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PC 사용 환경에서는 메인보드의 내장랜(유선)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여러 이유들로 PC에서 무선 랜카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메인보드 내장랜 고장(필자는 번개로 인한 내장랜 고장 경험이 있습니다 ㅠㅠ)이나
벽에 있는 인터넷 단자와 PC가 멀어서 케이블을 사용하기 힘든 경우,
또는 선정리의 깔끔함을 위해 무선랜카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번에 체험단으로 리뷰할 제품은
[마이크로닉스 D-Link DWA-X1850 와이파이6 USB 무선 랜카드] 입니다.
D-Link가 생소할 수 있는데 회사 소개를 간단하게 하자면
출처 - 나무위키 D-Link
이렇습니다.
▶ 스펙
출처 - 상품설명
마이크로닉스 D-Link DWA-X1850(이하 DWA-X1850)은 Wi-Fi 6를 지원하는 무선 랜카드입니다.
Wi-Fi 6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언박싱
전면과 후면에는 DWA-X1850의 전체적인 설명이 표기되어있습니다.
DWA-X1850 무선랜카드는 윈도우10 이상, USB 3.0 포트를 사용해야합니다.
구성품은 DWA-X1850 본품, 연장 크래들, 빠른 설치 가이드, 보증서 입니다.
디자인이 세련됐습니다. 가운데는 상태확인을 위한 LED가 있습니다.
후면은 열 배출을 위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USB 3.0 제품이라서 단자가 파란색입니다.
연장크래들의 길이는 약 1m 입니다.
▶ PC 설치
크래들을 이용해서 USB 3.0 포트에 연결합니다.
연결을 하면 랜카드가 잡히는 게 아니라 이렇게 USB 디스크로 잡힙니다.
디스크에 들어가서 Setup을 실행하면 드라이버가 설치되고
설치가 되면 무선랜카드가 정상적으로 장치관리자에 인식이 됩니다.
드라이버 버전이 구형이기 때문에 최신 드라이버 설치를 권장합니다.
최신 드라이버는
http://mydlink.co.kr/2013/beta_board/product_detail.php?no=283&model=DWA-X1850
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최신 드라이버로 다시 설치했습니다.
▶ Wi-Fi 6 연결
거실에 사용중인 공유기는 Wi-Fi 6를 지원하는 제품입니다.
갤럭시S21에서 Wi-Fi 6 연결을 하면 이렇게 와이파이 아이콘 우측에 숫자 '6'이 표시가 됩니다.
무선 랜카드로 와이파이 연결을 합니다.
공유기와 PC는 약 12m 거리에 있고 사이에 벽 하나가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확인한 SSID : KJS 와이파이를 PC에 연결한 모습입니다.
AX1800을 지원하기 때문에 속도가 1.2Gbps로 정상표시 됩니다.
와이파이가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랜카드의 LED가 점등됩니다.
▶ 속도테스트
인터넷 회선은 KT 500Mbps 를 사용중입니다.
KT 홈페이지에서 측정한 속도테스트 결과입니다.
speedtest.net 에서 측정한 결과입니다.
같은 조건이라면 무선보다 유선이 유리한 건 사실이지만
이 정도 속도가 나온다면 무선도 큰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온라인게임 플레이
DWA-X1850 무선랜카드로 온라인게임(배틀 그라운드)을 플레이해봤습니다.
AS 서버로 접속했고, 아케이드 모드 팀데스로 플레이했습니다.
같은 맵으로 테스트 해보려고 했는데 10판 넘게 다른 맵이 잡혀서 그냥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영상 앞부분인 테이고는 DWA-X1850 연결, 영상 뒷부분인 사녹은 유선랜 연결입니다.
영상 상단의 네트워크 정보에서도 핑 튐이나 패킷로스가 없었고, 플레이하면서 인터넷 연결 차이는 느낄 수 없었습니다.
물론 위에서 언급했듯이 같은 조건이라면 무선보다 유선이 유리하고 안정적입니다.
DWA-X1850 연결
유선랜 연결
▶ 실사용 후기 및 마무리
속도 측정 결과나 온라인게임 플레이의 네트워크 정보에서 확인했듯이
D-Link DWA-X1850 무선랜카드는 괜찮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체험기 작성을 위해 며칠동안 사용하면서 OTT, 파일 다운/업로드, 일상적인 인터넷, 유튜브 등
평소처럼 썼는데 파일 다운/업로드를 제외하곤 차이를 느낄 수 없었습니다.
아무래도 파일 다운/업로드 속도는 유선이 더 잘나왔습니다.
서두에 언급한 것 처럼 유선랜을 사용하기 힘든 경우나,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또는 무선랜으로 선정리의 깔끔함을 위해서라면 무선 랜카드를 추천합니다.
다만, 무선이라는 게 공유기와의 거리나 주변 구조물, 다른 전자제품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 부분도 고려를 해야 합니다.
'이 체험기는 ㈜한미마이크로닉스에서 제품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