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안무겁니..? 어, 가능해. "7950X 3D + A620M-HDV/M.2+"
안녕하세요 Walter입니다.
오늘은 4대 메인보드 브랜드 '애즈락'의 가성비 막내 라인업에 해당되는 'A620M-HDV/M.2+'보드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최근 게이밍 끝판왕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AMD 7000X3D 라인업은 3D V-CACHE 탑재로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면서도 낮은 온도와 전성비를 갖추어 많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저도 이에 맞추어 최근 메인 셋업 CPU를 7950X 3D로 교체하였는데요, 애즈락에서 출시한 A620M 보드가 이 끝판왕급 CPU에도 최적화되었다는 말을 듣고 설렘반 걱정반으로 리뷰를 진행해보았습니다.
TDP는 120W로 낮지만 3D V-Cache는 128MB로 늘어난 7950X 3D를 과연 가성비 보드 막내 A620M이 버틸 수 있을지,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명 : ASRock A620M-HDV/M.2+
1. 패키지외관 & 언박싱
먼저 패키지 외관입니다. 가성비 보드이지만 깔끔하고 심플한 외관 디자인에 후면부에 걸쳐 제품 스펙과 I/O 포트, Hyper M.2 슬롯, Dr.MOS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언박싱을 하면 나름 내부 구성품이 심하게 돌아다니지 않도록 패키지가 층을 이루어 메인보드를 잘 고정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구성품 & 상세스펙
ASRock A620M-HDV/M.2+는 M-ATX에 외관상으로 보이는 컬러는 다크 그레이와 블랙 색상의 투톤 조화가 눈에 띄었습니다. 6+1+1페이즈의 전원부가 탑재에 Dr.MOS로 전원부 구성을 단순화시켜 발열을 줄였는데 페이즈당 50A로 총 300A까지 출력을 낼 수 있습니다.
A620으로 향후 5년간 사용가능한 AM5 소켓을 지원하고, DDR5 램은 최대 64GB 용량과 6400Mhz 램오버와 EXPO를 지원합니다.
메인보드와 함께 제공되는 구성품은 I/O 쉴드와 설명서, SATA 케이블 2개, M.2 나사 3개가 있습니다.
CPU 보조전원은 8핀 하나에 DDR5 메모리 슬롯은 듀얼 슬롯으로 총 2개, SATA3 포트 4개, M.2 슬롯 2개 PCle4.0 슬롯 1개, 팬 커넥터 3개, USB 2.0 헤더 2개, 등이 있습니다. 가성비 보드인데도 4개의 SATA 포트와 2개의 M.2 슬롯을 지원하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추가로 M.2 WiFi 소켓도 지원하기 때문에 별매품인 M.2 와이파이 킷을 장착하면 와이파이도 최대 WiFi6E와 블루투스 5.3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애즈락
후면 I/O포트는 HDMI 포트 1개, DP 포트 1개, USB 3.2 C타입 포트 1개, USB 3.2 A타입 포트 3개, USB 2.0 포트 1개, 리얼택 RTL8111H가 사용된 1기가 랜포트, BIOS 플래시백 버튼 1개, HD 오디오잭 등이 있습니다.
오디오 칩셋은 리얼택 ALC897이 장착되었고, 아날로그 출력으로 7.1채널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상세스펙
출처 : 애즈락
3. 사용기
▶바이오스 & 애즈락 오토 드라이버 인스톨러
※시스템 사양※
-메인보드 : ASRock A620M-HDV/M.2+
-CPU : AM5 7950X 3D
-GPU : GTX 1060
-SSD : SK hynix P41
-RAM : G.SKILL Trident Z5 NEO RGB DDR5 6000 CL32 1.35V 32GB(16×2)/벤치마크는 16GB만 이용
바이오스는 직관적이고 간편한 UI로 제작되었고, 초기화면 하단을 통해 한글 GUI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스를 통한 EXPO 설정도 어렵지 않아서 초보자분들도 튜닝램을 사용하고 설정하기에 무리가 없어보였습니다.
대부분 윈도우를 설치하고 나면 3D chip등을 통해 일일이 드라이버를 잡아주고 설치하곤 하는데요, 애즈락 A620M-HDV/M.2+는 애즈락 오토 드라이버 인스톨러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드라이버를 업데이트 할 수 있었습니다.
▶벤치마크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테스트를 비롯, 씨네벤치 R23등의 벤치마크를 돌려보았습니다. 부하가 100% 걸린 7950X 3D를 견디는 보드의 온도가 20~40도를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보드 전원부 안전성과 온도는 굉장히 준수한 편이었습니다.
이래서 자신감있게 7000X 3D 라인업과의 조합도 충분하다는 홍보를 한 것 같기도 합니다.
SK hynix Platinum P41 2TB를 이용해 크리스탈 디스크마크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방열판이 없는 메인보드임에도, 45도에서 70도로 준수한 온도가 측정되었고, 읽기 7364.6MB/s, 쓰기 6679.6MB/s로 굉장히 준수한 결과값이 측정되었습니다.
4. 장단점
▶장점
1. 필요한 만큼의 전원부로 7000번대 끝판왕급인 7950X 3D를 장착해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다.
2. 가성비 보드임에도 4개의 SATA3 4포트와 M.2 슬롯 2개를 지원해서 저장공간에 대한 걱정이 없다.
3. 가격대비 준수한 포트구성을 지니고 있다.
4. 애즈락 오토 드라이버 인스톨러로 간편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5. 최대 64GB 용량의 6400Mhz DDR5 램을 지원한다.
▶단점
1. 보드에 RGB 헤더가 없어서 RGB 케이블을 보드에 직결할 수 없다.
5. 총평
총평입니다.
지금까지 'ASRock A620M-HDV/M.2+'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10만원대 초중반의 보드에 100만원에 가까운 끝판왕급 CPU인 AM5 7950X 3D를 장착하고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었다는 것에 사용용도에 따라 시스템 구성에 더 많은 비용절감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감성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면, 저렴한 보드로도 충분히 사용량을 충족시킬 수 있기에 굳이 비싸고 높은 급의 보드를 갈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따라서, 게이밍 킹의 권좌를 움켜쥐고 있는 AM5 7000X 3D 계열로 가성비 빌드를 구상중이신 분들에게 애즈락 A620M-HDV/M.2+를 소소하게 추천드리면서 오늘의 리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 이 필드테스트는 디앤디컴과 퀘이사존을 통해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