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테크라이프입니다. AMD에서 새로운 AM5 소켓이 적용된 CPU를 새롭게 출시하였는데요. 라이젠 7000 시리즈 라파엘의 경우 기존 AM4 소켓 메인보드는 호환이 안되다보니 새로운 메인보드도 같이 출시되었는데, 그 중 A620 메인보드의 경우 가격적인 부담감이 적어서 AMD 라이젠 7600 CPU 조합으로 합리적인 게이밍 PC를 구성하기 좋아서 인기가 많습니다. 과연, 기가바이트 A620M S2H 메인보드는 가성비 메인보드로써 어떤 매력이 있을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제품 사양
2. 제품 박스 및 구성품
구성품은 메인보드, SATA 케이블 2개, 사용 설명서, I/O 쉴드가 동봉되어 있습니다.
3. 제품 외형
GIGABYTE A620M S2H 메인보드는 230 x 225mm의 Micro ATX 폼팩터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성능보다는 가격이 우선되는 보급형 제품으로 전원부 방열판은 생략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CI-Express 슬롯은 총 2개이며, M.2 SSD 슬롯 1개와 SATA 포트 4개를 지원합니다.
[ PCIe 확장 슬롯 ]은 총 2개 입니다. PCI Express 4.0 x16 1개, PCI Express 3.0 x1 1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SATA 포트 ]는 총 4개 인데요. 최대 6Gb/s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 RAID 0,1,10 지원)
[ M.2 슬롯 ]은 총 1개 입니다. 2280 규격의 PCI-Express 4.0 x4 SSD를 지원합니다.
[ I/O 포트] 는 왼쪽부터 USB 2.0 x 2개, PS/2 방식의 키보드/마우스 겸용 단자, D-sub 출력 포트, Q-FLASH PLUS 버튼, USB 3.2 Gen1 2개, Display Port 및 HDMI 포트, 유선 네트워크 포트, USB 2.0 x 2개, 7.1 채널 오디오 포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메인보드 핀 헤더를 통해 USB 3.2 Gen1 2개, USB 2.0 4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Q-Flash PLUS로 간편하게 BIOS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FAT32로 포맷한 USB에 다운로드 받은 바이오스 파일을 'GIGABYTE.BIN"로 파일 이름을 변경한 후 USB로 복사합니다. 다음은, 메인보드에 24핀 주전원과 CPU 보조전원을 연결하고 메인보드 후면 I/O포트에 Q-FLASH Plus 기능이 적용된 USB포트에 USB를 삽입한 다음, Q-Flash Plus 버튼을 누르면됩니다. 버튼을 누르면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시작되고 주황색 LED가 깜빡깜빡 점등되기 시작하는데 LED가 점등되지 않을 때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CPU 쿨링팬 헤더와 시스템 쿨링팬 헤더를 합하여 총 3개의 쿨링팬 헤더를 가지고 있으며, 조명 효과를 동기화하여 LED 기능을 컨트롤할 수 있는 5V, 12V RGB 헤더가 제공됩니다.
PCIe 5.0 슬롯에는 'EZ-Latch'라는 기능이 적용되어 있는데요. 바로 위쪽에 M.2 슬롯이 있어서 SSD에 방열판을 장착하거나 또는 대장급 공랭 쿨러를 사용하게되면 그래픽카드를 분리할 때 래치를 누를 공간이 나오지 않아서 분리할 때 다소 불편할뻔한 부분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M.2 슬롯 장착부도 특이하게 구성되어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나사로 고정하는 방식이 아니고 메인보드에 삽입되어 있는 일체형 플라스틱 고정 장치로 고정하는 방식이라 공구가 없어도 M.2 SSD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었습니다.
4. 전원부 구성
메인보드의 전원부는 사람의 심장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원 공급과 시스템 안전성을 책임지는 핵심 역활을 하기에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반드시 살펴보고 구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러 칩을 구성된 기존 전원부 디자인에서는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모스펫과 모스펫 드라이버를 거치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전력 낭비가 발생하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조사에 따라 천차만별의 전원부 구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원부는 5+2+2 페이즈 구성으로 전원부 모스펫은 onsemi 4C10N(하이-사이드) 1개 + onsemi 4C06N(로우-사이드) 1개로 2페이즈당 드라이버 IC가 1개로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12V 전압을 각 부품이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화하는 기능을 하는 PWM 컨트롤러는, 이전 스위칭 레귤레이터와는 다른 방식의 디지털 전압 조정 방식인 Richtek社 듀얼 아웃풋 방식의 RT3678BE 칩셋이 사용되었습니다.아날로그 방식 대비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PWM 전압 및 주파수 변조를 지능적으로 조절하여 시스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네요.
5. 인터넷 및 오디오 칩셋
이더넷은 10/100/1000Mb/s 속도를 지원하는 리얼텍 8111H 칩셋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오디오는 Realtek의 ALC897 칩셋이 적용되어 있으며 사운드 보강을 위한 별도 오디오 캐패시터와 레이어처리가 되어 있습니다.S/PDIF 헤더는 없어서 디지털 오디오 출력은 불가합니다.
6. 바이오스
첫 화면은 'Easy Mode'로 메인보드에 연결된 장치의 상태를 한 페이지로 정리하였습니다. 키보드에서 'F7' 키를 누르면 고급 모드로 변경되는데, 오버클러킹 또는 부팅 우선 순위와 같은 시스템에 대한 주요 변경 사항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Tweaker' 탭은 오버클럭을 원하는 유저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여기서는 CPU를 오버클럭하거나 메모리의 XMP를 활성화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에 연결된 쿨링팬의 작동속도를 수동으로 설정하거나 미리 구성된 프로파일을 활용하여 사용자 환경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Smart Fan 6 기능이 있습니다. 팬 커브를 시스템 환경에 맞게 편집하여 CPU 부하가 있을 때 발열을 잘 제어할 수 있습니다.
7. 벤치마크
컴퓨터 하드웨어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벤치마크 소프트웨어인 Cinebench R23 툴로 AMD Ryzen5 7600 CPU의 멀티 코어와 싱글 코어의 성능을 측정하였습니다. 멀티 코어는 13479점, 싱글코어는 1674점이 측정되었습니다.
렌더링 도구인 블렌더(Blender)툴로 Classroom 데모와 CD Project Red 에서 제작한 오픈 월드 액션 게임인 Cyberpunk 2077를 구동했을 때 CPU 코어 클럭의 변화를 살펴봤습니다. AMD Ryzen5 7600의 최대 코어 클럭인 5.1GHz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은 CPU 코어의 전압 변동폭을 살펴봤습니다.
다음은 AMD Ryzen5 7600의 CPU Package 소비 전력을 살펴봤습니다. 블렌더 구동시에는 최대 91W, 사이버펑크2077 구동시에는 최대 60W 정도 소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열화상 카메라로 렌더링 도구인 블렌더(Blender)툴로 Classroom 데모와 CD Project Red 에서 제작한 오픈 월드 액션 게임인 Cyberpunk 2077를 구동했을 때, 메인보드 VRM 주변부의 온도를 측정해봤습니다.
전원부 방열판이 제공되지 않아서 모스펫 온도가 걱정되었는데요. 아니나 다를까, 블렌더 구동시 최대 86'C의 온도가 측정되었습니다. 부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게임을 구동했을 때도 약 71C 정도의 온도가 측정되어 걱정이 되는 부분입니다.
지금까지 GIGABYTE A620M S2H 메인보드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현재 오픈마켓에서 10만원 초반대에 판매되는 메인보드 중에 HDMI & Display Port & D-sub 단자로 3개의 디스플레이 출력을 모두 제공하는 메인보드는 본 제품이 유일합니다.
AMD 5세대 라이젠 CPU, 라이젠 7000 시리즈 라파엘의 경우 AMD Radeon 그래픽이 내장되어 있어서 외장 그래픽카드 없이 다중 모니터 출력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AMD 라이젠 7600 CPU와 함께 합리적인 가격에 PC를 구성하고자하는 분들에게 선택지가 될만한 제품으로 보입니다.
해당 제품은 5월 22일 출시하여 6월 16일까지 출시기념 후기이벤트를 진행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