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에게 키보드란 단순한 입력 장치가 아닌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 / 데스크테리어를 완성하는 도구 / 타건음과 타건감을 즐길 수 있는 악기' 입니다. 최근 가성비 좋은 키보드가 정말 쏟아지고 있고, 굳이 직구를 하지 않더라도 키보드 선택의 폭이 넓어진 느낌이라 만족스럽습니다. 이번에 소개해 드릴 제품은 SPM PL87A PBT 바다소금 기계식 키보드입니다.
얼마 전 100원 딜로 핫했던 'HMX x Soulcat PORO 스위치' 등 SPM에서는 매력적인 키보드, 키캡, 스위치 등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중, SPM의 키보드는 하우징 재질에 따라 AL(알루미늄), PL(플라스틱)으로 나뉘어 직관적인 네이밍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뷰할 SPM PL87A PBT 바다소금 키보드도 이름 속에 모든 내용이 다 들어있습니다. 플라스틱 하우징, 87키, PBT 키캡, 바다소금 스위치라는 의미입니다. 가격은 5만 원 정도이며 제 기준에서 부담스럽지 않은 가성비를 추구하는 제품으로 보입니다.
제품 상세 정보
SPM PL87A PBT 바다소금 기계식 키보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5핀 핫스왑 - 게이트론, 체리 MX, 카일 등 대부분의 스위치와 호환
- 실리콘 기보강 흡음재 사용 (통울림 감소)
- 하부 3중 흡음 구조 (스펀지 - EPDM - Poron foam)
- 체리 프로파일 한영 PBT 키캡
- FR4 보강판
- 최소 레이턴시 2ms (실측 8ms)
- 트레이 마운트 결합 구조
최근 출시된 키보드답게 핫스왑 소켓이 기본 적용되어 있습니다. 기성 플라스틱 키보드에 잘 쓰이지 않는 FR4 보강판이 들어있습니다. 하부는 3겹의 흡음재가 있으며 특히 EPDM 폼이 있네요. 국내 정발이라 키캡도 신경 써서 한영 각인이 되어 있습니다. 트레이 마운트 구조를 채택했기에 가스켓 마운트 결합 방식에 비해 타건감이 균일하지는 않습니다.
SPM PL87A PBT 바다소금 기계식 키보드는 '다크 올리비아'와 '아이보리' 두 가지 컬러로 출시되었으며, 리뷰 제품은 다크 그레이 하우징에 인디언 핑크를 포인트로 준 '다크 올리비아'입니다.
패키지 및 언박싱
▲ 제품 상자 겉면에 진한 옐로 컬러로 키보드 레이아웃을 표현했습니다. 상자 겉의 '바다소금'이라는 단어가 인상적입니다. 하이무 바다소금 스위치는 바치리 스위치(롱폴 스템이라 바닥 치는 소리가 나는 리니어)인데요, 출시 당시 저렴한 가격에 상대적으로 양호한 퀄리티로 가성비 스위치로 각광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저도 200개 구매해서 잘 사용했습니다.
▲ 구성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PL87A PBT 바다소금 키보드
② 한국어 제품 설명서
③ A to C USB 케이블
④ 여분 키캡 (esc, enter, space)
⑤ 스위치 & 키캡 리무버
⑥ 여분 스위치 x 2
⑦ 키보드 루프 (더스트 커버)
▲ 키보드 연결을 위해 탈착식 C타입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케이블은 패브릭 재질이라 유연한 편입니다. 핑크 포인트 키캡이 부담스럽다면 동봉된 키캡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 불량이 있더라도 2개의 여분이 있어 대응할 수 있습니다.
▲ 한국어로 제공되는 사용 설명서에는 연결 방식, 조명 효과, 조합키에 대한 설정 방법이 안내되어 있습니다.
▲ 키캡과 스위치를 포함한 키보드 무게는 827g으로 측정되었습니다. 무게감이 느껴지기보다는 가벼운 편에 속합니다.
제품 디테일(외부)
▲ SPM PL87A PBT 바다소금 기계식 키보드는 전형적인 TKL(80% 배열)형태로 87개의 키가 존재합니다. 방향키 위에 3개의 LED 인디케이터가 있는 형태입니다.
▲ 포인트 컬러가 인디언 핑크다 보니 포인트 키캡과 각인이 핑크색입니다. GMK 다크 올리비아와 유사한 느낌의 키캡은 다크 그레이 컬러의 하우징과 궁합이 좋습니다.
▲ 인디케이터의 흰색 LED로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근본 = 체리 프로파일 키캡은 익숙함을 주며, 스텝 스컬쳐2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 키보드 하판에 5개의 미끄럼 방지용 범폰이 있습니다. 상하부 하우징은 플라스틱 기성 키보드에서 많이 사용하는 나사 없이 결합하는 방식입니다. 하우징 틈 사이로 마그네틱 카드 등을 넣어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 플라스틱 하우징의 장점 중 하나죠? 3단계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1단으로 사용하니 타건할 때 울림이 큰 느낌을 받아 2단 + 팜레스트 조합으로 사용했습니다.
▲ 하판에는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홈이 3방향으로 파여있습니다. 데스크 상황에 맞게 이용하면 됩니다.
▲ 도터보드(C타입 포트)가 하우징 안쪽에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케이블이나 커넥터 종류에 따라 불편함을 느끼거나 사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동봉된 케이블을 사용하면 문제없습니다.
▲ 역방향 5핀 핫스왑 소켓이며 일부 스위치와 키캡의 프로파일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역방향이다 보니 LED가 위를 향하고 있어 LED 투과형 키캡과 궁합이 괜찮습니다.
▲ 보강판에 장착하는 보강형 스테빌라이저가 사용되었습니다. 철심과 용두 일부에 구리스형 윤활제가 소량 도포되어 있습니다.
▲ 보강형이다 보니 스테빌 하우징과 보강판 사이에 유격이 발생합니다. 서로 맞닿는 면에 테이핑을 하면 유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LED 광량이 부족한 편은 아니지만 LED 비투과 키캡이다보니 은은하게 보입니다.
▲ 'FN' 키조합으로 LED 설정이 가능합니다. 키보드마다 키 조합이 다르다 보니 설명서를 봐두시는 게 좋습니다.
제품 디테일(내부)
▲ 트레이 마운트 방식이라 키보드를 분해하려면 보강판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연결 된 나사를 풀어주셔야 합니다.
▲ 7개의 나사를 제거하면 하판과 기보강(기판+보강판)이 분리됩니다.
▲ 논플렉스 FR4 보강판과 PCB 사이에는 탄성 20%의 실리콘 흡음재를 사용했네요. 통울림 해소에 효과가 있지만 상대적으로 단단한 타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논플렉스 PCB 기판에 스테빌 장착을 위한 홀이 없어 무보강 스테빌라이저는 호환되지 않습니다. SPM의 풀알루 키보드인 AL87A이라 표기되어 있네요. PL87A은 역방향이고 AL87A는 정방향이라 AL87A에 들어가는 PCB 기판과 동일하진 않아 보입니다.
▲ 하부 폼(case foam)은 세 겹으로 되어 있습니다. 하부 하우징 하단의 빈틈에 얇은 스펀지 폼이 들어가며, 그 위에 EPDM 폼이 사용되었습니다. PCB 기판 하단과 맞닿는 부위에는 포론 폼을 넣어 키보드 내부에 존재하는 빈 공간을 최소화한 모습입니다. 성의 없게 얇은 스펀지 1장만 달랑 넣어주는 예전 기성품들과는 확연히 차이가 나는 부분입니다.
키캡, 스위치, 모딩, 그리고 타건
▲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는 체리 프로파일 키캡을 사용했고, 이중사출이라 각인이 지워질 염려도 없습니다. PBT가 함유되었기에 번들거림에 상당한 내성을 지닐 것으로 보입니다. 번들 키캡이지만 사출 자국도 깔끔하고 각인 퀄리티가 양호한 편입니다.
▲ 제품명에 '바다소금'이란 단어가 들어간 만큼 하이무 바다소금 리니어 스위치가 사용되었습니다. 1개당 170원이라 100개를 구매해도 2만 원이 안되는 가성비 스위치입니다. 바다소금 스위치 중에 택타일이나 저소음 버전도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건 리니어입니다.
▲ 공장 윤활이 된 상태이며 2단 스프링이 사용되었습니다. 스프링에 윤활이 되어 있어 추가로 스프링 윤활 작업을 하지 않았습니다.
▲ 구리스 타입의 윤활제가 돌기 등 4부위에 넓게 도포되어 있는데요, 개체별 편차가 크지 않아 재윤활은 하지 않고 공장 윤활 상태에서 사용해도 충분할 것 같습니다. (귀찮아서 그런 게 아닙니다)
▲ 트레이 마운트 방식이다 보니 키별로 미묘하게 다른 타건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실리콘 기보강 흡음재가 먹먹한 타건음을 들려줄 것이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소리를 많이 먹지 않았습니다. 아마 하이피치를 내는 FR4 보강판을 사용하고 EPDM 하부 폼을 넣은 게 일정 부분 영향을 주지 않았나 싶어요. 바치리 특유의 따각이는 큰 소리가 불편하다면 바닥치는 소리를 다소 완화시켜주는 순정 상태가 나을 수 있습니다만, 자극적인 사운드를 즐기는 저에겐 다소 심심하게 들렸습니다. 순정 상태에서 통울림이 크지 않고 스프링 소리가 들리지 않아 저점을 높인 제품이라 생각합니다.
▲ 지금까지 경험상 기보강 흡음재로 실리콘을 사용하면 소리를 먹는 느낌이 났기에 이를 방지하고자 TKL 용 PET 시트와 IXPE 패드, 포론 보강용 폼으로 교체해서 비교 테스트도 진행해 보았습니다. 위 타건 영상 1:49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막상 사운드 튜닝을 감행해 보니 가스켓 마운드 구조도 아니고 알루미늄 하우징이 아니라 그런지 뭔가 어정쩡한 느낌이 강하게 느껴졌습니다. 기판에 테이프모드를 해도 큰 차이는 없을 것 같네요. 결론만 말씀드리자면 그냥 순정 상태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기판 레이턴시 측정
▲ SPM PL87A PBT 바다소금 기계식 키보드는 기판 레이턴시가 2~3ms라고 하기에 테스터를 사용해 직접 측정해 보았습니다. 지금까지 약 2~30종의 기판 레이턴시를 측정해 봤는데 상당히 높은 신뢰도를 보였기에 참고용으로 보셔도 괜찮다는 의견입니다. 게이밍 모델이 아닌 일반적인 기성품 키보드의 경우 기판 레이턴시가 10~12ms 정도로 측정이 되었으며 이 정도면 게임하는 데 별 이슈는 없습니다.
▲ 테스트 옵션은 '유지 시간 30ms, 테스트 간격 50ms, 1번 측정 시 100회 테스트'입니다. 100회짜리 1세트를 10세트 진행(총 1000회) 해서 중간 값 결과를 아래에 첨부하겠습니다.
▲ 기판 레이턴시 측정값입니다. 8ms 전후로 측정이 되었습니다. 예상과 다른 수치가 나와서 테스트를 추가로 진행했는데 결과는 같았습니다. 테스터 문제인가 싶어 다른 키보드 기판(레이니75, 닌자, QK 시리즈 등)을 재측정 해보니 예전에 측정했던 수치와 동일한 결과가 나와 테스터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이 정도로도 게임하는 데는 충분한 성능이며 격투게임을 빡세게 한다면 조금 아쉬울 수는 있습니다. 제가 테스트한 PCB 기판명이 AL87A-RGB-V1.0이라 이런 결과가 나왔나 싶기도 합니다.
(3월 6일 추가 내용)
SPM에 문의하니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펌업 후 레이턴시를 재측정 해보겠습니다.
▲ 전용 소프트웨어의 '더보기' 탭에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진행해 줍니다. 최신 펌웨어 버전은 'ID1405_V502' 입니다.
▲ 두둥! 펌업 후 새로 측정한 기판 레이턴시는 2~3ms으로 상품 안내 페이지 내용과 일치합니다. PL87A를 게이밍 키보드라 부르셔도 될 것 같네요. 성장형(?) 키보드이니 반드시 최신 펌웨어 상태에서 사용하길 권장드립니다.
전용 소프트웨어
▲ SPM 스마트 스토어에서 전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어딘가 익숙한 느낌의 프로그램입니다.
▲ '키보드 설정' 메뉴에서 키 매핑을 지원합니다.
▲'FN 설정' 메뉴에서 'FN 키'와 조합해 사용하는 다양한 키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매뉴얼에 나와있는 몇몇 키 조합은 붉은색 표시로 되어 있어서 변경이 불가합니다.
▲ 'LED 설정' 메뉴에서 전반적인 LED를 제어할 수 있고 'LED 편집' 탭에서는 각 키별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 '공유' 메뉴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이 설정하고 공유한 설정값을 내 키보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아직 PL87A 사용자가 많지 않은 지 누적 자료가 얼마 없습니다.
종합 평가
* PLUS
- 핫스왑 지원, 탈착식 케이블
- FR4 보강판
- 키캡 (한영 / 체리 프로파일 / 이중 사출)
- (생각 외로) 공장 윤활 퀄리티 준수한 바다소금 스위치
- 하부 흡음재 구성 GOOD & 통울림 최소화 (각도 2단계 기준)
- 전용 소프트웨어 지원
- 게이밍으로 손색 없는 기판 레이턴시 (2~3ms)
* 펌웨어 업데이트 후 기판 레이턴시가 개선됩니다.
* MINUS
트렌드에서 벗어난 트레이 마운트 구조
실리콘 기보강 흡음재 = 자극적인 맛 감소
* 한 줄 평
합리적인 가격으로 게이밍 & 바다소금 맛보기
"본 사용기는 SPM과 이엠베스트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