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I GF시리즈 Sword GF76 A12UE 게이밍 노트북 사용한지도 이제 3주 가까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웠고, 가격대비 생각한다면 큰 문제가 될 수준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그래도 실질적으로 게임 플레이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는 알아야 하니까..영상으로 주로 담아 보았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PC대부분들이 게임용 그래픽카드가 아니나 엔비디아의 쿼드로 그래픽카드가 장착되어 있어서 게임 성능이 나오지 않는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서 성능은 RTX3060이라고 하더라도 DLSS을 지원하지 않는다든가 하는 문제들이 발생을 하기도 합니다. 물론 성능적인 문제도 있지요
그래서 게이밍 노트북을 따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맥북프로와 함께 말이죠 좋은 기회가 되어서 MSI 게이밍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기는 합니다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생각보다 조용했던 17인치 게이밍 노트북이라고 하면 될까요
자 12세대 i7 프로세서에 RTX3060 랩타 GPU가 들어가 있습니다. TGP 105W 제품으로 성능도 전력에 비례한만큼 잘 나올것으로 생각했고 벤치상에서도 같은 코어를 사용한 다른 랩탑 제품보다도 높은 성능을 보여주기는 했습니다. <일반 데스크탑용 RTX3060 TGP: 180W>
게이밍 노트북이라는 점도 있고, 소음 자체가 많이 발생을 하는 만큼 음장 기술적인 면에서도 노이즈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마이크 사용시에도 장점이 되겠죠....서두가 길었습니다만 실제 게임 플레이 해보겠습니다.
플레이는 아니지만 툼레이더를 이용해서 벤치 테스트 정도...그래픽 성능은 높게로 해서 측정 했습니다.FHD 인만큼 전반적인 성능면에 있어서도 100프레임 초반대로 끊김없는 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
요즘 많이 하는 호그와트 레거시도 옵션값 대부분은 중간값으로 설정하고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DLSS 는 균형으로 프레임 최대한 나오는지로 테스트 진행
영상에서도 확인은 가능하겠지만, 60프레임 방어는 충분히 가능 합니다. 평균 80프레임이상으로 뽑아주면서 게임 진행과 광원효과를 감사하는데 있어서는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싸펑 테스트도 한번 해볼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제 하지 않는 게임이기는 하지만 고성능 게임 체크하는데 있어서는 좋은것 같아서 초반 플레이만 간단히 진행해보았습니다.
레이트레이싱 활성화 하고 DLSS는 앞서 했던 균형으로 설정하고 테스트 진행
사실 60프레임 이상만 나오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만, 광원 효과를 줄여서 진행하면 더 나을듯 합니다
콜오브듀티 ㅎㅎㅎ 추억 돋아서 해보았는데 리마스터가 되었더군요...아악...높은 주사율을 가진 화면이라면 역시 FPS죠
MSI GF시리즈 Sword GF76 A12UE 게이밍 노트북은 자체적으로 크로스헤어를 표시해주는 기능은 있지만, 총구 확대와 변화에 따라서 포인트가 따라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게임에 따라서 다를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만 144hz를 지원하는 화면과 높은 그래픽 성능으로 프레임을 확실하게 뽑아주면서 게임하는 즐거움이 더 커진것 같네요
참고로 저는 3D 멀미 있습니다. FPS 게임을 오래 못합니다. 이유는 잔상이 많거나 프레임이 낮아지면서 오는 현상인데 이를 방지하는것은 높은 프레임과 높은 주사율을 가진 모니터입니다.
이건 저만 그런것이 아닐겁니다. 그래서 눈의 피로를 낮출려고 한다면 평상시에도 높은 주사율로 모니터를 설정해서 사용하면 더 많은 프레임이 송출되기 때문에 눈이 따라가야 하는 잔상이 훨씬 줄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환경만 허락된다면 작업용 모니터도 높은 주사율의 모니터를 사용하고 싶은 욕심이 있습니다.
역시 게임은 총싸움이죠...
17인치 대화면에서 오는 시원한 화면과 144hz의 주사율의 장점..그리고 이를 뒷받침해줄만한 MSI GF시리즈 Sword GF76 A12UE 하드웨어 구성은...좋네요....
아 소음이 신경쓸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영상에서도 확인이 되겠지만, 소음이 올라오지 않습니다. 잘 구성된 가상서라운드와 함께 만들어졌고, 2개의 팬 시스템으로 GPU와 쿨링이 별도로 들어가면서 오는 장점이 아닐까도 합니다. 끝..~~~
- 본 포스팅은 MSI서포터즈를 통해 물품을 대여 받아 작성 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