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품리뷰에 앞서
ASUS에서 ROG(Republic Of Gamers) 라인업의 Raikiri라는 제품명으로 Xbox와 Windows에서 사용가능한 컨트롤러를 출시 하였다고 하여, ASUS 게이밍 기어의 국내 총판인 제이웍스 코리아 제공으로 리뷰를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제가 보유하고 있는 게이밍 컨트롤러는 "XBOX 엘리트 컨트롤러 2세대", "XBOX 무선 컨트롤러 3세대/4세대", "Razer 울버린 크로마"와 주로 닌텐도 스위치와 PC용으로 사용하는 "8Bitdo Ultimate 블루투스 컨트롤러" 총 5개 입니다.
여기서 주력은 XBOX 엘리트와 Razer 울버린 크로마 제품으로 이번 리뷰에서는 ASUS Raikiri와 주력 컨트롤러를 비교하는 리뷰로 작성을 해 볼까 합니다.
2. 패키징과 외관
패키징은 일반적인 다른 제품들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최근 환경오염 문제로 플라스틱은 없이 모두 종이재질로 되어 있습니다.
구성품은 패드본체, 패브릭 USB-A To C 케이블, 설명서, 보증서로 되어 있습니다. 패브릭 케이블은 단자가 노란색으로 뭔가 도금 처리나 코팅 처리가 되어 있어 보이고, 케이블 타이와 보관 파우치와 함께 있습니다. 케이블 길이는 3m입니다.
외관은 전형적인 XBOX 컨드롤러의 레이아웃을 따르고 있으며, 알파벳 키배열 역시 XBOX의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습니다. 컨트롤러의 크기는 엘리트와 동등 수준이고, 울버린보다는 작습니다. 특이한 점이 파지 시에는 엘리트보다 작게 느껴 지고, 손크기가 F11로 큰편인 저에게도 촥! 감기는 느낌으로 편합니다. 손바닥으로 감싸는 부분의 원통 형상이 미세하게 작아서 파지가 편하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트리거와 범퍼 버튼 모두 XBOX 무선컨트롤러의 형상과 유사하며, D-PAD는 4세대 무선 컨트롤러 형태 입니다.
3. 버튼 및 아날로그 스틱 조작감
버튼의 클릭감이 재미 있습니다. L3/R3, D-PAD, XBOX로고키, 창전환/메뉴/캡쳐 버튼은 Razer에 적용된 기계식 스위치와 유사한 클릭감을 줍니다. 물론 공식적으로 기계식 스위치가 적용 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나머지 알파벳키 4개와 LB/RB는 맴브레인 키보드 입력 같은 느낌입니다. 이게 알파벳 키는 XBOX의 엘리트 컨트롤러와 유사한데, 범퍼키는 클릭감이 전혀 없이 눌려지는 느낌입니다. 저는 클릭감 있는 키감을 좋아하지만 이건 개인 취향 차이라 장점이나 단점이라 하기는 애매하네요.
#키조작은 링크된 블로그 중간의 동영상 참조부탁드립니다.
뒷면은 트리거 깊이 조절 버튼과 매크로 가능한 백패들 2개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백패들의 갯수가 아쉽긴 하지만 추후 출시되는 Raikiri Pro모델은 4개의 백패들을 적용되니 해당제품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트리거 깊이 조절은 엘리트 패드는 3단계, 울버린과 Raikiri는 2단계로 큰 아쉬움은 없습니다. 트리거 깊이 조절은 사진과 같이 깊이 1단과 2단의 차이가 커서 명확하게 구분이 됩니다.
4. 컨트롤러 기능 설정
일단 Raikiri 컨트롤러의 Setting값을 변경하려면, Windows PC나 안드로이드 폰에서 "Armoury Crate"라는 앱을 설치하여 설정해야 합니다. iOS 환경은 제가 별도로 확인을 해 보지 못했습니다.
Raikiri 컨트롤러는 공식적으로 XBOX인증을 받았지만, XBOX에 설정 앱이 없습니다. 이건 XBOX에서만 사용하는 유저들이게는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생각됩니다.
일단 저는 제가 진행했던 Windows 11 환경에서 설정환경으로 설명하겠습니다. Armoury Crate 앱을 깔고 동봉된 케이블로 컨트롤러와 PC를 연결하며 자동으로 제품을 인식하고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 합니다.
앱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은
1. 트리거 설정
: 트리고 동작 범위 조절 가능하게 한 기능인데 물리 적으로 깊이 조절 가능하여 활용성은 높지 않음.
2. 아날로그 스틱 데드존 및 반응곡선
: 내/외부 데드존 설정 및 반응곡선 설정(선형/감속/가속 등)
3. 백패들 키할당
: 임의의 키로 할당
4. 진동 설정
: 좌우 각각 2개씩 있는 진동 모터의 세기 조절 가능
5. 조명(이건 별도 메뉴)
: LED Light 동작 설정이며 PC에서 Asus Aura 기능 사용 하면 PC 부품과 연동 가능한 듯.
입니다.
5. 실사용 후기
주로 FPS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 입장에서 "배틀필드 2042", "레인보우식스 시즈", "헤일로 인피니티", "콜오브듀티 모던2", "에이펙스레전드"에서 주로 사용하였으며, 액션 게임에서의 사용성을 보기 위해 "GTA5", "사이버펑크2077", "위쳐3"도 조금씩 플레이 해 보았습니다.
실사용 플레이를 통한 느낌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아날로그 스틱의 반응곡선을 "선형"으로 설정하였는데도 엘리트나 울버린에 대비 미세한 가속이
느껴졌습니다. 이 부분은 반응곡선을 조금 더 조정하여 변경 가능한 지 추가 확인을 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2. 우려와 달리 모든 버튼의 입력은 명확하게 반응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데로 레이저 울버린은 오직
기계식 스위치 적용이 되어 입력이 명확하고, 엘리트패드의 알파벳키 씹힘등의 고질 문제로 가장
꼼꼼하게 확인한 부분입니다. 명확한 클릭감이 없던 알파벳 키와 범퍼키 모두 명확하게 입력 반응을
합니다.
3. 백패들 및 추가 매크로 버튼이 조금은 부족합니다. 최종 결론에서 자세히 이야기 예정이만, 백패들
2개는 사실 조금 부족 합니다. 물론 FPS가 아닌 게임에서는 굳이 없어도 된다고 하시는 게이머도
있지만, 있는데 안쓰는 것과 없어서 못쓰는건 큰 차이라고 생각 합니다.
4. 여분의 아날로그 스틱 부품이 없습니다. 어쩌면 이건 엘리트나 울버린 정도의 하이엔드급에 주로
적용 되어 있지만, Raikiri의 경우 상위 버전인 PRO 제품에도 반영이 되어 있지 않은 듯 보입니다.
둥근 스틱이나 길이가 조금더 긴 스틱이 있으면 여러가지로 활용성이 큰데 아쉬운 부분입니다.
5. LED Light가 멋스럽습니다. 기존 XBOX 컨트롤러나 미들/로우레인지 급에서는 적용 되이 않았던
기능으로 기존 PC에서도 최고 였던 ASUS의 AURA Light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좋습니다.
6. 3.5mm 잭을 통해 프리미엄 오디오를 지원한다고 하는데.. JBL 퀀텀 50읕 오해 사용해 본 결과
기존 커세어 HS75 헤드셋의 그것과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다만 컨트롤러 자체에 마이크 음소거
기능이 있어 빠르게 음소거를 할 수 있는 점은 좋았습니다.
6. 결론
위 리뷰에서 엘리트나 울버린 컨트롤러와 비교를 하였지만, 이 두제품은 하이엔드급으로 Raikiri와 비교 할 컨트롤러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Raikiri Pro면 직접 경쟁 상대인듯)
그렇다면 실재 시장에서는 "PwoerA의 퓨전 나노/스펙트럼/인헨스드", "터틀비치의 리콘 컨트롤러", "Gamesir의 G7/G7 SE", "8bitdo의 Ultamte For Xbox" 등의 XBOX 컨트롤러 등의 미들레인지들과 경쟁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국내에 형성된 미들레인지급 컨트롤러의 가격대를 생각하면 ASUS이 Raikiri 제품의 가격 경쟁력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하지만 제품 만듦세나 LED Light는 분명히 미들레인지 제품 이상의 경험을 제공하며 해당부분이 가격의 아쉬움을 상쇠할 수 있을것 입니다.
결국 하이엔드와 미들레인지 사이에 포지셔닝이 되어야 하고, 아래 2가지 이유
1. ASUS ROG라는 브랜드 Value와 그 만큼의 제품 만듦세
2. 별도의 설정 앱을 통해 세부적인 Setting 변경 가능
정도라면 충분히 접근해 볼 수 있는 제품이란 것입니다.
XBOX 엘리트나 Razer 울버린 컨트롤러의 가격이나 제품 내구도가 걱정이 되시거나, 위에서 언급한 미들레이진급의 컨트롤러보다는 고급스럽고, 군더덕이 없는 제품을 찾으시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반대로 많은 수의 매크로 버튼이 필요하거나 하이엔드급을 사고 컨트롤러 졸업을 하시고 싶은신 분들은 XBOX엘리트/Razer울버린/PowerA 퓨전프로/Scuf Instict Pro나 향후 출시 예정인 ASUS ROG Raikiri Pro 제품을 고민해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 이 포스팅은 제이웍스코리아를 통해 제품을 지원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ASUS 제품페이지(영문)
ROG Raikiri | Gaming controllers|ROG - Republic of Gamers|ROG Global (asus.com)
엑박패드 님께서 작성하신 글이 소비자사용기 게시판으로부터 2023.07.12 10:47:50 에 이동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