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엠스토리입니다. 작년 출시한 RTX 40시리즈는 새로운 NVIDIA Ada Lovelace 아키텍처 기반으로 뛰어난 성능과 발열제어, 그리고 새로운 DLSS3를 탑재하여 많은 게이머들에게 관심을 받아왔는데요, 전 세대 플래그십과 비교하더라도 4K 해상도에서 RTX4080은 약 23%, RTX4090은 무려 70%에 달하는 성능 향상으로 4K 해상도를 정복한 GPU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발매 초기 높은 출시가로 선뜻 구매하기엔 진입장벽이 높았는데요 올 1월에 MSRP 799$의 RTX4070TI를 출시하였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국내 유일 그래픽카드 제조/유통사인 이엠텍에서 출시한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Ti GAMING PRO를 만나볼텐데요, 이번 RTX40 시리즈 출시와 함께 GAMING PRO 라인업이 새롭게 론칭되었습니다.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Ti GAMING PRO 소개
이엠텍 RTX40 시리즈는 현재 GAMEROCK과 GAMING PRO 두 가지 라인업으로 출시되어 있으며, RTX4070TI GAMING PRO는 하우징 상단과 측면에 RGB LED가 적용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NVIDIA Ada Lovelace 아키텍처 기반으로 7680개의 쿠다 코어와 베이스 클럭은 2310Mhz, 부스터 클럭은 2610MHz이며 GDDR6 12GB의 메모리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주)이엠텍아이엔씨에서 제조/유통을 맡고 있으며, AS는 3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구성은 그래픽카드 본체와, 5V 3PIN ARGB 케이블, 16PIN to 8+8PIN 변환젠더, 매뉴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Ti GAMING PRO 외형
먼저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Ti GAMING PRO의 외형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래픽카드의 크기는 328.9mm x 132.9mm x 63.4mm로 70 라인업 답지 않게 두께만 본다면 3슬롯을 넘어가는 굉장한 덩치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기본 아이언 블랙 색상의 하우징에 사선으로 실버 그레이와 패턴들이 포인트를 주고 있습니다.
외형이 커진 만큼 쿨링 성능도 향상되었는데요 3개의 90mm Gale Hunter FAN이 탑재되어 있으며, 공기흐름을 위해 Y자 형태로 설계된 히트싱크 핀 그리고 내부에는 대형 구리 베이스를 장착하였습니다. 그래픽카드 온도에 따라 쿨링팬이 동작하는 제로팬기술이 기본 탑재되어 웹서핑이나 문서작업 시에는 정숙한 환경을 유지해 줍니다.
출력 포트는 3개의 DP포트와 1개의 HDMI 포트가 제공되며 4K 해상도로 4개 동시 출력, 8K 해상도는 최대 2개까지 지원합니다.
RTX40 시리즈부터 적용된 16핀 전원 포트와 그 옆에는 메인보드와 동기화할 수 있는 3핀 ARB 커넥터가 위치해 있습니다.
백플레이트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되어 있으며 안쪽의 에어홀은 그래픽카드 냉각 성능 향상을 위해 꽤 넓은 면적으로 타공되어 있습니다.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Ti GAMING PRO 설치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Ti GAMING PRO의 성능 테스트를 위해 시스템을 아래와 같이 세팅하였으며, AMD 5600X는 PBO와 리사이즈바를 활성화하였습니다. 메모리는 3200MHz로 오버클럭 된 삼성 2666 32GB x 2개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시스템 구성
CPU : AMD Ryzen5 5600X
MB : ASUS ROG STRIX B550-A GAMING
RAM : 삼성 DDR4 2666MHz 32G * 2ea (OC 32000MHz)
VGA :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Ti GAMING PRO
POWER : NZXT C850 80Plus Gold Full Modular
CASE : Antec P20C ELITE
운영체제 : WINDOWS 11
드라이버 버전 : Nvidia Geforce Game Ready Driver 528.49
테스트에 사용된 CPU가 5600X 다보니 QHD 이하 해상도에서 38.5%의 병목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분들의 벤치마킹 결과와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벤치마킹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Ti GAMING PRO 성능 테스트를 위해 3DMARK의 벤치마킹을 구동하였으며, 먼저 DX12 기반의 SPEEDWAY 결과입니다.
타임 스파이는 일반 모드와 익스트림 모드 두 가지 모두 테스트를 했으며 일반 모드는 21914점, 익스트림 모드는 10559점이 마크되었습니다.
파이어 스트라이크는 일반, 익스트림, 울트라 세 가지 모두 구동하였으며 결과는 각각 53282점, 26339점, 13097점이 나왔습니다.
마지막으로 레이트레이싱 성능을 측정하는 포트로열 스코어는 13653점이 마크되었습니다.
온도 측정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을 구동하면서 온도를 측정하였습니다. 거대해진 방열판과 개선된 쿨링팬으로 아이들 시 29.9도, 평균 48.6도 최대 66.1도가 측정되었는데요 역시 꽤 만족스러운 쿨링 성능을 보여줍니다.
게임 성능 테스트
앞서 잠깐 말씀드렸지만 AMD 5600X가 탑재된 시스템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기에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그래픽카드 성능을 제대로 뽑아주진 못하지만 4K 해상도에서의 게임 성능과 DLSS3 적용 시 프레임 성능 변화를 참고해 주세요.
RTX40 시리즈부터는 DLSS3 기술이 새롭게 적용되어 현재 새롭게 출시되는 타이틀 또는 기존 타이틀들도 DLSS3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사이버펑크 2077과 위처3, 고담나이트, 플라이트시뮬레이터 등을 플레이하면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레이트레이싱/DLSS3 테스트
많은 연산량을 필요로 하는 실시간 광원 처리 기술인 레이트레이싱은 게임에 적용하면 프레임 드롭이 꽤 높은 편인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AI 렌더링 기술인 DLSS(Deep Learning Super Sampling) 기능과 함께 사용합니다. RTX40 시리즈부터 DLSS와 DLSS Frame Generation 기능을 결합한 DLSS3를 지원하는데요 DLSS3 적용 전후 성능 차이를 테스트하였습니다.
사이버펑크2077의 경우 4K해상도에서 레이트레이싱을 활성화하면 DLSS를 미적용했을때 20프레임 미만으로 게임을 플레이할수 없을정도인데요, DLSS를 적용하면 평균프레임 42로 2배정도 상승하게됩니다. DLSS Frame Generation를 활성화하면 DLSS2 대비 2배 이상의 프레임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리뷰를 마치며
RTX308TI를 가지고 있어서 딱히 업그레이드의 필요성을 못느끼고 있었는데 이번 리뷰를 진행하면서 제 생각이 조금 바뀌게되었는데요, RTX를 활성화 하고도 4K 해상도에서 80프레임 이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DLSS3의 성능에 매료된것 같습니다.
특히 이엠텍 RTX 4070 Ti GAMING PRO는 강력한 성능에도 최대 60도 중반으로 안정되게 온도를 유지해주며, 하우징 상단부와 측면에 화려한 ARGB LED로 RGB감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AS 삼대장 이엠텍의 3년 무상 고객지원 서비스는 이 브랜드를 선택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상 강력한 게이밍 이엠텍 지포스 RTX 4070 Ti GAMING PRO 성능 테스트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