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제품은 초정밀 7nm 공정으로 싱글/멀티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는 AMD 라이젠5-4세대 5600(버미어)를 포함한 조립 컴퓨터에 대하여 확인해 보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사무용으로( 일반 게임용 포함 ) 저렴하게 조립해 볼 수 있는 구성이 아닌가 싶은데요. 간단히 실사용을 통하여 확인해 보았습니다. 참고로, 그래픽카드는 제가 사용중인 모델입니다.
케이스는 마이크로닉스 EM2-STEREO 입니다. 보급형 케이스이며 LED팬 3개를 기본으로 지원하고 전면이 스피커로 보이는 볼륨 디자인이라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700W 80PLUS 230V EU 파워를 구성하여 보급형 그래픽카드라면 충분히 활용해 볼 수 있는 용량입니다.
메인보드는 AMD 라이젠5-4세대 5600(버미어)와 무난하게 사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ASUS PRIME B550M-A 입니다. 간단히 오버클럭 옵션을 지원하고 있지만 레이스 쿨러를 활용하기 때문에 기본으로 설정하여 사용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기본으로 TPM 2.0 UEFI 지원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MD 라이젠5-4세대 5600X와는 6코어/12쓰레드, L3 캐시 32MB, TDP 65W까지는 같구요. 기본클럭 3.5GHz( vs 3.7GHz )에 부스트클럭 최대 4.4GHz( vs 4.6GHz )이므로 클럭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벤치마크 CPU 점수가 일반 설정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습니다.
전체적인 조립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있으며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AMD 라이젠5-4세대 5600X를 오버하지 않고 비교해 보면 AMD 라이젠5-4세대 5600 점수는 3DMARK CPU Profile MAX 쓰레드 점수가 5830( vs 5724 )이며 CINEBENCH 점수는 4422( vs 4283 )를 보여 높았습니다. 그리고 운영체제용으로 PCIe4.0 x4 지원하는 SSD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M.2 NVMe 500G를 사용하여 점수가 높게 나옵니다.
MS 오피스와 단순 동영상 편집과 관련하여 빠른 작업이 가능했구요. 장착한 그래픽카드 스펙이 높지 않아서 조금 아쉽지만, 점수 결과는 상대적으로 CPU와 관련한 Physics 점수가 Fire Strike 24,038점으로 확인이 됩니다. 그리고 FHD 해상도 설정에 따른 프레임 상승도 크지는 않았지만 일부 게임 실행은 가능하여 즐길 수 있었습니다.
끝으로, AMD 라이젠5-4세대 5600을 활용한 조립 컴퓨터 구성으로 간단히 성능을 체감해 보았습니다. 일반 레이스 쿨러를 사용하지만 그다지 CPU 온도가 높지 않았으며 그래픽카드를 메인스트림급 구성으로 추가해 본다면 사무용이나 게임용으로 활용하기에 가성비 좋은 조립 구성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67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