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집돌이혁이입니다. 본격적인 휴가철이 이제 막 시작될 것 같습니다. 많이 완화되었긴 하지만 여전히 코시국은 진행 중이라 바캉스를 즐기는 것 또한 조심스러운데요. 집콕이나 호캉스, 혹은 독채형 풀빌라 등에서 안전하게 휴가를 즐기고자 한다면 단연 미니빔프로젝트를 찾아보게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런 의미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캠핑용 혹은 가정용으로서 휴대하기 좋은 미니빔프로젝터 뷰소닉 M1+G2 제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성품: 본체, 파우치, 리모컨, 전원어댑터, 전원케이블, USB-C 케이블
이전 버전인 뷰소닉 M1+이라는 제품이 있는데 G2로 추가 네이밍이 기재되어 업그레이드된 이 제품은 안드로이드 OS가 내장된 제품입니다. 자체 OS가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영상 플랫폼인 넷플릭스나 유튜브 같은 앱을 외부기기 연결 없이 사용 가능하죠.
휴대성에 강점을 두고 있는 이 제품은 미니빔의 폼팩터 다운 사이즈입니다. 사실 필자도 미니빔을 여러 개 사용해 보았지만 크기가 너무 작아도 빔프로젝터로서의 피지컬에 따른 성능이 그리 만족스럽지 못하더라고요. 성인 남성이 쫙 핀 손바닥 크기로 아주 작은 사이즈는 아닌 적당한 규격이라 오히려 마음에 들더군요.
빔 자체에는 물리적인 스탠드가 내장되어 투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요. 이뿐만 아니라 스탠드를 본체로부터 끌어올려 세우면 자동으로 전원이 켜지는 방식이며 스탠드를 접어서 렌즈가 가려지면 빔프로젝트의 전원을 끌 수 있습니다. 휴대성이 강조된 제품답게 삼각대가 필요없다는 점이 굉장히 마음에 들었습니다.
본체 측면에는 직관적인 조작 버튼이 배열되어 있고 전용 리모컨을 위한 적외선 리시버와 배터리 용량을 실시간 체크할 수 있는 LED 인디케이터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또 다른 측면에는 열 배출구가 있어 어느 정도의 발열이 생겨도 과열 방지에 도움을 줍니다.
기본적인 해상도는 WVGA (854*480) 해상도를 지원하고 있으며 300 안시루멘의 밝기, 3만 시간의 램프 수명과 120,000:1의 명암비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이런 스펙에 뷰소닉 고유의 컬러 기술인 Cinema SuperColor+ 기술이 탑재되어 일반적인 미니빔과는 차별성을 두고 있는 것 같더군요.
일반적으로 빔프로젝터에 내장된 자체 스피커는 덤이라 생각하고 거의 안쓰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 제품에는 무려 하만카돈 브랜드 3W급 듀얼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고 단독으로 블루투스 스피커 용도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제품 무게는 700g이 채 되지 않는 중량인데요. 미니빔 치고는 가벼운 무게라고 하긴 어렵지만 블루투스 스피커 자체 내장을 비롯해 다양한 성능이 탑재되어 있는 만큼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무게입니다.
측면에 위치한 빨간색 택을 당기면 다양한 연결 포트를 볼 수 있는데요. 좌측부터 SD 카드 슬롯, 전원 단자, USB-C 슬롯, HDMI, 오디오 콤보, USB (reading) 단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체 내장된 배터리는 12,000mAh 대용량으로 완충 상태에서 약 2시간 30분 정도의 기본 재생이 가능하며 배터리 절전모드 시 최대 6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45W (15V/3A) PD 출력을 지원하며 보조배터리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대용량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것만으로도 빔프로젝터 이상의 멀티플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셈인데요. 일반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USB-C 타입의 태블릿, 혹은 노트북까지 충전할 수 있습니다.
전용 무선 리모컨을 통해 디테일한 컨트롤이 가능한데요. 단순한 리모컨 기능뿐만 아니라 뷰소닉 전용 앱 VcastSender를 이용하면 에어 마우스 기능으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간단한 테스트를 위해 빔프로젝터 전용 스크린에 빔을 영사시켜 보았습니다. 가시성은 기대 이상으로 괜찮더라고요.
메뉴 OSD 화면을 살펴보면 직관적인 SMART TV UI가 적용된 디자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메뉴 설정이 항목별로 나눠진 방식보다 큼직한 위젯 방식이 기능 컨트롤에 있어 눈에 잘 띄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타입입니다.
메뉴에서도 알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넷플릭스와 유튜브가 설치되어 있어 인터넷만 연결한다면 동영상을 시청하는데 무리가 없는 제품이기 때문에 캠핑장이나 야외에서 간편하게 사용하기 적합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번에는 USB-C 케이블을 이용하여 노트북과 빔을 연결해 보았습니다. 평소 작업실에서 일이 잡히지 않거나 휴식이 필요할 때 넷플릭스를 가끔 보기도 하는데요. PC 모니터 연결을 통한 환경보다 빔투사 환경이 훨씬 시청 감성이 돋보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케이블 커넥팅 방식은 업무 파트너와 화면 공유를 통해 협업을 위한 디스플레이 용도로 가끔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 혹은 태블릿을 통한 모바일 무선 미러링은 빔과 연결하려는 기기와 동일한 와이파이로 잡아주면 어렵지 않게 미러링 할 수 있는데요.
호환되는 앱이나 환경에서는 끊김 없이 작동 가능하지만 일부 스트리밍 앱, 혹은 저작권 보호가 요구되는 콘텐츠에서는 영상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으며 안드로이드 7이하에서는 무선 연결이 지원되지 않는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커넥팅에서 돋보이는 기능은 블루투스 연결 환경이었는데요. 일반적인 스마트폰 블루투스 페어링 기능과 함께 블루투스 스피커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커넥팅, 혹은 블루투스 아웃을 통해 외부 스피커 및 헤드폰을 연결하여 청취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문서파일의 가독성은 어두운 환경이 아닌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 식별이 가능했으며 일부러 암막 커튼을 치거나 불을 완전히 다 끄지 않아도 잘 보이는 수준은 되더라고요. ±40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오토 키스톤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영사 위치와 빔의 높낮이가 다르더라도 왜곡 없이 보정해 주는 영사 품질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가정용 미니빔프로젝터인 만큼 홈시어터 환경에도 잘 어울리는데요. 특히 아이 방 같은 곳에 설치하여 영사하면 일반 티비보다 집중력 있게 잘 보더군요. 교육용 콘텐츠 시청용으로 활용하기에도 괜찮다는 생각이 드네요. 혹시나 초점이 맞지 않는다면 렌즈 좌측에 있는 컨트롤러를 이용해 초점을 맞춰주시면 됩니다.
저는 요즘 홈 시네마 분위기를 내면서 영화 감상 혹은 넷플릭스 콘텐츠 정주행용으로 이용하고 뷰소닉 M1+G2 미니빔 프로젝트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종합하자면 가정용 혹은 캠핑용 등 환경을 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화질을 보장해 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커넥팅 지원 환경과 함께 일반 제품에서 보기 힘든 여러 기능들(보조배터리 활용, 블루투스 스피커 등)을 탑재하였기 때문에 가성비 미니빔으로 추천드리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