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보 주의!] 전기.전자에 지식이 없는 리뷰어(컴린이)가 이해한 대로 작성한 글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전기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지만 이것이 어디에서 어떤 방식을 거쳐
내가 사는 곳까지 도달하여 전기제품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사용되는지 인지할 일은 흔치 않다. 마치 수돗물과 같다.
발전소(한전)에서 전기(전류)를 생산해 가정으로 보내게 되는데 도심지에서 가깝지 않은 발전소의 특성상 경제성(긴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너지 손실)을 고려해야 한다.
그 결과 옴의 법칙을 바탕으로 발전소에서는 생산된 전기를 전압승압해서 고전압,저전류 상태로 전송하며 중간중간 변전소에서 전압강하의 과정을 거쳐 국내의 경우 최종적으로 220v 수준의 전기가 가정으로 도달한다.
보다시피 승압과 강압 과정을 여러 번 거치기 때문에 DC(직류) 보다 전압의 변동이 유리한 AC(교류)를 사용하게 된다.
다시 돌아와서 가정의 도달한 220v 전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가전제품도 있지만 대부분의 전자제품에 들어있는 반도체 IC들은 교류가 아닌 직류를 사용하며 또한 훨씬 작은 전압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전압을 내려줘야 한다.
컴퓨터 부품들은 크게 12v 5v 3.3v 수준의 낮은 전압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리뷰에서 다룰 PSU(파워서플라이)는 이때 필요한 AC(교류)-DC(직류), 전압 강하를 해주는 변압기라 할 수 있다.
이때 변압 과정에서 발생하는 중간 손실로 psu에 입력되는 전기의 총량보다 출력되는 전기의 총량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러한 변환효율에 관해 미국의 행정명령인 Energy Star에서는 관련 규격을 정의하고 있으며 80PLUS 인증은 그 기준을 근거로 해당하는 psu 제품들에 주는 인증마크라 볼 수 있다.
잘만 MegaMax 라인업은 80Plus standard 230V EU 인증을 획득했으며 80plus 사이트에서 인증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psu를 구매 시 또 어떤 기준이 필요할까. psu가 최종 출력해 줄 수 있는 전기의 용량일 것이며 이에 앞서 자신의 시스템이 사용하는 전력량을 알아야겠다.
(출처 : https://youtu.be/_EKe2jhG35c )
그에 앞서 컴퓨터 부품들이 사용하는 대략적인 전력량을 작동 전압별로 분류해 본다면 아래와 같다.
5v |
하드디스크(3~10W) cd롬(20~25W), ssd(2W), usb 장치(2~10W) |
3.3v |
사운드, 랜 등 메인보드 칩셋 (10w, 일부 고급 제품 경우 50w), m.2 ssd(3~7w) |
12v |
[그래픽카드+cpu](시스템 전력 대부분을 차지), 메모리, 펌프, 팬, 하드디스크 모터 구동 등 |
컴퓨터 주요 부품들이 사용하는 전압은 12v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cpu와 vga의 소모 전력을 확인한다면 시스템 전력을 가늠할 수 있다.
방법은 스펙시트 확인 / 검색 / 전문 장비 계측 / 소프트웨어 이용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아래는 스펙 시트나 검색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예시이다.
(좌) 펌프 / (우) m.2 ssd
tool 예시 : (좌) occt / (우) Cyberpunk 2077
아래는 소프트웨어로 확인하는 예시이다.
hwinfo64
gpu-z
cpu의 경우 occt, 프라임 95, 시네벤치 등의 툴로 cpu에 100% load를 준 뒤 메인보드의 센서 값을 hwinfo 등의 모니터링 툴로 확인하여 소비전력을 가늠할 수 있다.
vga의 경우 제조사의 스펙시트상 설계 전력 수치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마찬가지로 occt, 3d mark 등의 툴로 부하를 준 뒤 센서 값을 모니터링 툴로 확인해 대략적인 수치를 가늠할 수 있다.
대략적인 수치를 알아낸 후 각 부품들의 전력을 더해보면
80(cpu) + 200(vga) + 6(펌프) + 14(팬) + 10(ssd) + 메인보드(10) = 320W
즉, 시스템 전력은 320W 정도일 거라 예상할 수 있다.
그렇다면 psu의 출력 전력이 실제로 시스템 전력(320W) 수준인지 확인해 보겠다.
psu 출력 전력 = psu 입력 전력 * 변환효율(%) 이므로
psu 입력 전력을 계측해 본다.
sjpm-c16n
occt 부하 상황에서 psu 입력 전력은 354W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잘만 MegaMax 600W, 700W는 해당 부하 구간(약 50%)에서 약 85%의 효율을 갖는다.)
즉, psu의 출력 전력은 300W (354*85%) 수준으로
시스템 전력(320W) 계산방식이 어느 정도 효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상황별 측정된 psu 입력 전력은 아래와 같으며
작성자의 시각에 의존한 최젓값 또는 최댓값 수치이다.)
다시 돌아와서 시스템 전력을 확인했다면 필요한 psu의 용량을 따져 그보다 높은 수준에서 고르면 된다.
위에 있는 80plus 인증표에서 보다시피 일반적으로 40~50% 구간에서 변환효율이 가장 우수하며, 모든 전자제품과 마찬가지로 psu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출력 가능한 최대 전력량이 점차 줄어든다. ( 1년에 5% 수준이라고 한다.)
또한 자신의 컴퓨터 사용 습관에 따라 시스템에 어느 정도의 부하를 가하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감안해, 일반적으로 계산된 시스템 전력량에 최소 20~50% 마진을 더해 psu의 용량을 여유 있게 가져가는 편이다.
다만 여유 용량을 지나치게 많이 잡으면 효율 구간에서 손해를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선택이 필요하다.
(팬 소음에 민감한 사용자라면 효율 구간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1000w 이상 고용량 제품의 제로 팬 기능을 선호할 수도 있다.)
잘만 MegaMax 600W, 700W 제품은 50% 부하 수준에서 테스트 시스템의 최대전력을 출력해 줄 수 있으므로 좋은 선택이라 볼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psu의 용량(표기 스펙)을 선택했으면 해당 제품의 실제 정격출력을 확인해야 한다.
+12V 라인 출력이 시스템 전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표기 스펙의 80% 이상을 +12V 라인으로 출력해 줄 수 있다면 정격이라 볼 수 있다.
(참고로 정석적인 정격출력 계산 방법이 아니다.)
+12v 라인 출력량의 총합이 표기 스펙의 80% 이상을 만족하는지 확인해 보자.
600W 제품 : 540(+12v 출력량) > 600(표기 스펙) * 80%
700W 제품 : 630(+12v 출력량) > 700(표기 스펙) * 80%
잘만 MegaMax 600w, 700w 제품은 정격출력을 만족한다고 볼 수 있으며 기본기를 갖춘 파워서플라이라고 할 수 있다.
megamax v2 시리즈는 리비전 과정을 거치며 팬 그릴 변경으로 팬소음 감소와 원활한 공기의 유입을 통한 쿨링 개선으로 소폭의 효율 개선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
가정까지 도달한 220V 교류 전기가 psu를 거쳐 직류로 변환되어 나갈 때 아래와 같은 양상을 보이게 된다.
작성자가 이해한대로 그렸다.
이때 파워 내부의 콘덴서(캐패시터)란 부품이 맥류(Ripple)를 어느 정도 울퉁불퉁한 직류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하는데, 파워 제조사와 사용자들은 이 부품을 중요하게 여기곤 한다.
잘만 MegaMax 600w, 700w 제품은 고성능의 캐패시터를 사용해 내구성을 높였다.
일반적으로 파워에 부하가 가해질수록 출력전압의 강하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관련해서 인텔 파워서플라이 디자인 가이드에서는 아래와 같이 해당 범위를 명시하고 있다.
부하 테스트 시 메인보드의 +12v,+5v,+3.3v 라인 전압, 그래픽카드의 +12v 전압 수치를 hwinfo를 통해 모니터링했고 결과는 아래와 같다.
(그래프 상하 기준선이 파워서플라이 디자인 가이드 기준치이므로 변동폭이 실제보다 과장되어 있다.)
occt / 잘만 megamax (좌) 600w / (우) 700w
cyberpunk 2077 / 잘만 megamax (좌) 600w / (우) 700w
(게임의 경우 인게임 벤치마크를 반복 수행하는 수작업 과정 때문에 전압이 출렁이는 것처럼 표현된 거 같다.)
각 전압 라인별로 기준치 범위(±5%)를 만족해야 하며 전압의 변동폭이 작을수록 좋다.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인 전압 변동폭만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700w 제품보다 600w 제품이 테스트 시스템에서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잘만 Megamax 600W, 700W 제품은 부하에 따른 전압강하시 기준치 내의 범위를 준수한다.
(700w 제품의 경우 저 부하 구간에서 gpu 라인 전압이 일부 기준치 이상으로 튀었으나 그 폭이 크지 않다.)
파워서플라이 잘만 Megamax 600W, 700W 는 세계 각국의 수많은 소비자들과 각종 국내외 인증들을 통해 품질이 검증되었다.
파워서플라이 Megamax 600W, 700W 는 잘만의 친절하고 신뢰도 높은 AS로 믿고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80Plus 스탠다드급 최고의 가성비 파워서플라이 잘만 Megamax 600W, 700W 제품의 리뷰를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