 인상적인 제품이었으며 실제 여러 소리를 녹음할 때 가장 체감되는 부분은 바로 매우 적은 노이즈였습니다. 노이즈가 거의 녹음되지 않고 마이크 가까이에 있는 원하는 소리만 집중적으로 수음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 통제가 완벽하지 않은 상황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한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USB와 XLR를 모두 지원하는 만큼 사용 환경에 따라 PC, 오디오 인터페이스, 스마트폰 등에 다양하게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며 전용 소프트웨어와 앱을 지원하여 간편하게 마이크를 세팅할 수 있는 점도 매력적이었습니다.
물론, 아쉬운 점도 있었는데, 기본 구성품으로 연결 가능한 미니 삼각대가 없다는 점, 스테레오가 아닌 모노라는 점은 다소 아쉬웠습니다.
하지만 음성 품질이나 노이즈 측면에서 좋기 때문에 개인 방송을 진행하는 분들이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큰 매력이며 세팅이나 설정 역시 상당히 편하기 때문에 장점 역시 많은 제품입니다.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방음시설 등이 없어 완벽한 통제가 어려운 환경에서 녹음 등이 필요한 분들에게 상당히 매력적인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